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PI 코리아. All rights reserved



컨택트 (Arrival, 2016)

언제나 몇 번이라도


종종 어떤 영화를 보고 나면 드는 생각들이 있다. '아, 이 영화는 아마 감독이 어떤 트라우마 혹은 어떤 실수나 상처를 회복하고 되돌리고 싶다는 생각에서 시작한 이야기가 아닐까'하는. 예를 들면 가볍게는 픽사의 '인사이드 아웃'을 보고는 감독이 자신의 자녀의 마음을 다 돌보지 못하고 이사를 가버린 것에 대한 미안한 감정을 풀어낸 것이 아닐까 하는 것이나, 판타지 영화나 타입 슬립 영화들을 보며 배우자나 자녀 혹은 친구 등 아주 가까운 이의 죽음이나 부제로 인한 슬픔 혹은 돌아와 주길 간절히 바라는 마음에서 시작한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하곤 했었다. 드니 빌뇌브의 신작 '컨택트 (Arrival, 2016)'를 보고 나서도 비슷한 생각이 들었다. 감독인 드니 빌뇌브나 원작 소설을 쓴 테드 창이 실제로 그러한 일이 있었는가는 물론 전혀 중요하지 않다. 다만 이 영화가 담고 있는 정서에서는 어떠한 부제가 말미 앎은 상처를 되돌리고자 하는 간절함을 넘어서는 더 강력한 삶의 의지 그리고 그 모든 것을 가능하게 만든 사랑이라는 인간이 가진 힘을 실감할 수 있었다. 


(내용에 대한 스포일러가 있습니다)



ⓒ UPI 코리아. All rights reserved



어느 날 갑자기 지구 상에 나타난 외계의 존재. 그들이 지구에 나타난 목적을 알아내기 위해 언어학자인 루이스 (에이미 아담스)와 물리학자인 이안 (제레미 레너)은 미국 정부와 군인들로 이뤄진 팀과 함께 그들과 직접 조우하게 된다. 세션이라고 불리는 여러 차례의 조우 순간을 통해 루이스와 이안은 그들에게 인간의 언어를 가르치고 점점 더 그들과 의사소통이 가능해진다. 


미지의 존재, 특히 외계에서 온 것으로 예상되는 어떠한 존재 (사실 전혀 다른 얘기지만 영화 속에 등장하는 미지의 존재가 꼭 외계에서 온 존재라고만 한정 짓기는 어렵다. 어쩌면 3천 년 이후 지금의 인류가 진화한 형태일 수도 있는. 즉, 그렇게 되면 이들의 방문 목적은 더 설득력을 얻게 된다고 볼 수 있다)와의 조우를 통해 모두가 가장 관심을 갖고 주목하는 것은 도대체 '왜?' 도착 (Arrival) 했는가에 대한 답이지만, 정작 영화는 이 질문과 답보다는 루이스의 플래시백에 더 관심을 둔다. 딸이 태어나고 행복한 시간들을 보냈으나 어린 나이에 결국 병으로 죽음을 맞게 되는 딸의 모습을 지속적으로 플래시백으로 삽입하는데, 나중에 결국 이것은 플래시백이 아닌 플래시 포워드 즉 과거의 기억이 아닌 미래의 기억이라는 것이 밝혀지면서 이 영화 '컨택트'는 유사한 설정의 SF영화들과 다른 결의 이야기를 담게 된다.



ⓒ UPI 코리아. All rights reserved



어린 딸의 죽음으로 괴로워했던 루이스는 그들의 언어를 이해하는 동시에 그들이 시제를 인식하는 방식 역시 이해하게 되면서, 그동안 자신이 느꼈던 딸의 죽음이 과거의 일이 아니라 미래에 벌어질 일이라는 것을 알게 된다. 그리고 방식은 다르지만 다른 타입 슬립 영화들의 주인공들이 어떠한 순간으로 되돌아가 뒤틀린 일을 바로 잡으려는 것처럼, 이 일어나지 않은 일을 선택할 수 있는 기회 역시 갖게 된다. 아니, 더 정확히 말해서 미래를 바꿀 수도 있을 선택의 기회를 갖게 된다. 


영화가 미래를 묘사하는 방식은 선지자적이고 예언적인 것이 아니라 아이러니하게도 과거와 동일하게 기억의 측면으로 그려낸 다는 점이 중요하다. 이건 미묘하게 감정적으로 다른 측면이 있는데 일반적인 시간의 흐름이 지배하는 인식에서는 현재를 바꿔서라도 미래의 어떤 비극적인 일을 바로 잡으려 애쓰는 것이 가능하지만, '컨택트'와 마찬가지로 시제를 인식할 경우 기억의 형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단순히 되돌리거나 일어나지 않도록 만들어 버리기엔 너무 많은 감정들을 이미 느껴버린 뒤라는 것이다. 즉, 루이스는 너무나 아끼는 딸이 어린 나이에 병으로 죽음을 맞게 될 것이라는 것을 이미 알고 있기 때문에 그러한 고통을 자신이나 딸 모두 느끼지 않도록 아이를 애초에 낳지 않거나 혹은 다른 사람과 만나 아이를 낳는 것을 선택해볼 수도 있지만, 그렇다면 현재 자신이 기억하고 있는 미래의 딸의 존재는 지워지는 것이기 때문에 이러한 선택은 사실상 불가능한 것이 되어버린다. 어쩔 수 없이 앞서 선택이라는 표현을 썼지만 이건 애초에 선택이라는 것 자체가 무의미한 질문이다.



ⓒ UPI 코리아. All rights reserved



영화를 보며 루이스가 그들의 언어를 이해하고 그리하여 앞으로 벌어질 일들을 모두 알고 있음에도 다시금 (사실은 처음) 그 선택을 하게 되는 그 순간부터 영화가 끝날 때까지 눈물을 흘리지 않을 수가 없었다. 그리고 그런 생각이 저절로 들었다. 만약 내가 이 영화를 바로 얼마 되지 않았던 그 시점 즉, 내게 아이가 없던 시절에 보았더라면 과연 지금과 같은 감정을 느낄 수 있었을까? 루이스의 심정이 분명 이해되고 감정적으로도 충분히 공감한다고 느꼈겠지만, 과연 내 아이가 있는 지금과 같은 감정을 느꼈다고 말할 수 있을까 하는 생각. 


루이스에게 이것이 선택의 문제조차 될 수 없었다는 것을 몇 개월 전 부모가 된 내 입장에서는 조금도 어렵지 않게 바로 알 수 있었다. 가끔 TV를 보다 보면 다시 태어나도 지금의 배우자를 만날 것인가 아닌가를 묻는 순간들을 보게 된다. 사실 이 질문 자체가 별로 의미 없는 것이지만 만약 다시 태어나도 지금 내 아이의 부모로 태어나겠냐고 묻는 다면 그건 진심으로 0.1%의 의심도 없이 바로 그렇다고 답할 것이다. 이건 이제 막 부모가 된 지 몇 개월 되지 않은 나뿐만 아니라 모든 부모들이 마찬가지일 것이다. 설령 루이스처럼 미래의 기억 속에 아이의 아픔이 느껴지더라도 그건 절대 바꾸고 싶지 않은 가장 첫 번째 미래일 것이다. 언제나 몇 번이라도 말이다.




글 / 아쉬타카 (www.realfolkblues.co.kr)


본문에 사용된 모든 스틸컷/포스터 이미지는 인용의 목적으로만 사용되었으며,

모든 이미지의 권리는 UPI코리아 에 있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