엑스맨: 데이즈 오브 퓨처 패스트 (X-Men: Days of Future Past, 2014)

브라이언 싱어는 엑스맨 월드를 꿈꾸는가



브라이언 싱어는 '엑스맨' 시리즈 외에도 '유주얼 서스펙트 (The Usual Suspects, 1995)', '슈퍼맨 리턴즈 (Superman Returns, 2006)' 그리고 '작전명 발키리 (Valkyrie, 2008)' 등을 연출했지만, 그래도 그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영화를 꼽으라면 누가 뭐래도 '엑스맨' 시리즈였다. 그렇기 때문에 2006년 그가 '엑스맨' 시리즈를 버리고 슈퍼맨의 리부트를 맡게 되었을 때 많은 팬들은 큰 아쉬움을 표했었는데, 그 아쉬움은 실제로 브렛 래트너가 연출한 '엑스맨 3 : 최후의 전쟁 (X-Men : The Last Stand, 2006)'이 평범한 액션 영화로 남게 되면서 더 큰 아쉬움이 되기도 했었다. 그랬던 '엑스맨' 시리즈는 '킥 애스'를 연출했던 메튜 본을 통해 2011년 '엑스맨: 퍼스트 클래스 (X-Men: First Class, 2011)'로 새롭게 태어나게 되었는데, 프로페서와 매그니토의 시작을 다룬 이 작품은, 당시 붐처럼 일던 프리퀄 열풍에 단순히 몸을 실은 작품이 아니라 '엑스맨'이라는 시리즈 전체를 다시금 조명하기에 충분한 진정성을 갖춘 작품으로 좋은 반응을 이끌어 냈었다. 그렇게 다시 브라이언 싱어의 손을 떠난 듯 했던 '엑스맨' 시리즈가 다시금 그의 손으로 만들어 진다고 했을 때, 과연 어떤 영화가 될까 궁금하지 않을 수 없었는데, 결론은 충분히 만족스러웠다. 브라이언 싱어는 자신이 꿈꾸던 엑스맨 월드의 영화화 비전을, 메튜 본이 이뤄 낸 성과 위에 고스란히 펼쳐 놓으며 한 발 더 확장시킨 엑스맨 월드를 다시 한 번 관객들에게 선보였다.



ⓒ Twentieth Century Fox Film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다소 이야기의 구성이 반복되는 가운데 캐릭터만 하나 씩 추가되는 양상으로 조금씩 흐를 수 있었던 '엑스맨' 시리즈를 새롭게 구원한 것은, 어찌되었든 메튜 본이 선택한 프리퀄의 방식이었다. 코믹스를 기반으로 한 매니아들을 제외한 일반 관객들이 서서히 뮤턴트 월드에 지쳐갈 때, 이야기의 맨 처음으로 돌아가 현재 적이지만 묘한 우정을 유지하고 있는 프로페서 X와 매그니토의 시작을 다룬 선택은 여러 모로 효과적이었다. 단순히 과거를 돌이켜 보게 된 것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이 시리즈의 가장 핵심 테마라 할 수 있는, 존재의 관한 문제를 근본적으로 다시 생각해볼 수 있게 되었으며 관객들로 하여금 깊은 공감대마저 이끌어 낼 수 있었다.


넓게 봐서 이번 브라이언 싱어의 '엑스맨 : 데이즈 오브 퓨처 패스트'는 메튜 본의 '퍼스트 클래스'에 이은 자연스러운 작품으로 볼 수 있겠다. 즉, 감독은 바뀌었지만 가장 최근 작인 '퍼스트 클래스'를 인상적으로 본 관객들이 위화감이 크지 않도록 큰 맥락을 계속 이어가고 있다는 얘기다. 여기에 브라이언 싱어는 자신이 만들었던 엑스맨 1,2에 등장했던 캐릭터들은 물론 3편에 등장했던 캐릭터들까지 주조연, 단역에 이르기까지 등장시키며 기존의 엑스맨 시리즈를 아우르는 이른바 '월드'를 보여주고 있다.



ⓒ Twentieth Century Fox Film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장점으로는 그러하지만 이런 방식이 단점으로 작용할 수도 있을 텐데, 그 중 하나는 일반 관객들에게 명확한 구심점을 제공하지 못했다는 점일 것이다. 전편인 '퍼스트 클래스'는 앞서 여러 번 이야기했던 것처럼 찰스와 에릭의 캐릭터가 어떻게 만들어지고 발전했는지에 대한 뚜렷한 서사구조와 공감대 형성의 기회가 있었던 반면, 이번 작품은 이 관계를 계속 이어가는 것은 물론 브라이언 싱어 '엑스맨'의 중심이었던 울버린이 등장하면서 일종의 화자 역할을 자처하고 있는데, 여러 명의 중심 캐릭터가 겹쳐지다보니 누군 가에게는 여럿이 등장하는 캐릭터 구조에 적응하지 못한 채 누구의 이야기에 더 귀기울여야 하나 갈팡질팡 하다가 끝나버리는 수도 있을 듯 하다. 즉, 다시 말해 이번 '데이즈 오브 퓨처 패스트'는 형식상 미래와 과거를 다루는 것은 물론, 이전 시리즈에 등장했던 캐릭턱들과의 상관 관계도 은연 중에 내제되어 있다보니 이번 작품 만으로 공감대를 이루기에는 부족함이 발생할 수도 있다는 얘기다.



ⓒ Twentieth Century Fox Film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하지만 반대로 이야기하면, 이 부분은 그 동안 브라이언 싱어의 '엑스맨'은 물론 브랫 레트너와 매튜 본의 '엑스맨' 까지 모두 즐겼던 팬들에게는, 뭐라 딱 잘라 표현하기 어려울 정도의 미묘한 감정선이 포함된 매력적인 작품이기도 했다. 찰스와 에릭의 드라마는 이제 크게 강조하지 않아도 극적인 드라마를 느낄 수 있었고, 그 중심에 놓인 레이븐의 스토리 역시 제니퍼 로렌스의 표정 연기 하나 만으로도 그 간의 세월을 짐작하게 만드는 감정을 느낄 수 있었으며, 시리즈 전반에 걸쳐 가장 큰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 맨 중에 맨 휴 잭맨이 연기한 울버린 역시, 초기 브라이언 싱어가 연출했던 '엑스맨' 시리즈의 향수를 불러 일으키는 존재로서 전체적으로 세계관을 풍성하게 만드는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런 측면에서 이번 '데이즈 오브 퓨처 패스트'는 다소 산만할 수도 있는 시간 여행이라는 소재를 다루고 있지만, 그것을 사건에 초점을 맞추지 않고 감정선에 초점을 맞추며 이 시리즈 전체를 감정적으로 바라보게 되는 계기를 마련했다. '퍼스트 클래스'가 독립적으로 완벽한 작품이었다면, '데이즈 오브 퓨처 패스트'는 시리즈 전체를 사랑하도록 만드는 매력적인 작품이랄까.



