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도 사랑일까 (Take This Waltz, 2011)

아니, 사랑이란 감정을 믿을 수 있을까



순전히 미셸 윌리엄스의 팬이라서 관심이 갔던 영화. 알고 보니 '어웨이 프롬 허 (Away from Her, 2006)'를 연출했던 사라 폴리의 작품이었다. 최근 본 작품 가운데 역시 미셸 윌리엄스가 출연했었던 '블루 발렌타인 (Blue Valentine, 2010)'과 연관지어서도 생각해보게 되는 작품이었는데, '우리도 사랑일까'는 좀 더 여성의 심리에 서서 '사랑'이라는 말로 형용하기 힘든 오만가지 감정을 섬세한 손길로 다루고 있다. '우리도 사랑일까'라는 제목으로 국내 개봉한 영화를 다 보고 난 소감은 뭐라 정리되지 않는 답답함과 미묘함이었는데, 그 가운데 저 제목과도 같은 질문이 떠올랐다. 아니, 사랑이란 감정을 믿을 수 있을까?



ⓒ Joe's Daughter. All rights reserved


'우리도 사랑일까'는 여주인공 마고 (미셸 윌리엄스)가 결혼한 상대인 루 (세스 로건)와의 사랑과 새로운 사랑인 대니얼 (루크 커비)을 만나게 되면서 겪는 사랑이라는 감정에 관한 이야기다. 사라 폴리는 이 현재의 사랑과 새로운 사랑을 묘사하면서 다른 영화들에서 흔히 보여주는 극적인 요소를 최대한 절제하고 있다. 현재의 남편인 루와의 관계는 권태가 살짝 느껴지기는 하지만 둘은 괜찮은 관계를 유지하고 있고 더 나아가 루는 결코 나쁜 남자라 보기 어렵다. 새롭게 다가온 대니얼과의 관계 역시 첫 눈에 반하는 사랑과도 같은 연결 고리로 시작되지만, 번쩍 하고 불타오르기 보다는 다칠까봐 조심스러워하는걸 더 비중있게 묘사한다. 앞서 이 영화가 마고를 중심으로 그녀의 감정에 충실한 영화라고 했던 것처럼, 마고의 갈등은 남편인 루가 나쁜 사람이라 떠나고 싶어서도 아니고, 대니얼이 단순히 더 끌리기 때문도 아니다. 마고는 루냐 대니얼이냐를 고민하는 것이 아니라, 사랑이라는 감정 자체를 받아들일 것이냐 말 것이냐를 고민하는 것에 더 가까워 보인다. 그래서 이 영화에는 더 깊은 지점이 생긴다.



ⓒ Joe's Daughter. All rights reserved


사랑이라는 것을 묘사함에 있어서 결코 밝은 면만 다루고 있지는 않지만, 사라 폴리는 확실히 사랑이라는 감정의 아름다운 지점을 잘 알고 있는 듯 하다. '어웨이 프롬 허'도 결국은 사랑 그 이상의 '삶'에 대해 이야기하는 영화였지만 그래도 두 노년의 부부를 통해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었던 것처럼, 마고가 루와 그리고 대니얼과 만들어내는 사랑의 감정과 순간들은, 그 어느 불타 오르는 사랑 영화보다도 아름다운 순간을 담고 있다. 하지만 더 놀라운 건 바로 이 사랑의 아름다운 순간이 결국 알고 보면 사랑을 모두 떠나보낸 순간이었음을 모두 가능하도록 만든 연출이었다. 그리고 여기에는 미셸 윌리엄스의 자연스러우면서도 섬세한 연기가 크게 한 몫을 하고 있다. 


미셸 윌리엄스는 '브로크백 마운틴'부터 지금까지 꾸준히 성장하고 있고, 갈수록 더 나은 연기를 보여주고 있어 개인적으로도 가장 좋아하는 여배우 중 하나인데, 이 작품에서는 사랑스러움을 한껏 표현하다가도 또 그 묘한 표정으로 초월한 듯한 감정을 표현해내는데 쉽게 말해 여우주연상 후보에 오를 만한 연기를 펼치고 있다. 개인적으로 연기만 놓고 보자면 '마릴린 먼로와 함께한 일주일'보다 이 작품의 연기가 훨씬 더 좋았다. 



