[아쉬타카의 레드필]

감상과 비평보다 설명과 정리가 더 중요한 시대



영화 비평의 시대가 죽다시피 한 지는 제법 오래되었다. 비평이 주를 이루던 영화 잡지나 매체들은 거의 다 사라졌고, 영화 평론은 그 존재 의미에 대해 토론할 때만 가끔씩 등장하게 되었다. 물론 그렇다고 모두 없어졌다는 것은 아니다. 주류에서 아주 아주 멀어졌다는 것뿐. 영화 평론가 중심의 비평이 주를 이루던 시대 이후에 등장한 것은 개인 블로거들을 중심으로 한 감상평 혹은 리뷰 중심의 시장이었다. 여러 영화 커뮤니티와 카페를 중심으로 다양한 감상평과 리뷰 들이 한 때 관심도 받고 그 숫자도 상당했던 시기가 바로 몇 해 전까지였다. 하지만 이마저도 그리 오래가지는 못했는데 이는 감상평과 리뷰 자체에 대한 관심이 떨어진 것도 있지만, 블로그나 개인 홈페이지 중심의 플랫폼에서 트위터,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등의 플랫폼으로의 주류 이동으로 인한 외부적인 요인도 적지 않았다. 


단문, 아니 짧은 이미지와 영상 위주의 플랫폼이 대세를 이루게 되면서 영화 관련 콘텐츠 역시 이에 맞게 변화했다. 아무래도 이 영상과 이미지 중심의 플랫폼 기반에서는 긴 호흡으로 어떠한 비평이나 감상을 전하기에는 부족한 점이 많았다. 그리고 무엇보다 시장의 현실은 긴 호흡의 글을 소화할 흥미도 시간도 없는 듯했다. 그렇다 보니 최근 몇 년 사이에 눈에 띄게 성장한 콘텐츠가 바로 영화를 설명하고 알기 쉽게 정리한 콘텐츠들이다. 


사실 이런 설명과 소개, 정리 중심의 콘텐츠는 이전부터 계속 있어왔는데, 그 대상의 범위가 거의 전방위 적으로 확대되었다는 것과 시장의 수요가 더 늘었다는 것이 다른 점이라 하겠다. 이전에 있었던 이런 류의 콘텐츠들은 명확한 지향점이 있었다. 주로 어떤 영화의 팬들이라거나 장르의 팬들이 호기심을 가질 만한 콘텐츠가 많았다. 이를 테면 007 시리즈 전체를 훑어가며 프리 프로덕션 단계부터 개봉 이후 흥행과 관련된 이야기까지, 007 영화의 팬이라면 흥미를 갖지 않을 수 없는 유익하고 재미있는 콘텐츠였고, 콘텐츠의 질도 상당했다. 007 시리즈를 예로 들었던 것처럼 이런 종류의 콘텐츠들은 주로 역사가 오래되었거나 혹은 우여곡절이 많았다거나 하는 영화 혹은 인물을 중심으로 한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하지만 최근 인기를 얻고 있는 설명, 정리 중심의 콘텐츠들은 지향하는 바가 조금 다르다고 볼 수 있겠다. 앞서 언급했던 것처럼 콘텐츠의 소비자층 자체가 다르다는 것이 그 주된 이유일 텐데, 영화를 감상하고자 하는 관객들보다는 지식의 측면에서 알고자 하는 관객들의 욕구를 해소시켜주는 역할을 수행하는 편이다. 즉, 단순하게 말하자면 회식 자리에서 혹은 친구들과의 대화 과정 속에서 등장하는 하나의 이슈 요소 정도로 소비되는 경향이 매주 짙어졌다. 예를 들자면 '어제 뭐 봤어?'라며 TV 프로그램에 대해 이야기할 때 그 프로를 보지 않았으면 다음 날 대화에 끼기 어려운 것처럼, 인기가 있거나 화제가 되는 영화를 보지 않거나 제대로 이해하지 못했으면 대화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없음으로 요약정리가 필요한 것이다. 그렇다 보니 서두에 언급했던 것처럼 두 시간 남짓의 영화를 단 몇 장의 이미지나 동영상으로 간략하게 정리해주는 콘텐츠들이 매우 인기가 많다. 이런 설명 콘텐츠들이 절대 일방적으로 나쁘다는 것은 아닌데, 무언가 주객이 전도된 듯한 느낌은 좀 든다. 영화가 재미있었는지 없었는지 하는 것보다 줄거리나 해설된 내용을 내가 말할 수 있느냐 없느냐가 중요하다거나, 영화 속에 등장하는 사실 관계의 옳고 그름을 확실하게 배우다시피 하는 것에 더 흥미와 관심이 몰리는 것은 아무래도 본질과는 조금 멀어진 느낌이다. 