ⓒ Twentieth Century Fox Film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실제로 과거를 직접적으로 다뤘던 '퍼스트 클래스' 보다도 이 작품을 보고 나서 더욱 이전 '엑스맨 1,2'편을 다시 보고 싶어졌다. 또한 제임스 맥어보이와 마이클 패스벤더가 연기하는 찰스와 에릭의 캐릭터도 또 한 번, 빠르게 다시 보고 싶어졌다. 개인적으론 마음에 들었지만 이번 작품은 조금만 더 나아가도 지루해지거나 과할 수 있는 아슬아슬한 작품이었다고 생각한다. 그 아슬한 지점의 줄타기를 멋지게 해 낸 브라이언 싱어의 다음 엑스맨 영화가 기다려진다.



1. 센티넬로 인해 처참하게 무너져 버린 미래의 상황을 초반에 좀 더 묘사해서 더 어두운 분위기를 냈더라면, 이후의 이야기들이 좀 더 매력적일 수 있지 않았을까 하는 작은 바람도.


2. 안나 파킨은 정말 잠깐 나오는데 크레딧에서는 상당히 빠르게 나오더군요.


3. 어쨋든 전 이 라인업이 마음에 들어요. 계속 이들이 만들어내는 엑스맨을 만나볼 수 있었으면!


4. 진 그레이가 등장하는 장면은 정말 엑스맨 1,2를 꺼내 보고 싶도록 만드는 ㅠㅠ




글 / 아쉬타카 (www.realfolkblues.co.kr) 

  
본문에 사용된 모든 스틸컷/포스터 이미지는 인용의 목적으로만 사용되었으며,
모든 이미지의 권리는  Twentieth Century Fox Film Corporation 에 있습니다.




로마 위드 러브 (To Rome With Love, 2012)

수많은 이야기가 존재하는 곳, 로마



'미드나잇 인 파리'에 이은 우디 앨런의 또 다른 도시를 배경으로 한 영화 '로마 위드 러브 (To Rome With Love, 2012)'를 보았다. 사실 2010년에 발표한 '환상의 그대 (You Will Meet a Tall Dark Stranger, 2010)'부터 이 작품에 이르기까지 세 작품은 조금씩 다르기는 하지만 여러 명의 인물들이 한 곳을 배경으로 다른 듯 같은 이야기를 하는 구조를 보여주고 있는데, 이번 작품 역시 이와 크게 다르지 않다. 결론부터 이야기하자면 이런 형식의 영화 가운데 가장 완성도가 높았던 것은 역시 '미드나잇 인 파리'인 것 같다. '로마 위드 러브'는 각기 다른 인물 (혹은 커플)들의 이야기를 로마라는 매력적인 도시를 배경으로 들려주는데, 조금은 완전히 동화 되지 못한 느낌을 주기도 한다.



ⓒ  Medusa Film. All rights reserved


사실 '로마 위드 러브'를 보러 갈 땐 편한 마음으로 우디 앨런이 들려주는 농담과 삶에 대한 경험 들을 듣고자 했었는데, 막상 영화를 다 보고 나니  마냥 편안하게 즐기기만 하는 영화는 아니었다. 일단 가장 흥미로웠던 것은 역시 우디 앨런이 오랜 만에 자신의 영화에 직접 출연하고 있다는 점이었다. 물론 그의 수준급 메소드 연기를 보는 것도 충분히 즐겁지만, 그가 직접 출연한다는 사실은 그 이상의 생각할 거리를 던지고 있어 더 흥미로웠다. 극 중 우디 앨런은 보수적이고 고집 센 할아버지로 등장하는데, 그가 이 캐릭터를 통해 내 뱉는 한 마디 한 마디가 그가 이 작품의 감독이다 보니 흥미로울 수 밖에는 없었다. 마치 홍상수 영화 속 감독 캐릭터를 그냥 영화 속 캐릭터라고 보기 힘든 것과 같은 경우였는데, 워낙 이런 면에 솔직하고 거침없는 우디 앨런이다보니 한 마디 한 마디가 관객에게 콕콕 꽂히는 느낌이었다. 홍상수의 경우도 그렇지만, 우디 앨런은 자신에게 쏟아지는 세간의 평가나 이야기들에 대해 억울함보다는 초연 한 자세로 '난 상관없어 그냥 내가 하고 싶은 대로 할꺼야'라고 말하는 듯 했다. 그래서 그의 팬들은 아마도 그와 그의 작품을 더 좋아하는 것이겠지만.




ⓒ  Medusa Film. All rights reserved


'미드나잇 인 파리'에서도 그랬고 좀 더 앞선 작품을 들자면 '스쿠프 (Scoop, 2006)'에서도 그랬었는데, 우디 앨런은 전혀 그럴 것 같지 않은 배경과 이야기 속에서 자신 만의 판타지를 표현하곤 했었다. 장르 적인 판타지를 말하는 것인데, 사후 세계가 등장 한다 거나 유령과도 같은 인물이 섞여 있거나 하는 등이 그것이다. '로마 위드 러브'에서도 알렉 볼드윈이 맡은 역할이 여기에 포함된다고 할 수 있을텐데, 그가 유령인지 아닌지 가 하나도 중요한 포인트가 아니라는 점이 우디 앨런 영화 만의 매력이라고 할 수 있을 것 같다. 아무렇게 나 불쑥 끼어들고 등장해도 어색하지 않고 오히려 그 나름의 재미를 주며, 자신의 이야기가 없이 다른 캐릭터의 이야기 속에만 존재하는 인물들의 표현도 거추장스럽지 않다. 뭐랄까, 우디 앨런은 자신이 하고자 하는 이야기를 좀 더 풍성하게 만들기 위해 영화 속에 또 다른 화자 혹은 장치들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듯 하다. 이러한 지점이 최근 우디 앨런 영화에서 묘한 매력을 주는 지점이 아닌가 싶다.



ⓒ  Medusa Film. All rights reserved


우디 앨런이 끊임 없이 이야기하고자 하는 테마 중 하나가 바로 남녀 간의 사랑이라고 할 수 있을텐데, 이 노장은 아직도 신선한 감각으로 젊은 배우들과 호흡을 맞추며 또 다른 남녀 간의 미묘함을 이야기한다. 또한 이번 작품은 좀 더 풍자적인 성격이 짙은 작품이 아닐까 싶다. 도시로 온 두 남녀가 겪게 되는 의외의 에피소드를 통해 이들이 평소 표현하지 못하고 있는 욕망에 대해 유쾌하게 풀어내고 있으며, 제시 아이젠버그와 엘렌 페이지가 연기한 커플의 이야기도 자신의 자존심 혹은 자존감에 근거한 이들의 미묘한 감정 교류를 보여준다. 그리고 로베르토 베니니가 연기한 캐릭터의 에피소드는 어쩌면 이 쇼 비지니스의 세계를 살고 있는 모든 배우들을 향한 우디 앨런의 메시지 같아 보이기도 한다. '로마 위드 러브'의 아쉬운 점이라면 이렇듯 여러가지 이야기가 좀 뒤섞여 있다는 점이었는데, 하나의 이야기와 흐름에 완벽히 녹아든 '미드나잇 파리'나 '환상의 그대'에 비하자면 조금은 에피소드 별 주제가 달라 하나로 보기 어려운 점이 있었다. 차라리 완전히 에피소드 화 화여 나누었으면 어땠을까 하는 생각도.