ⓒ Joe's Daughter. All rights reserved


이 영화의 결말을 해피엔딩이라 해야할지 그 반대라 해야할지 모르겠다. 그 판단이 각자 다르 듯, 사랑이라는 감정에 대한 믿음도 결국 사랑을 하고 있는 그 본인 만이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아이러니하게도 어떤 판단을 하든지 사랑이라는 것은 항상 그대로 일 것이다.



1.


ⓒ Joe's Daughter. All rights reserved


이 장면은 너무 좋았어요. 아마도 토론토 어딘가 인 것 같은데 혹시라도 그 곳에 간다면 꼭 가보고 싶을 정도로요. 올해의 명장면 후보.


2. 대니얼 역할을 맡은 루크 커비는 Dashboard Confessional의 Chris Carrabba를 너무 닮아서 (스타일도 비슷하고), 보는 내내 크리스 생각이 절로 나더군요 ㅎ




글 / 아쉬타카 (www.realfolkblues.co.kr) 

  

본문에 사용된 모든 스틸컷/포스터 이미지는 인용의 목적으로만 사용되었으며,
모든 이미지의 권리는 Joe's Daughter 에 있습니다.


 



50/50

보이지 않던 반대편의 50%에 대해



조셉 고든 레빗 주연의 '50/50'를 보았다. 이 영화에 대한 사전정보는 정말 그 뿐이었다. 이 영화가 암으로 인해 생존확률 50%에 놓인 한 남자의 이야기라는 것도, 그리고 시나리오 작가이자 세스 로건의 실제 친구이기도 한 윌 라이저의 실화를 바탕으로 했다는 것도, 영화가 끝나고 자막이 올라가고 나서야 알았을 정도였으니. 죽음을 앞두거나 직면한 이들의 이야기는 어느 정도 공통점을 갖는다. 어느 덧 갑작스레 찾아온 죽음에 일탈이나 커다란 혼란을 겪는 이들의 이야기 혹은 너무나도 차분하고 의연하게 받아들이는 듯 보이지만 결국 약한 속으로는 공포와 슬픔을 겪는 이야기일텐데, 이 영화 '50/50'는 굳이 비교하자면 후자에 가깝다고 할 수 있겠다. 그리고 여기에 코미디적 요소까지 더하고 있다. 실제로 이 영화는 대부분 '코미디'로 분류되곤 하는데, 개인적으로는 개인사가 얽혀있어서인지 아니면 그냥 다른 이유인지 그다지 코미디로 느껴지지는 않았다. 그저 죽음을 직면한 친구 곁에 코믹한 친구가 있을 뿐, 영화의 근본과 이야기는 크게 다르지 않았다. 즉, '50/50'은 죽음을 직면한 한 남자(반대로 얘기하자면 삶을 직면하게 된 한 남자)와 그의 가족, 친구들이 이를 함께 겪어가는 내용을 비교적 무겁지 않게 담아내고 있다.




ⓒ Mandate Pictures . All rights reserved


극중 애덤 (조셉 고든 레빗)이 암 선고를 받은 뒤 겪게 되는 과정들은 앞서 말했듯 결코 특별하지 않다. 처음에는 내가 그럴리 없다고 인정하지 못하지만 이를 받아들이고 나서는 자신은 아무것도 변한게 없다고 하지만, 어느덧 이전과는 많이 달라져있는 (불안해져있는) 자신을 발견하게 된다. 그리고 스스로도 아무렇지 않다고 믿고 싶었던, 주변 사람들을 위해서라도 아무렇지 않으려고 했던 자신이 한 순간에 무너져 버리는 순간도 역시 등장한다. 이렇듯 별로 새로울 것은 없는 전형적 이야기가 지루하지 않게 다가오려면 진정성이 있어야 하는데, '50/50'에서 조셉 고든 레빗이 연기한 애덤에게는 이러한 진정성이 느껴졌다. 이러한 상황에 놓인 이들에게는 말로 쉽게 표현할 수 없는 오만가지 복잡한 심리상태와 자주 표현되거나 혹은 숨기고 싶어하는 감정들이 있는데, 이 작품에서는 바로 이러한 진정성있는 심리 상태가 느껴졌다. 전형적이되 애덤의 이야기가 '뭐, 영화니까'라고 느껴지지 않을 정도로(실화라는 것과는 무관하게) JGL의 눈빛과 표정 하나 하나는 그럴 수 있다는, 더 나아가 '그래, 맞아'하는 생각까지 들게 했다. 이로 인해 '50/50'은 설사 전형적인 틀에서 하나도 벗어나지 않는 영화라 하더라도 의미있는 작품으로 기억될 수 있는 조건을 갖추고 있다.



