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식스 카운티 (Essex County, 제프 르미어 저)
여운과 여백의 놀라운 그래픽 노블


사실 내게 있어 '그래픽 노블'이란 장르는 단순히 프랭크 밀러나 앨런 무어 등의 작가로 대변되는, 주로 히어로 물을 다룬 것들에 한정되어 있었다. 아니, 한정되어 있었다기 보다는 그것이 전부인 줄로만 알았었다. 그러던 중 우연한 기회에 이 작품 '에식스 카운티'와 '아스테리오스 폴립'이란 두 권의 그래픽 노블을 알게 되었는데, 서점에서 책을 사서 돌아와 집에서 첫 장을 넘기기 전까지만 해도 '에식스 카운티' 역시 기존에 내가 알고 있던 바로 그 '그래픽 노블'이라고만 생각했었다. 첫 장을 넘기면서부터 접하게 된 제프 르미어의 거칠고 유난히 음영이 강조된 그림체는, 분명 프랭크 밀러의 그것과는 다른 것이었다. 말로 설명해 놓은 것만 보면 거칠고 음영이 강조된 그림체라는 것이 유사하게 느껴질 수 있지만, 실제로 보게 되면 프랭크 밀러와 제프 르미어의 그림체의 성격은 많은 차이가 있다는 것을 한 눈에 알 수 있을 정도다. 

그렇게 시작한 '에식스 카운티'는 시간 가는 줄 모르고 술술 읽혀나갔다. 조금은 묘한 것이, 대놓고 기승전결 방식으로 이야기를 강조한 구성도 아닌데, 이야기에 흐름에 쉽게 몸이 이끌려 다음을 궁금하게 만들고 다음 그리고 다음, 그리고 마지막에 가서는 표면적으로 이야기를 완전히 마무리하지 않는 듯한 느낌을 주지만, 사실 결말 그 이상의 포용력으로 전체 이야기를 끌어 안고 있는 놀라운 구성을 갖고 있다는 점이다. 

개인적으로 '에식스 카운티'가 가장 인상적이었던 점은 바로 여운과 여백의 미학이었다. 여기서 여백이란 직접적인 그림의 여백과 이야기의 여백 모두를 가리키는데, 고요에 가까울 정도로 조용한 컷과 그것 만큼이나 느리고 반복에 가까운 컷의 진행은 직접적인 여백의 이미지로 다가온다. 이야기적인 측면에서는 가끔 서사의 구체적 묘사는 있지만 캐릭터의 감정선에 있어서는 많은 여백을 두고 있는 편이다. 작품에 등장하는 캐릭터들은 감정들을 대부분 절제하고 있는데, 그것이 상대에게 하는 말일 때는 물론이고 혼자 속으로 하는 독백의 경우에도 절제의 여백을 남겨둔 점이 느껴진다. 이런 이 작품의 경향은 분명 답답함 보다는 미덕으로 느껴진다. 그리고 한편으론 바로 이것이 '에식스 카운티'의 성격을 말해주는 포인트라고 얘기할 수도 있겠다. 

그리고 여운. '에식스 카운티'는 제 1부 농장이야기, 제 2부 유령이야기 그리고 제 3부 시골 간호사로 이뤄져 있는데, 이 3부작의 짜임새와 연결 고리는 흔히 말하는 반전처럼 충격적이거나 반전을 위한 구성이라기 보다는, 각각의 캐릭터가 연결되어 있는 구성을 통해 결국 '인생'이라는 것과 존재에 대한 깊은 여운을 남긴다. '에식스 카운티'가 놀라운 그래픽 노블 작품인 이유는 바로 이처럼, 인생이라는 깊이의 여운을 전달하는 방식에 있어서 만화와 소설, 그러니까 이미지와 이야기와 완벽하게 결합된 지점을 경험하게 해준다는 점이다. 사실 이 두 가지가 이 정도로 각각의 높은 수준에서 접점을 이루기가 쉽지 않은데, 제프 르미어는 두 가지 모두를 활용할 수 있는 그래픽 노블이라는 장르에서 다운 그레이드 없이 최고 수준의 작품을 만들어 냈다.

결코 적지 않은 분량 (510p)이었음에도 단숨에 읽어내려간 이후의 느낌은, 사실 기대했던 것 이상의 감흥은 아니었다. 그런데 생각을 글로 정리해보려 다시 한번 책을 슬쩍 펼쳐 보았는데, 책의 어디를 펼쳐보아도 찡하고 짠한 감정이 물밀듯이 밀려왔다. 이제서야 앞서 이야기했던 이 작품의 장점을 비로소 제대로 바라볼 수 있게 되었다. 

제프 르미어의 '에식스 카운티'는 내게 있어서도 참 특별한 그래픽 노블로 기억될 것 같다. 분명 이야기가 핵심인 작품이고 볼거리로 승부하는 작품도 아닌데, 책을 한 번 정독한 이후 '에식스 카운티'의 한 장 한 장은 다 특별한 의미를 갖는 소중한 한 장이 되어버렸다.



글 / 아쉬타카 (www.realfolkblues.co.kr)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