ⓒ  Medusa Film. All rights reserved


우디 앨런은 러닝 타임 내내 각각의 이야기를 쏟아내고는 마지막에 가서, 이건 그냥 수 많은 이야기 중 하나 일 뿐 또 다른 이야기를 들려 드릴 께요 라고 마무리한다. 사실 '로마 위드 러브'는 정작 로마에 가고 싶어지는 생각은 덜 드는 작품이었는데, 이 마지막을 보니 한 번 쯤 가보고 싶어졌다. 로마의 무엇이 그리도 우디 앨런에게 수많은 이야기 거리를 샘솟게 했는지 궁금해져서 말이다.



1. 이 영화를 통해 다시 보게 된 배우는 알렉 볼드윈이었어요. 최근 좀 우스운 역할로 자주 출연 해서인지 예전 꽃미남 시절의 알렉 볼드윈을 떠올리게 할 만한 매력은 엿볼 수 없었는데, 이 작품에서 그는 진짜 배우의 매력이 무엇인지 다시금 깨닫게 해주더군요. 이 다음에는 코엔 형제의 작품에서 만나볼 수 있었으면 더 좋을 것 같아요. 아니면 웨스 앤더슨!



ⓒ  Medusa Film. All rights reserved


2. 좋아하는 배우들이 잔뜩 나오는 것 만으로도 황홀한 작품이죠. 엘렌 페이지, 페넬로페 크루즈, 앨리슨 필, 로베르토 베니니, 제시 아이젠버그 등. 특히 페넬로페의 출연은 그냥 관객에 대한 일종의 선물 같더군요!




글 / 아쉬타카 (www.realfolkblues.co.kr) 

  

본문에 사용된 모든 스틸컷/포스터 이미지는 인용의 목적으로만 사용되었으며,
모든 이미지의 권리는 Medusa Film 있습니다.


 



2010년 최고의 화제작, 크리스토퍼 놀란의 인셉션

2010년을 돌아보며 다들 각자 자신 만의 최고의 작품을 꼽게 되는데, 각기 다른 최고의 작품들 가운데 공통적으로 거론되는 가장 큰 '화제작'은 누가 뭐래도 크리스토퍼 놀란의 신작 '인셉션'이었다. '인셉션'은 그 완성도나 재미여부가 이슈가 된 것도 있지만, 그것보다는 오히려 영화를 본 사람들 사이에서 '과연 이 이야기가 코브의 꿈인 것인가, 아닌 것인가?'라는 대표적인 물음으로 시작해, 꿈 속의 꿈 그리고 그 꿈 속의 꿈으로 이어지는 영화 속 꿈의 단계에 대한 매뉴얼이 등장할 정도로, 영화 그 자체가 관객들 사이에서 스스로 진화하고 발전하는 무한한 가능성을 보여주며 영화와 관객 그 사이의 간격을 매우 가깝게 만든 작품으로 더욱 화제가 되었다고 할 수 있겠다.






개봉 당시 첫 느낌은 '매트릭스'와의 유사한 점 그리고 무엇보다 찰리 카우프만의 '시네도키, 뉴욕'과의 유사점을 발견할 수 있었는데, 시간이 흘러 블루레이로 다시 본 '인셉션'은 결국 '영화'라는 매체, 포맷과 시스템 그 자체에 대한 이야기라는 점을 더 깊게 느낄 수 있었다. 사실 영화의 제목인 '인셉션'의 의미처럼 누군가에게 의도적으로 생각을 심어, 그 생각이 스스로 진짜인 것처럼 발전되어 믿도록 만드는 것은, 영화라는 매체의 특징과 너무도 닮아있다고 할 수 있겠다. 영화라는 것은 어쩌면 관객을 상대로 한 또 다른 인셉션의 과정이며, 좋은 영화란 감독이 하려는 말을 일방적으로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감독이 하고자 하는 말을 관객들이 적극 공감하여 스스로 믿도록 만드는 것이라고 보았을 때, 더더욱 인셉션은 영화에 관한, 그리고 영화 만드는 과정에 대한 작품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사실 '인셉션'에 관한 이야기는 개봉 당시 너무 많이 – 두말 하면 잔소리일 정도로 – 거론되었고, 다양한 의견들을 이미 만나볼 수 있었기 때문에 이번 블루레이 리뷰에서는 블루레이에 관한 내용에 포커스를 맞추고, 작품에 대한 이야기는 개봉 당시 썼던 글 한 편과 당시 가장 큰 화제를 모았던 늑대발 님이 작성하신 '25가지 완벽 분석 가이드' 글의 링크로 대신하려 한다.

[감상기] 인셉션 _ 크리스토퍼 놀란이 만든 스스로 발전하는 세계

[정보] 인셉션 : 25가지 완벽 분석 가이드 (완결) – 늑대발 님

Blu-ray Menu







Blu-ray : Picture Quality

SMPTE VC1 코덱의 1080p 화질은 최신작다운 우수한 화질을 보여준다. 특히 그 동안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 타이틀의 화질들이 작품의 완성도에 비해서는 아쉬운 화질을 보여주었다는 점과 '인셉션' 역시 극장 상영 시에도 화질이 뛰어나게 좋은 경우는 아니었다는 점을 감안했을 때, 블루레이의 화질이 오히려 체감하기에는 극장상영 시 보다 더 좋다고 느낄 만큼 – 단순히 화면 크기가 작아짐에 따라 발생하는 부분은 제외하고 – 우수한 화질이었다.

▼ 스크린샷은 클릭하면 원본 크기로 보실 수 있습니다







디테일 한 측면이나 암부 표현력 모두 수준급이며, 극장에서는 작품에서 신경 쓰느라 미처 알지 못했던, 아웃 포커싱을 상당히 자주 사용하고 있음을 블루레이 화질로 확인할 수 있었다. 사실 아웃 포커싱이 적극적으로 사용된 작품들의 경우 아무래도 일반적으로 앵글에 들어오는 모든 사물이 선명한 작품보다는 화질 측면에서 아쉬운 부분으로 느껴질 수 있는데, 이런 점은 의도적 아웃 포커싱으로 인해 오해될 수 있는 부분이라는 점을 언급하고 넘어갈 필요가 있겠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도 레퍼런스 급의 화질을 보여주는 다른 극영화 타이틀에 비하자면 본래 촬영된 소스의 탓인지 조금은 아쉬운 부분이 발견되며, 장면의 편차도 조금은 있는 편이다.





Blu-ray : Sound Quality

DTS-HD MA 5.1 채널의 사운드는 극장에서 느꼈던 그 웅장한 스코어와 효과음을 고스란히 수록하고 있다. 영화 인셉션의 장면 장면이 더욱 거대하고 웅장하게 다가왔던 것은, 과연 가능할까 생각되었던 세계관을 실제로 현실화에 가깝게 영화화한 영상에도 있었지만, 이를 받쳐주는 한스 짐머의 완벽한 음악이 없었다면 불가능 했을 일이었을 것이다. 블루레이에는 바로 이 한스 짐머의 무게 있는 스코어가 가감 없이 전달되며, 극장에서 느꼈던 그 중압감을 그대로 느낄 수 있다.





본격 액션 영화는 아니지만 자동차 액션, 대형 기차의 도심 등장, 총기를 이용한 액션, 격투, 대형 폭발음까지 다양한 사운드가 수록된 작품이기 때문에 사운드 측면에서 다양한 활용도를 선보인다. 또한 에디뜨 삐아프의 'Non, Je Ne Regrette Rien'의 경우 같은 공간에서 들려주는 것 뿐만 아니라, 그 다음 레벨로 전달되고 있기 때문에 그 과정에서 오는 특유의 공간감 역시 탁월하게 전달하고 있다.