ⓒ Mandate Pictures . All rights reserved


이 영화가 주목하고 있는 또 다른 시선은 바로 애덤 주변 인물들의 묘사다. 연인, 친구, 가족, 상담사 등 애덤이 암에 걸리기 전 부터 알고 있던 사람들과 이후 알게 된 사람들과의 관계 맺기와 변화에 대해 영화는 사실적이면서도 진정성있게 그려내고 있는데, 일단 친구인 카일(세스 로건)에 있어서는 세스 로건 스스로가 실제 그 인물이나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더욱 감성적으로만 묘사하지 않고 오히려 거리를 둔 채 묘사할 수 있지 않았나 싶다. 친구인 카일을 묘사하는 방식에서도 알 수 있듯이, 애덤의 가족이나 주변 인물들을 그리는 방법에 있어서 적극적이기 보다는 소극적으로 묘사한 것이 오히려 마음에 들었다. 즉, 애덤의 불안함 만큼이나 걱정과 슬픔을 겪는 주변인들의 비중을 대등할 정도로 가져가는 것이 아니라, 주변 인물들 내면의 이야기를 매우 미미하게 가져갔음에도 이 영화가 죽음을 직면하게 된 애덤 한 사람의 이야기가 아닌, 애덤과 그 주변이 함께 겪는 이야기로 만들어 낸 것이야 말로 '50/50'의 가장 큰 매력이자 영민한 점이라고 할 수 있겠다.



ⓒ Mandate Pictures . All rights reserved


결론적으로 '50/50'은 죽음을 맞닥들이게 된 주인공 애덤의 심리를 진정성있게 묘사하는 동시에(50), 애덤의 친구와 가족들의 걱정하는 마음을 역시 진정성있고 의연하게 그리고 있는(50) 작품이었다. 그리고 죽음이라는 것에 가려 보이지 않았던 50%의 희망과 이로 인해 평소에는 볼 수 없었던 관계 속 반대편의 50%를 볼 수 있게 해준, 새롭지는 않지만 의미있는 작품으로 기억될 것 같다.



1. 브라이드 달라스 하워드는 이 영화에서 마치 썸머 처럼 나오더군요. 아, 썸머 얘기가 나와서 말인데, 이렇게 조셉 고든 레빗이 멀쩡하게 나오는 영화에서 썸머가 곁에 없으니 뭔가 부족함이 느껴지더군요 ㅎ


2. 삽입된 곡들의 센스가 다 좋았어요. 라디오헤드의 'High and Dry'는 이 영화에서도 아주 잘 어울리더군요.


3. 안나 캔드릭은 전작 '인 디 에어'와 비슷한 캐릭터를 맡아 연기하고 있는데, 이런 사회초년생 이미지가 굳어지는건 아닌가 모르겠네요 ㅎ


4. 아주 소소한 얘기로, 극중 애덤에게 전화가 걸려오는데 아이폰 기본 벨소리의 익숙한 멜로디 하나 때문에 급 공감대가 형성되더군요 ㅋㅋ JGL과 나도 같은 시대를 살고있다는 걸 조금이나마 느낄 수 있을 정도였어요 ㅋ





글 / 아쉬타카 (www.realfolkblues.co.kr) 
  
본문에 사용된 모든 스틸컷/포스터 이미지는 인용의 목적으로만 사용되었으며,
모든 이미지의 권리는 Mandate Pictures 에 있습니다.


미셸 공드리와 세스 로건의 그린 호넷 비긴즈


1930년대 중반부터 1950년에 걸쳐 방송되었던 WXYZ 라디오 시리즈로 처음 등장한 '그린 호넷'은, 이후 1960년대 미국 ABC사의 TV시리즈로 방영되며 화제를 모은 또 하나의 히어로 시리즈였다. TV시리즈 '그린 호넷'은 범죄자를 가장한 영웅 그린 호넷과 그의 운전사이자 경호원인 동양인 케이토가 벌이는 악당들과의 대결구도를 그리고 있는데, 이 오래된 TV시리즈를 아직도 많은 이들이 기억하는 가장 큰 이유라면 당시 케이토 역할을 맡았던 배우가 다른 누구도 아닌 이소룡 이었기 때문일 것이다.





