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미디어캐슬. All rights reserved


분노 (怒り, 2016)

누군가를 완전히 믿는다는 것


2010년작 '악인'에 이어 다시 한번 요시다 슈이치의 원작을 영화화 한 이상일 감독의 신작 '분노 (怒り)'는 믿음에 관한 영화다. 분노라는 제목은 무엇에 분노하고 있는가? 분노의 대상이 누구인가? 등의 질문을 던지게 되는데, 물론 그 질문 역시 이 영화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 주제이기도 하지만 더 큰 메시지는 믿음이라는 아주 진부하고 원초적인 감정 혹은 행동에 있다.


영화는 도쿄에서 벌어진 한 부부의 잔혹한 살인사건을 던져두고 이 사건의 범인일지도 모른다는 가정 하에 치바와 도쿄, 오키나와를 각각 배경으로 하는 전혀 다른 세 이야기를 들려주기 시작한다. 이 구성은 범인이 누구인가를 쫓는 방식처럼 보이지만 영화 '분노'는 범인을 찾는 스릴러가 아닌 이 하나의 살인사건이 각기 다른 세 명의 인물과 그 주변의 인물들에게 끼치는 영향을 주목한다. 그리고 그 가운데서 앞서 언급했던 의심과 믿음이라는 주제에 대해 깊이 파고든다. 



 (주)미디어캐슬. All rights reserved


여러 명의 인물들이 하나의 스크린에 등장하지만 이 세 개의 이야기는 결코 서로 관여하지 않는다. 즉, 각각의 이야기는 독립적으로 존재가 가능하되 단지 전제가 되는 사건만 공유하고 있을 뿐이다. 반대로 말하자면 이 셋 중 어떤 이야기 하나 만을 골라서 영화화를 했어도 충분히 힘 있는 드라마가 가능했었을 텐데, 왜 세 개의 이야기를 같은 시공간에 겹쳐 놓았을까 생각해 보게 된다. 그건 아마도 전혀 다른 환경에 놓인 인물들이 동일한 사건을 두고 어떤 방식으로 영향을 받게 되는지, 즉 비슷해 의심과 신뢰의 과정 속에서 어떤 잘못이나 상처를 겪게 되는지 보여줌으로써 이 영화의 네 번째 이야기가 될 수도 있을 나만의 분노, 아니 믿음에 관한 이야기를 떠올려 보게 만든다.


이상일의 '분노'를 보며 새삼스럽지만 누군가를 완전히 믿는다는 것에 대해 다시 생각해 보게 되었다. 우리는 생활 속에서 믿는다 는 말을 자주, 또 쉽게 하곤 하는데 그 믿는다는 말속에 과연 영화 속에서 등장했던 것과 같은 각오나 확신이 내포되어 있었는가 싶다. 이 영화가 끝까지 힘을 받게 되는 건 살인사건의 범인으로 예상되는 세 명의 인물에 대한 그 주변 인물들의 의심이 터무니없는 것이 아니라 비교적 합리적이고 수긍이 되는 결과물이라는 점이다. 그러니까 이들의 의심을 보고는 '어떻게 저들을 의심할 수 있지?'라기보다는 오히려 '세 명이 다 범인일 수도 있겠다' 싶을 정도로 합리적인 의심의 영역에 있다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영화의 마지막이 더 쓰라린 것이지만.



 (주)미디어캐슬. All rights reserved


다시 영화를 보고 들었던 질문으로 돌아와 보자. 누군가를 완전히 믿는다는 건 어떤 의미일까. 영화 속 인물들의 의심이 합리적이라는 이유보다 더 중요한 건 그들의 의심이 확신에 가깝게 발전하게 된 이유다. 이들이 의심을 갖게 된 과정을 보면 그 대상의 말과 행동이나 과거 등으로 미뤄봤을 때 충분히 의심이 갈 정도의 합리적 추론은 결정적 이유가 되지 못한다. 오히려 이들은 별 다른 의심을 갖고 있지 않았던 상태에서 자신이 아끼는 누군가를 지키기 위한 일종의 방어 수단으로써 경계 차원으로 의심을 갖게 되고, 또 확신으로 이어지게 된다. 즉, 앞서도 이야기했던 것처럼 이들의 의심을 두고 뭐라 탓할 수 없을 정도로 이 과정에 대한 묘사는 현실적이고 또 설득력이 있다. 하지만 그렇다고 '분노'가 그저 어쩔 수 없음의 비관적인 정서를 담고 있는 작품인가 라고 묻는 다면 전혀 아니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오히려 이상일 감독의 '분노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믿어야 한다 라고 말하고 있는 영화다.  그 과정의 상처를 잔인하리만큼 냉혹하게 묘사하고 있기 때문에 '그럼에도 불구하고'라는 걸 관객이 이전처럼 쉽게 내뱉을 수 없도록 만드는 것이 이 영화가 던지는 질문이자 끼치고자 했던 영향일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누군가를 완전히 믿어야 하는 순간이 반드시 온다는 것. 혹은 완전히 믿어야만 하는 존재를 언젠가는 만나게 된다는 것. 이건 인생의 커다란 고통이자 또 희망일지도 모른다. 영화의 마지막 그럼에도 믿고자 했었던 아이코 (미야자키 아오이)가 타시로 (마츠야마 켄이치)를 지긋이 바라보는 그 눈빛은 그래서 더 처연하고 또 희망적이다.




 (주)미디어캐슬. All rights reserved



글 / 아쉬타카 (www.realfolkblues.co.kr)


본문에 사용된 모든 스틸컷/포스터 이미지는 인용의 목적으로만 사용되었으며,

모든 이미지의 권리는 (주)미디어캐슬 에 있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