Blu-ray : Special Features

두 장의 디스크로 출시된 인셉션 블루레이에 첫 번째 디스크에는 본편 외에도 상당히 많은 분량의 부가영상이 수록되어 있다. 'Play Extraction Mode'로 감상하면 본편을 감상하던 중 부가영상이 있을 시 자동으로 연결되어 즐길 수 있으며, 'Jump Right to the Action'을 선택하면 본편과 상관없이 수록된 부가영상만 별도로 감상할 수 있다.





▲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이 직접 쓴 인셉션 속 꿈의 단계에 대한 스케치

인셉션 블루레이에는 크리스토퍼 놀란의 음성해설이 수록되어 있지는 않지만, 이 부가영상들에 수록된 감독의 인터뷰와 내레이션을 통해 음성해설 못지 않은 흥미로운 정보들을 만나볼 수 있다. 특히 놀란 감독이 직접 구상했던 '꿈의 단계' 에 대한 이야기와 앞서 설명했던 것처럼, '인셉션'이 결국 영화를 만드는 과정에 대한 이야기이기도 하다는 것을 다시 한번 확인시켜 주기도 한다.






그런 맥락에서 관객을 인셉션하는 과정에 놀란과 함께 참여하고 있는 주요 스텝들의 깊이 있는 이야기도 만나볼 수 있는데, 말 그대로 관객이 영화 속 장면들을 실제처럼 느낄 수 있도록 가능하면 실제 하는 세트, 실제 하는 장치, 실제 하는 장소에서 촬영하려고 했던 노력을 엿볼 수 있었다. 보통의 다른 영화였다면 컴퓨터 그래픽을 통해 처리했을 장면들을 CG보다는 실제 엄청난 비를 퍼붓게 한다거나, 진짜 같은 펜로즈 계단을 만든다던가 무중력 상태가 되어 좌우로 공간이 움직이는 장면의 경우 실제로 움직이는 세트를 만드는 등, 이들이 얼마나 관객 인셉션에 혼을 불어넣고 있는지 부가영상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마지막 설원에서의 폭발 장면의 경우, CG로 충분히 효과를 표현할 수 있음에도 실제 크기의 세트와 미니어처 – 상당한 크기의 미니어처 – 를 직접 제작하여 폭발시키는 여러 번의 수고를 하면서까지 진짜 폭발 장면을 만들려고 노력한 장면을 엿볼 수 있으며, '다크 나이트'에 이어 '인셉션'의 영화 음악을 맡은 한스 짐머의 작업 과정도 만나볼 수 있다.





두 번째 디스크에서 만나볼 수 있는 첫 번째 부가영상은 'Dreams : Cinema of the Subconscious' 인데, 이 영상은 이 작품의 주제가 되고 있는 '꿈'에 대한 근본적인 지적 호기심을 자극하는 다큐멘터리로서, 감독과 배우들의 인터뷰도 있지만, 그 보다는 꿈과 관련한 전문가들의 이야기도 깊이 있게 전달하고 있는 다큐라고 할 수 있겠다. 영화 '인셉션' 보다도 훨씬 더 흥미로운 '꿈'의 세계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와 고민에 절로 관심을 갖게 될 정도다. 이 작품은 조셉 고든 레빗의 홈페이지이자 젊은 예술가들의 예술 프로젝트이기도 한 'hitRECord'의 참여로 완성되었는데, 평소 JGL의 팬이었던 이들과 hitRECord를 알고 있던 이들이라면 더욱 흥미로운 다큐멘터리라고 할 수 있겠다.





'Inception : The Cobol Job'은 약 14분 분량의 풀 애니메이션 모션 코믹스로서, 내용상으로는 영화가 시작되기 전의 사건, 그러니까 코브와 아서가 사이토의 꿈에 들어가게 되었던 사건에 대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5.1 Inception Soundtrack'에서는 한스 짐머의 스코어를 5.1채널로 즐길 수 있다. 음악만을 별도로 즐길 수 있는 컨텐츠로서, 한스 짐머의 스코어에 흠뻑 빠져보는 것도 좋을 듯 하다. 참고로 이 부분에는 이스터 에그가 숨겨져 있는데, 관련된 부분은 nello 님의 인셉션 이스터 에그 글을 참고하면 되겠다. 그 밖에 아트 갤러리와 프로모션 자료들, 그리고 TV예고편과 티져 예고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총평] 크리스토퍼 놀란의 '인셉션'은 그를 '다크 나이트'에 이어 또 한번 작품성과 대중성을 모두 만족시키는 경지에 올려놓은 걸작이었으며, 화제성과 이슈로 인해 묻힌 감이 있지만 결말 논란과 영화의 미로 구성과는 별개로, 전달하려는 메시지와 영화적 완성도가 매우 높은 아이디어가 집약된 작품이기도 했다. 우수한 화질과 사운드, 아 그리고 무엇보다 영화 속 주인공들처럼 크리스토퍼 놀란과 그 일당들이 관객에게 인셉션 하기 위해 얼마나 공을 들였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부가영상이 수록된 점이야말로, 이 타이틀의 소장 이유가 아닐까 한다.


글 / 아쉬타카 (www.realfolkblues.co.kr)
 


※ 주의 : 본 컨텐츠의 저작권은 'dvdprime.com'에 있으며 저작권자의 동의 없는 무단 전재나 재가공은 실정법에 의해 처벌 받을 수 있습니다. 단, 컨텐츠 중 캡쳐 이미지에 대한 권리는 해당 저작권사에게 있음을 알립니다.




인셉션 (Inception, 2010)
크리스토퍼 놀란이 만든 스스로 발전하는 세계


사실 많이 걱정했었다. '메멘토'부터 그의 작품을 ( '미행' 제외) 모두 극장에서 보고 팬이 된 입장에서는 '인셉션' 역시 기대되는 그의 신작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었지만, '다크나이트' 이후 크리스토퍼 놀란의 신작은 영화 팬 뿐만 아니라 모든 대중들이 기대하고 관심을 갖게까지 만드는 이른바 '모두의 기대작'이 되어버렸기 때문이었다. 기대라는 것은 감독에게 있어 가장 부담스런 것이라고 할 수 있을텐데, 이 기대를 충족시키기에 '다크나이트'는 몹시 완벽에 가까운 작품이었기 때문에 과연 이 정도의 기대를 안고도 대다수가 만족할 만한 작품을 만들어낼 수 있을지가 팬으로서 걱정부터 앞선 던 것이다 (사실 이 걱정 자체는 모순인데, 대다수의 기대를 꼭 만족시켜야할 의무도 없고 어떤 영화든 개인에 따라 더 좋고 덜 좋음이 다를 수 밖에는 없기 때문이다). 이런 대중의 기대를 뒤로하고 순전히 개인적으로만 이야기를 시작해보자면, '인셉션'은 과연 '다크나이트' 이후 스튜디오의 더 큰 전폭적 지지를 얻게 된 놀란 감독이 더더욱 자신이 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작품을 만들었을지 아니면 좀 더 대중친화적인 작품을 만들었을지가 궁금한 점이었는데, 이런 궁금증이 무색할 정도로 크리스토퍼 놀란은 자신이 하고 싶은 걸 다 하면서도  (타협없이도) 대중들을 다 만족시키는 것이 가능한, 어떤 측면에서 진정한 아티스트임을 '인셉션'을 통해 다시 한번 입증하고 있다. 