그리고 이 작품이 다시 헐리웃에서 영화화 된다는 소식에 관심을 갖게 된 이유는, 이 작품의 감독으로 주성치가 물망에 올랐었기 때문이었다. 평소에도 이소룡에 대한 깊은 존경의 마음을 자주 표한 적이 있는 주성치였기에, '그린 호넷'과의 연결 고리도 어색하다기보다는 기대하는 바가 더 컸으며 또한 케이토 역할에 국내 배우 권상우가 언급되기도 해 또 다른 호기심을 갖게 만들기도 했었다. 하지만 이 프로젝트는 결과적으로 전혀 의외의 인물이었던 미셸 공드리 감독에게 맡겨지게 되었는데, 그것이 의외일 수 밖에는 없었던 이유는 미셸 공드리는 '이터널 선샤인' '수면의 과학' 등 다른 어떤 감독들보다 헐리웃 액션 블록버스터와는 어울리지 않는 감독 중 하나였기 때문이었다. 그런데 더 의외였던 것은 공드리 자신이 이 프로젝트에 예전부터 관심이 있었다는 점이었는데, 스튜디오마저 공드리에게 '이런 주류 상업영화를 정말 하겠느냐?'라고 되물었을 정도라고 하니 제작자와 팬 모두에게 의외였다는 점만은 분명한 사실이라고 할 수 있겠다.






개인적으로 미셸 공드리 감독의 둘도 없는 팬이었지만 그가 '그린 호넷'을 연출한다고 했을 때 기대보다 우려가 컸던 것이 사실이었다. 그간 공드리의 작품들과 '그린 호넷'과의 접점을 찾기는 쉽지 않은 것이었으며, 뮤직비디오 감독 시절 보여주었던 감각들 역시 액션 블록버스터 영화에서 어떻게 소비될지 가늠하기가 쉽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결과부터 말하자면 (왜 슬픈 예감은 틀린 적이 없는지) 우려 했던 대로 미셸 공드리와 그린 호넷의 조합은 그리 매력적이지 못했다. 미셸 공드리의 장점은 아날로그 한 것과 소박한 것, 그리고 컴퓨터 그래픽을 무색하게 만드는 번뜩이는 아이디어로 치장한 장면들이라고 할 수 있을 텐데, 그런 장점들이 제대로 발휘되기에 '그린 호넷'의 무대는 적절하지 않았으며 주연과 제작/각본을 맡은 세스 로건과의 궁합도 그리 어울리는 모양새는 아니었다.






'그린 호넷'에서 미셸 공드리만큼 (혹은 더!) 영향력을 미치고 있는 이라면 세스 로건을 들 수 있을 텐데, 앞서 이야기했던 것처럼 그는 주연인 그린 호넷 역할은 물론 제작과 각본에까지 참여하고 있어 사실상 세스 로건의 영화라고도 말할 수 있을 듯 하다. 부자이면서 별다른 정의감보다는 그저 질투나 아버지에 대한 반감으로 '그린 호넷'이 된 브릿 리드 역할과 세스 로건의 캐릭터는 잘 맞아 떨어지는 편인데, 전반전으로 아쉬움이 남는 것은 싱크로율 때문이 아니라 영화 속 브릿 리드라는 캐릭터 자체의 매력이 조금은 부족한 점도 없지 않다. 전반적으로 '배트맨' 같은 히어로 물 까지는 아니더라도 '킥 애스'와 같은 새로운 지평을 여는 작품이 될 수도 있었던, 더 나아가 예전 TV시리즈를 즐겼던 세대들은 물론 세스 로건과 나란히 하는 최근 영화 팬들까지 고루 만족시킬 수 있었던 여지가 있었던 작품이었으나, 조금은 아쉬운 결과물이 아니었나 싶다.





Blu-ray : Menu





Blu-ray : Pictures Quality

MPEG-4 AVC 포맷의 1080P 화질은 준수한 편이다. 전반적으로 어두운 장면이 많은 편인데 레퍼런스급 타이틀에서 볼 수 있을 정도의 암부 표현력은 보여주지 못하지만, 감상에 불편함을 줄 정도는 아니며 장면마다 조금씩 편차를 보여준다. 아주 쨍한 화질을 선호하는 이들에게는 조금 아쉬운 화질이 될 수도 있겠는데, 미셸 공드리의 성향으로 미뤄봤을 때 칼 같은 선예도 보다는 아무래도 지금과도 같은 부드러운 느낌을 의도한 것이 아닐까 싶다.