예를 들어 최근 개봉한 '스타워즈 : 깨어난 포스'같은 경우, 레이가 누구의 딸인지 카일로 렌과 핀의 광선검 듀얼 설정이 합당한 것인지 아닌지 등은 물론 흥미롭고 재미있는 얘기 거리이기는 하지만, 스타워즈라는 한 편의 영화가 어떠한 점이 재미있었는지 어떤 점은 별로였는지, 영화를 보고 나서 어떠한 것들을 느꼈는지 하는 것보다 더 먼저 이야기되거나 혹은 이런 것들은 아예 이야기되지 조차 못하는 것은 조금 문제라고 봐야 하지 않을까 하는 얘기다. '스타워즈 : 깨어난 포스'는 적지 않은 많은 관객들이 보았지만, 각자의 스타워즈가 탄생되었다기보다는 정리된 몇 가지의 스타워즈만이 남게 된 듯하다. 예전엔 어떤 영화가 개봉하면 재미있는가 없는가가 주로 논의되었는데, 최근에는 그보다 영화 속 사실이나 어떤 설정 등이 맞느냐 틀리느냐에 대한 논의가 더 관심거리인 듯하다. 그렇다 보니 한 편의 영화가 개봉하고 나면 어떠한 담론이나 감상이 남게 되는 것보다는 어떤 사실 혹은 지식 만이 남게 되는 것 같다. 그리고 다수의 관객들 역시 영화를 느끼기보다는 '알았다'는 것에 더 만족하게 되는 것 같고.


틀린 것이 아닐 경우 다양성은 당연히 존중되어야 한다. 영화라는 매체의 경우도 그렇다. 비평 만이 고귀한 것이고 감상이나 리뷰는 하찮은 것은 물론 아닐 것이며, 영화 한 편을 두고 정리하고 설명하는 것 역시 잘못 소비하는 과정은 결코 아닐 것이다. 하지만 무엇이든 주객이 전도되는 상황까지 가게 되면 본질이 위축되고 심화되면 결국 성격 자체가 바뀌어 버리는 경우가 발생하곤 한다. 특히 영화 같은 예술 혹은 상업예술의 경우는 더욱 그러하다. 이미 잘 보고 잘못 보고의 개념 자체가 존재하지 않은 영화 매체에서 모두가 '내가 맞게 보았나'에 대한 강박이나 설명 만으로 배부른 소화 경향은 확실히 아쉬운 부분이다. 설령 감독의 의도와 정반대로 보았거나 내용을 잘못 이해해서 전혀 다른 영화를 보았다고 하더라도 그 편이 더 영화를 의미 있게 소화한 경우가 아닐까. 천만 관객이 보았다면 천만 개의 각기 다른 영화가 탄생할 수 있는 것이 영화나 음악 같은 예술 만의 장점일 텐데, 모두가 같은 방식과 같은 내용을 보기를 스스로 원하는 현실은 조금 씁쓸하다.



[아쉬타카의 레드필]

네오가 빨간 약을 선택했듯이, 영화 속 이야기에 비춰진 진짜 현실을 직시해보고자 하는 최소한의 노력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