 Warner Bros. Pictures. All rights reserved

'인셉션'의 핵심이 되는 이야기 구조는 사실 새로울 것이 없다. 장자와 프로이트 등을 굳이 거론하지 않더라도 가깝게는 '매트릭스'를 떠올릴 수 있겠는데, '매트릭스'의 경우 문화와 철학의 인용 그 자체로 이루어진 작품이라면 '인셉션'은 익숙한 것들을 인용보다는 소재로 그리고 장치로 사용하되, 이를 양분으로 자신만의 세계를 새롭게 설계한 또 다른 신세계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니까 무에서 유를 창조한 것이 아니라, '과연 저것이 가능할까?' 싶은 정도의 것을 실제로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그것이 가능해졌을 때 새롭게 갈 수 있는 길을 다각도로 펼쳐놓는 여유까지 (하지만 이 여유 뒤엔 자신감보다는 치밀함이 있다)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그래서 한꺼풀만 보자면 '인셉션'에서는 여러 비슷한 분위기의 영화들이 겹쳐지곤 한다. 알렉스 프로야스의 '다크시티'는 세계관이나 그 이미지에서, 공드리의 '이터널 선샤인'
은 시간과 기억을 다루는 것에서, '매트릭스'나 '오션스 일레븐'은 몇몇의 캐릭터를 구성하고 이를 통해 이야기를 전개해 나가는 방법에서 크리스토퍼 놀란의 '인셉션'과 겹쳐지는 부분을 자주 경험할 수 있다. 개인적으로 한꺼풀만 벗겼을 때 '인셉션'을 보고 가장 먼저 떠올랐던 영화는 바로 찰리 카우프만의 '시네도키, 뉴욕' 이었다. 개인적으로는 만약 크리스토퍼 놀란의 신작이 '인셉션'이 아니라 '시네도키, 뉴욕'이었더라면 지금과 같지는 않겠지만 그래도 카우프만의 작품일 때 보다는 더 큰 파급효과와 이야기거리를 만들어 냈을 것이라 생각한다. 그 만큼 카우프만의 만들어낸 시네도키의 세계관은 '인셉션' 못지 않은 (혹은 더 복잡한) 심연을 파해치고 있는데, 카우프만은 그 속에서 '나'라는 존재의 마음의 심연에 몹시 집중한 반면, 놀란은 이 세계관을 보다 흥미롭게 단계화(Level) 하는 것에 더 집중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카우프만의 작품은 좀 더 개인적이고 이해하기 어려운 작품이 된 반면, 놀란의 작품은 이해하기는 어렵지만 이해하고 싶어 안달하게 하는 (정답을 찾고 싶게 만드는) 더 큰 매력을 지닌 작품이 된 것이다. 

시네도키, 뉴욕 _ 외로운, 위로의 일기



(이제부터 슬슬 스포일러라 부를 수 있는 것들이 나오기 시작합니다)


 Warner Bros. Pictures. All rights reserved

(이 장면은 마치 '매트릭스'에서 네오가 처음 모피어스와 함께 매트릭스에 접속했을 때를 연상시킨다)

이 글은 '인셉션'을 두 번 보고 나서 쓰게 된 글인데, 결론부터 이야기하자면 비로소 두 번째 보았을 때 이 영화의 정수를 깨달을 수 있었다. 재미없던 것이 재미있어진 경우가 아니라 영화를 전혀 다른 방향으로, 정서적으로 바라볼 수 있게 된 것이다. 사실 첫 번째 보고 난 후의 간략한 소감은, 크리스토퍼 놀란은 동시대에 쉽게 찾아보기 어려운 영화 기술자이자 장인이기는 하지만, 정서적인 측면 즉 이야기의 주인공이 갖게 되는 정서적 울림에 있어서는 다른 측면에 있어서 조금 부족하지 않나 (특히 '인셉션'의 경우) 싶은 것이 전반적인 느낌이라, 둘 중에 굳이 더 나은 작품을 꼽으라면 메시지의 울림이 영화의 전체를 지배하고 있는 '다크 나이트'를 주저없이 꼽을 수 있었는데, 두 번째 보고나서는 이런 결정을 쉽사리 내릴 수 없다는 것을 뒤늦게 알고야 말았다. 마치 '프레스티지'는 '참 영리한 두뇌로 쓰여진 치밀한 시나리오다' 라는 생각은 들었지만 크리스찬 베일과 휴 잭맨이 연기한 두 주인공의 이야기에 완전히 공감하기에는 부족하다는 생각을 했던 것과 마찬가지로 생각했던 '인셉션'이 전혀 다른 작품으로 다가오게 된 것이다.


 Warner Bros. Pictures. All rights reserved


'인셉션'은 앞서 언급했던 것처럼 다양한 해석과 많은 논란 혹은 해석할 여지가 존재하는 작품이다. 사실 잘 짜여진 시나리오라는 것 그리고 잘 편집된 한 편의 영화라는 것은, 이렇듯 보는 이들이 스스로 이야기를 발전시킬 수 있는 여지가 충분한 작품인 경우라고 할 수 있겠다. 그런 측면에서 '인셉션'은 이것 만으로도 부족할 것 없이 의미있는 작품이라고 할 수 있겠다. 영화 제목인 '인셉션' (다른 사람의 무의식, 꿈 속에 생각을 심는 것) 의 의미처럼만 만들어졌어도 이 영화는 대단히 흥미로운 작품이 되었을 것이다. 하지만 놀란 감독은 이에 만족하지 않고 영화 속에서 코브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의 팀이 피셔 (킬리언 머피)에게 실행했던 방법처럼, 인셉션을 통해 심은 생각이 단순히 심는 것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그 심은 생각이 자라날 수 있도록 (그래야 인셉션이 성공하듯이) 영화의 시나리오를 구성해 냈다. 즉, 관객들은 놀란이 심은 기본 생각을 가지고 스스로 나래를 펴 점차 더 깊은 인셉션에 빠지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이미 어디까지가 꿈이고 현실인지는 크게 중요하지 않게 되어버린다. 이미 관객은 영화 속 맬 (마리온 꼬띨라르)처럼 더이상 인셉션의 경계를 확인하는 대신에 자신만의 세계를 더 굳건히 믿게 되기 때문이다 (여기서 믿는 다는 것은 영화 속 과는 다르게, 논란이 풀어놓은 퍼즐 조각을 끊임없이 맞추고자 하는 욕구를 이야기한다). 그래서 이 영화의 제목이 '꿈' 혹은 또 다른 것이 아니라 바로 '인셉션 (Inception)'인 것이다. 이것이야말로 얼마나 무서운 영화적 야심인가. 남들이 100점 만점의 이야기를 갖고 있을 때 놀란은 150점 짜리 이야기를 구상해 냈으나 이에 만족하지 않고, 관객이 느끼는 것에 따라 160점도, 200점도 될 수 있는 구조까지 마련했으니 말이다. 이것은 반대로 이야기하면, 관객이 놀란을 완전히 신뢰하며 인셉션에 빠질 수 있는 것처럼, 놀란 역시 자신의 영화를 100점 이상으로 봐줄 관객들을 믿었기에 가능했던 일일 것이다.