이하 스크린샷은 클릭하면 확대됩니다







Blu-ray : Sound Quality

DTS-HD MA 5.1채널의 사운드는 자동차 추격 씬, 케이토의 화려한 무술 실력을 만끽할 수 있는 격투 씬 그리고 이 작품에서 빼놓을 수 없는 또 다른 주인공 '블랙 뷰티'가 만들어 낸 다양한 무기들이 활용되는 사운드를 차세대 포맷답게 수준급 음질을 들려준다. 사운드적인 측면에서는 볼거리보다 오히려 더 많은 정보를 담고 있다고 할 수 있을 텐데, 디테일 한 측면보다는 전체적으로 사운드의 임팩트와 규모에 포커스를 맞추고 있다.





Blu-ray : Special Features

세스 로건과 프로듀서 그리고 감독인 미셸 공드리가 참여한 음성해설이 수록되었으나 안타깝게도 한글자막이 지원되지 않는다. 세스 로건은 시종일관 그 특유의 웃음으로 분위기를 유쾌하게 이끌어 가는데, 이런 유쾌함을 국내 소비자들이 함께 즐길 수 없는 점은 분명 아쉬운 점이다. 'Delete Scenes'에서는 총 9가지 삭제 장면이 수록되었는데 모두 본편과 동일한 HD퀄리티의 영상으로 수록되었다.

''Awesoom' Gag Reel'' 은 촬영장에서 벌어진 재미있는 장면들이 담겨 있는데, 아마도 다른 작품의 Gag Reel이었다면 조금은 흘려 보는 부가영상이 되었을지 모르겠지만, 아무래도 세스 로건이 출연하다 보니 좀 더 집중해서 보게 되었고 결과도 여타 Gag Reel 보다는 더 재미있는 부가영상이었다. 의외였다면 미셸 공드리 감독의 '깨는' 모습들도 만나볼 수 있었다는 것.





''Trust Me' Director Michel Gondry'에서는 감독인 미셸 공드리가 이 작품을 처음 맡게 된 이유부터 그가 스튜디오에 먼저 보내온 테스트 격투 장면 영상과 작품 속에 숨어 있는 그만의 재능이 발휘된 부분들을 확인해볼 수 있다. 재미있는 건 미셸 공드리와 처음 작업해보는 헐리웃 스텝들이 처음에는 그가 의도하는 바와 방식을 이해하지 못해, 이유도 모른 채 일단 시키는 대로 해보자 라는 마음으로 임했다가 나중에 편집된 영상을 보고 나서야 고개를 끄덕이게 되었다는 부분이었다. 아, 그리고 말미에 등장하는 공드리의 충격적인(?) 저질 유머도 인상적이었다.





'Writing The Green Hornet'에서는 각본과 총제작을 맡고 있는 세스 로건과 에반 골드버그의 인터뷰를 통해, '그린 호넷'을 쓰면서 고려했던 점들, 캐릭터를 만들면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했던 점들에 대해 들려준다. 캐릭터와 캐스팅에 관한 뒷이야기 중 흥미로웠던 것은, 크리스토퍼 왈츠가 연기한 처드노프스키 역할이 본래는 니콜라스 케이지가 맡기로 되어 있었다는 사실.






'The Black Beauty : Rebirth of Cool'에서는 영화 속 만능 자동차인 블랙 뷰티의 상세한 제작과정을 만나볼 수 있으며, 'The Stunt Family Armstrong'에서는 '그린 호넷'의 스턴트를 맡고 있는 빅, 앤디, 스콧, 이렇게 3명의 암스트롱을 통해 영화 속 스턴트의 이야기를 들려준다.





마지막으로 'Finding Kato'에서는 케이토 역할을 맡은 주걸륜에 대한 이야기를 만나볼 수 있는데, 예전 '닌자 어쌔신'의 스텝들이 아시아에서 슈퍼스타인 비의 인기에 놀랐던 것처럼, 감독 겸 배우 겸 영화 음악 작곡가이자 슈퍼스타인 주걸륜의 면면을 조명하는 한 편, 주걸륜이 케이토가 되기 위해 노력하는 과정들도 만나볼 수 있다.






글 / 아쉬타카 (www.realfolkblues.co.kr) 
  



※ 주의 : 본 컨텐츠의 저작권은 'dvdprime.com'에 있으며 저작권자의 동의 없는 무단 전재나 재가공은 실정법에 의해 처벌 받을 수 있습니다. 단, 컨텐츠 중 캡쳐 이미지에 대한 권리는 해당 저작권사에게 있음을 알립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