 Warner Bros. Pictures. All rights reserved

아마도 첫 번째 관람 후에 글을 바로 썼다면 여기까지에서 간단히 마무리 했다거나 아니면 논란이 풀어놓은 퍼즐 조각들을 이렇게 저렇게 맞춰가며, 이런 것도 가능하고 저런 것도 가능하다는 식으로 이야기를 전개했을 것이다. 사실 정답이라 한다면 이게 정답인데, 두 번째 보고 나니 이 수 많은 갈래길들 가운데 단 하나의 길 만이 유독 눈에 들어왔다. 그리곤 앞서 했던 생각을 완전히 뒤집게 되었다. 바로 크리스토퍼 놀란이 '다크 나이트'처럼 메시지가 강한 영화가 아닌 경우라면 세계관 설계에는 누구도 따라오기 어려운 탁월한 재주를 보여주지만, 주인공의 심리를 따라가는 공감 측면에서는 조금 아쉬움이 남는 다는 생각 말이다. 확실해진 갈래길을 따라가보니 이 영화는 놀란의 작품 가운데 그 어느 작품보다도 주인공의 이야기와 감정적 동요가 큰 작품이었다. 마치 '메멘토'를 완벽하게 확장시킨 듯한 모습이었다. 사실 많은 사람들이 '메멘토'하면 그 영화적 형식에 더 귀를 기울이지만 '메멘토'에는 분명 주인공 '레너드'의 사연이 깊게 자리잡고 있었다. 10분 간만 기억을 유지할 수 있다는 특수한 설정을 흥미위주로 구성하는 동시에, 그렇기 때문에 주인공이 겪어야만 했던 감정의 이면을 숨기고 있었던 것이다.

'인셉션'을 두 번 보고 느낀 것은 바로 이런 주인공 코브의 이야기였다. 수많은 해석이 가능한 작품이지만 개인적으로는 이 내러티브가 가장 자연스럽고 또 감정적이며 가장 많은 부분이 맞아 떨어지는 걸 확인할 수 있었다 (물론 여기에도 헛점은 있다. 하나하나를 다 맞추려고 하면 맞지 않는 부분은 이 경우에도 해당된다).


 Warner Bros. Pictures. All rights reserved

(피셔에게 코브가 인셉션을 시도했듯, 코브에게 인셉션을 한 것은 바로 장인인 마일스일지 모른다)

코브의 트라우마를 치유하는 진짜 인셉션

첫 번째 보고나서 그 엔딩의 쓰러지지 않는 팽이와 공항 씬에서 확인할 수 있었던 몇가지 단서들 덕에, 이것이 결국 코브의 꿈, 그러니까 코브의 인셉션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했었다. 하지만 이때 까지만 해도 확신이라기 보다는 다른 수 많은 갈래길 중 좀 더 유력한 길 정도로 생각된 것이 사실이었다. 하지만 두 번 보게 된 영화는 확실히 달랐다. 이것은 완벽한 코브의 인셉션의 관한 이야기였다. (개인적인 확실일 뿐, 다른 분들이 갖는 확신 역시 틀리다기 보다는 또 다른 맞는 확신이라고 볼 수 있겠네요)

일단 코브는 트라우마를 갖고 있다. 바로 자신의 아내를 죽음으로 몰게 했다는 (끝까지 지키지 못했다는) 엄청난 죄책감이다. 코브와 아내 맬은 드림머신을 통해 꿈의 세계를 설계하는데에 흥미를 갖게 된 뒤, 꿈 속의 꿈, 그 꿈 속의 꿈 등 더 깊은 꿈의 세계, 즉 꿈의 끝까지 가보고 싶은 마음이 생겼고 결국 이 과정 속에서 맬은 자신이 믿고 있는 꿈과 현실의 경계를 더이상 믿지 않는 동시에, 자신이 살고 있는 꿈 속의 세계를 현실로 믿어버리게 된다 (즉, 림보에 빠진 것이다). 꿈과 현실의 단계가 단순히 한 단계로 이루어졌더라면 이런 혼동이 없었겠지만, 꿈의 꿈 그 꿈의 꿈, 또 그 꿈의 꿈으로 이어지는 영역을 경험한 이들에겐 현실을 자각하는 능력이 점차 사라져갔고, 맬은 결국 꿈을 현실로 믿게 된 것이다. 이런 맬을 끝내 설득시키지 못한 코브는 결국 맬에게 인셉션을 감행하게 된다. 즉, 맬이 꿈을 꿈으로 믿고 돌아올 수 있게 생각을 심는 것이었는데, 그리하여 오랜 꿈 속에서 벗어난 맬은 하지만 이 현실 역시 꿈으로 받아들이고는 이 꿈에서 깨기 위해 스스로 죽음을 선택한다 (이 과정 속에서 코브가 얻은 교훈이라면 단순히 생각을 주입하는 인셉션은 성공하기 어렵다는 것. 즉, 스스로 그 생각이 발전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는 것일터).


 Warner Bros. Pictures. All rights reserved

(이 장면에서부터 코브의 인셉션은 시작되었는지 모른다)

이것은 코브에게 엄청난 죄책감이 된다. 꿈의 끝까지 가보고 싶었던 것도 본래 본인이었을 것이고, 그렇게 림보에 빠진 맬을 구하기 위해 성공확률이 높지 않았던 인셉션을 맬에게 직접 시도했으며, 결국 이 인셉션이 성공하지 못하면서 맬을 진짜 죽음으로 이르게 했기 때문이다. 이런 코브의 죄책감은 이후 그가 다른 의뢰인의 꿈에 들어갈 때마다 불안요소로 등장하게 된다. 자신이 죽게 했다는 생각에 맬의 존재는 언제나 꿈 속에서 코브나 꿈의 주인공을 위협하는 존재로 등장하고, 이런 죄책감이 가져온 불안감은 점점 더 예고하지 않고 예상할 수 없었던 일들을 불러오게 된 것이다.

결국 이 이야기는 코브가 맬의 죽음에 대한 죄책감을 덜고 어린 아들, 딸과 다시 재회하기를 바라는 누군가의 인셉션으로 볼 수 있겠다. 그렇다면 코브가 이렇게 되길 가장 바라며 이 모든 것을 설계한 사람은 누구일까. 개인적으로는 아마도 맬의 아버지, 그러니까 코브의 장인어른으로 등장하는 '마일스' (마이클 케인) 밖에는 없다고 생각된다 (아버지인지 장인인지 좀 불확실한 면이 있긴 하지만, 여기서 핵심은 부자관계나 아니냐 라기 보다는 꿈에 침투하는 것을 가르친 사람이 마일스 라는 점이다). 마일스는 일단 코브에게 직접적으로 이 일을 가르쳤다는 점에서 (그리고 가족이라는 점에서) 죄책감에 사로잡혀 있는 코브를 구하고자 하는 감정적 동기가 충분하다. 또한 자신이 가르친 기술 때문에 결국 딸의 죽음과 사위의 트라우마가 생겼음으로, 마일스 스스로도 이에 대해 죄책감을 갖고 있는 것도 또 하나의 동기가 되겠다.

또한 코브에게 이를 가르친 만큼 코브의 인셉션을 설계할 만한 능력은 물론, 수제자 (엘렌 페이지)를 통해 이를 완성할 만한 조건을 갖추고 있다는 점도 들 수 있겠다. 이런 측면에서 보기 시작하면 이 이야기는 놀랍도록 맞아 떨어지기 시작한다. 특히 처음 파리에서 코브와 마일스가 만나 나누는 대화 장면을 보면 이런 심증은 더욱 깊어지게 된다. 이 대화를 보면 마일스는 은근히 코브가 진행하려는 인셉션을 막아서지 않고 오히려 부드럽게 유도하는 걸 알 수 있다. 물론 코브는 애초에 인셉션을 마음먹고 이를 설계해줄 아키텍트를 구하러 오긴 했지만, 마일스는 이런 코브의 심정을 이용하여 좀 더 자신이 원하는 방향으로 코브가 계획을 세우도록, 코브의 말을 받아들이기도하고 반대로 그를 잘 아는 만큼 일부러 약을 올려 더 하고 싶게 만들기도 한다. 그래서 이 대화를 이끄는 마일스, 그리고 이를 연기한 마이클 케인의 연기를 보면 무서울 만큼 디테일이 느껴진다.


 Warner Bros. Pictures. All rights reserved

(이 이후 코브의 토템이 쓰러지는 장면, 즉 현실임을 확인시켜주는 장면은 등장하지 않는다)

그 다음부터는 코브의 팀이 피셔에게 인셉션을 심는 상황을 그대로 코브에게 대입하면 된다. 극중 임스 (톰 하디)는 피셔에게서 더 많은 정보를 얻기 위해 삼촌인 브라우닝 (톰 베린저)으로 분장해 아버지와의 관계 등 더 많은 깊은 정보를 캐내게 되는데, 피셔와 브라우닝으로 분한 임스의 관계는 그대로 코브와 아리아드네 (엘렌 페이지)의 관계에 대입해 볼 수 있다. 아리아드네는 코브를 더 알아야만 불안요소를 업애고 더 완벽한 설계를 할 수 있다는 이유를 들어, 코브가 동료들에게는 잘 하지 않는 이야기들을 기회가 될 때마다 묻는다. 그리고 코브의 꿈에도 적극적으로 접속해 코브와 맬의 관계에 대해서도 더 많은 것을 알려고 한다. 이는 코브에 대한 인셉션을 성공시키기 위해 더 많은 정보를 얻어내려 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래서 아리아드네는 결국 아무도 알지 못했던, 코브와 맬이 림보에서 겪었던 일들마저 알게 되었고 이는 피셔가 인셉션을 겪으며 스스로 발전한 것처럼, 코브 역시 자신의 트라우마를 극복하기 위해 스스로 결심하게 하는 계기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Warner Bros. Pictures. All rights reserved

따지고보면 경쟁 회사를 분리하기 위한 사이토의 의뢰는 말그대로 코브가 미국으로 돌아가기 위한 하나의 어려운 미션일 뿐인데, 이 자체가 마치 영화의 주된 메시지인냥 코브의 트라우마 이야기와 비중을 같이하며 (혹은 더 큰 비중으로) 그려지는 것은 단순히 볼거리 측면 때문이 아니라, 앞서 이야기한 것처럼 피셔에게 인셉션을 하는 것은 그대로 코브에게 인셉션을 하는 것과 겹쳐서 생각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니까 피셔가 사이토의 뜻대로 회사를 나누는 것은 영화 상에서 하나도 중요할 것이 없는 사실이고, 그것이 가져오는 결과 (집으로 돌아가는 것)만이 중요한 것인데도 이 과정을 그렇게 심도 있고 비중있게 그린 이유가 바로, 이마저도 피셔의 이야기가 아닌 코브의 이야기로 볼 수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자신의 무의식 속에 갇혀있는 맬에게로 가는 길을 찾는 과정인 동시에 이런 맬에 대한 죄책감에서 벗어날 수 있는 과정인 것이다. 다시 말해 너무 직접적인 (1차적인) 인셉션을 코브에게 시도했다면 코브는 이를 금새 눈치챘을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피셔의 인셉션이라는 복층의 인셉션을 설계하게 된 것이다.

그런데 다른 한편으로 생각해볼 수 있는 건, 코브는 그의 무의식 속에 있는 맬과는 다르게 정확히 현실과 꿈을 구분하려 애쓰고 있다는 점이다. 그는 꿈에서 나올 때마다 토템을 통해 현실여부를 반드시 확인하고 있으며, 다른 영화의 감상적인 주인공들처럼 영원히 맬과 림보에 남기를 원하지도 않았다. 이런 면에서 보았을 때 코브에게는 맬에 대한 죄책감 만큼이나 자식들을 보고 싶은 마음이 크기 때문에, 이런 맬에 대한 죄책감에서 벗어나고 싶은 욕망도 있다고 볼 수 있겠다.
하지만 코브는 영화 속 대사를 통해 알 수 있는 것처럼 이미 맬에게 했던 인셉션이 실패로 돌아갔던 과거 때문에 (꿈의 설계에 상상력만이 아닌 기억을 동원하게 된 점) 자신이 설계한 인셉션으로는 절대 이 트라우마에서 벗어날 수 없음을 알고 있었는지도 모르겠다. 즉, 계기가 필요했던 것인데 (헬기에 탄 사이토의 인셉션 제안에 너무 쉽게 수락한 경향이 있다. 인셉션의 실패 경험이 있었음에도 말이다), 그래서 파리로 이 문제를 해결해줄 마일스를 찾아갔고 자연스레 인셉션에 몸을 맡긴 것인지도 모르겠다 (이런 측면에서 보면 아리아드네를 그의 꿈에 너무 쉽게 받아들인 것도 쉽게 수긍이 된다. 아마도 그렇지 않았다면 '너는 여기 오면 안돼' 그 이상으로 그리고 그 다음에도 절대 아리아드네를 맬이 있는 자신의 꿈에 들이지 않지 않았을까).
 

 Warner Bros. Pictures. All rights reserved

이렇게 보면 '인셉션'은 그 어떤 영화 못지 않게 주인공 코브의 절절한 감동의 이야기가 된다. 정말 아내를 사랑했던 한 남자의 이야기. 둘이 함께 추구하는 바를 이루려 꿈꾸던 그 곳에 끝까지 가게 되었지만, 결국 그곳에서 빠져나오지 못한 아내를 위해 자신도 그곳에 남아 아내의 꿈 (둘이서 함께 늙고 싶다는)을 이뤄줄 때까지 기다려주기도 했고, 한 차례 꿈에서 빠져나온 이후에도 아내가 이를 받아들이지 못하자 인셉션을 동원해 어떻게든 아내를 현실로 데려오려 했으나, 그것마저 실패하고 결국 아내의 죽음을 맞게 되어 그것이 평생의 짐이 되어버린 한 남자의 이야기. 그리고 자신의 인셉션을 통해 스스로 죄책감을 벗어내려는 노력과 치유해 나가는 과정이 담긴 이야기는, 첫 번째 관람시와는 전혀 다른 감정이 몹시 동요하는 감동적인 이야기였다. 즉, 이 인셉션이라는 세계, 꿈의 꿈이라는 세계가 어떻게 이뤄지고 어떻게 작용하는지에 대한 화려하고 매력적인 표피 속에 숨겨져 있는 메시지, 왜 이들은 림보에 빠지게 되었나, 왜 이들은 인셉션을 하게 되었나, 왜 코브는 죄책감에서 쉽게 벗어나지 못하나에 대해 비로소 생각해볼 수 있게 된 것이다.

그러고나니 처음 볼 때도 뭉클했던 림보에서 코브와 맬이 나누었던 대화 장면이 더더욱 눈물날 수 밖에는 없었다. 트라우마를 극복한다는 것은 결국 인정하고 받아들이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을텐데, 코브는 피셔의 인셉션이 진행되는 과정 속에서 자신을 인정하는 법을 조금씩 배우기 시작했고, 나중에 가서는 그 동안 죄책감 때문에 하지 못했던 말들 (맬에게 인셉션을 했던 사실, 50년 넘게 림보에서 둘이 함께 늙어갔던 사실)을 할 수 있게 되면서, 눈 앞에 만져지는 진짜 같은 꿈 속의 맬을 용기 있게 부정할 수 있었던 것이다. 그래서 개인적으로는 맬에게 인셉션을 고백하는 장면부터 코브가 드디어 자신의 트라우마를 극복하게 되는 이 시퀀스가 몹시도 슬프고 감정적으로 느껴졌다.


 Warner Bros. Pictures. All rights reserved

'인셉션'은 트라우마라는 점에서 역시 디카프리오가 주연을 맡았던 '셔터 아일랜드'와 유사점을 찾아볼 수 있는데, 그 결말은 정반대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셔터 아일랜드'의 레오는 결국 자신의 트라우마를 인정하긴 했지만 이겨내진 못했던 반면, '인셉션'의 레오는 눈물겹고 힘들었지만 결국 극복하고 현실로 돌아오는데 성공했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이것이 마일스가 설계한 (물론 세부 내용은 아드리아네가 설계했다고 볼 수 있겠지만) 코브의 인셉션이라고 해놓고선 현실로 돌아오는데에 성공했다는 얘기가 무슨 얘기냐고 물어올 수 있겠는데, 사실 영화 속에 등장하는 부분은 마지막 시퀀스로 미뤄 봤을 때 아직 꿈 속이라고 볼 수 있겠다.

비행기 내에서 깬 뒤 공항에 도착한 순간, 유난히 코브를 바라보는 인물들의 시선들도 그렇고 이를 마중나온 마일스도 그러하며, 결정적으로 결국은 쓰러지지 않은 팽이와 (물론 이는 쓰러진다고 생각할 수도 있다) 엔딩 크래딧 말미에 흐르던 킥을 신호하는 에디뜨 피아프의 노래까지. 코브가 이 꿈에서 깨는 순간 다시 모든 것을 잊고 트라우마를 갖고 있던 그 때로 돌아가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발전한 인셉션인 만큼 꿈에서 깬 다음에도 이 어렴 풋한 기억을 발판으로 반드시 이 죄책감에서 벗어날 것이기 때문에 결국 코브가 바라던 현실로 돌아오는데 성공했다고 (정확히는 성공할 것이라고) 말할 수 있는 것이다.

 Warner Bros. Pictures. All rights reserved

'인셉션'이 결국 트라우마에 관한 영화라는 점은 영화 속 킥의 도구로 사용된 에디뜨 피아프의 유명한 곡 'Non, Je Ne Regrette Rien'에서도 쉽게 알 수 있다. 이 곡이 본래 워낙에 유명한 곡이기도 했지만, 에디뜨 피아프의 전기를 다룬 영화 '라비앙 로즈'를 감상한 탓에 이 곡은 물론, 이 곡의 가사들도 미리 머릿 속에 인지하고 있던 것이 '인셉션'을 감상하는 데에 큰 도움이 되었다. 정말 굴곡진 파란만장한 인생을 살았지만 결코 자신은 아무것도 후회하지 않는다 라고 이야기하고 있는 이 곡의 제목과 가사처럼, 킥 할 때마다 울려퍼지는 이 곡은 마치 코브의 트라우마를 덜어주려는 아키텍트의 세심한 배려로 느껴지기도 한다. 그렇지 않다 하더라도 아내에 대한 죄책감에서 빠져나오지 못하는 코브와 '난 후회하지 않아'라는 곡의 대비는 아이러니와 동시에 영화의 메시지를 더 확고히 하는 장치가 되었다 (물론 '라비앙 로즈'의 주인공이 마리온 꼬띨라르 였다는 점도 묘한 흥미거리였지만).


 Warner Bros. Pictures. All rights reserved

(꿈인지 생신지 볼을 꼬집, 아니 얼른 토템을 하나 만들어야겠다는 생각을 하도록 만든 사람같으니라구!)

개인적으로는 두 번 보고 나서 확실한 메시지를 발견할 수 있었지만 (그래서 '인셉션'을 더 격하게 좋아하게 되었지만), 처음 보고나서의 느낌처럼 '인셉션'을 이런 감정적 내러티브보다 다층적이고 흥미로운 세계관에 집중한다 하더라도 전혀 문제될 것이 없다. 크리스토퍼 놀란의 '인셉션'이 대단한 지점은 바로 이것이다. 놀란은 '인셉션'이라는 세계를 설계하고 그 안에 인셉션을 심어 결국 관객들이 스스로 이를 발전시켜 더 큰 세계로 혹은 자신조차 의도하지 않았던 이야기로 확장시켜도 전혀 문제될 것이 없는 '놀라운' 세계를 설계했기 때문이다.


1. 이 글을 다 쓰고 나서야 각종 정리글과 분석글들을 차근차근 읽어보았는데, 제 생각과 일치하고 아니고를 떠나서 하나같이 너무 재미있었습니다. 사실 저도 완전 이 세계관에만 집중해서 하나하나 분석해보고 싶은 마음도 있는데, 이미 대부분을 다른 분들이 해주셔서 이 부분은 생각날 때마다 보충하는 것 정도로 하려구요.

2. 이것이 코브의 인셉션이라해도 피셔의 인셉션은 킬리언 머피의 연기로 인해 설득력을 얻게 되더군요. 사실 이 이야기 자체는 별로 설득력이 없어보였거든요. 경쟁사의 회사를 반쪽내기 위해 이 정도의 위험을 감수한 사이토의 이야기도 그렇고. 그런데 킬리언 머피의 연기는 진짜 영화 속 영화처럼 설득력을 주더군요.

3. 디카프리오야 동시대의 배우들 가운데 제가 가장 좋아하는 배우 중 한명이니 더 부연설명할 필요가 없겠지만, 이번 작품을 통해 더 좋아하게 된 배우가 있다면 역시 조셉 고든-래빗이죠. '브릭'과 '500일의 썸머'는 물론 왜 나왔을까 싶은 '지아이조'마저 본 팬인데, '인셉션'에서의 조셉은 정말 멋졌어요. 물론 멋진걸로만 따지자면 '임스' 역할로 나온 톰 하디에게 좀 밀렸지만요 ㅎ

4. 이미 3회차 관람은 예매가 완료되어 있고, 지금은 나만의 토템을 찾는 중입니다.

5. 참고로 제 핸드폰 벨소리도 바꿨어요. 'Non, Je Ne Regrette Rien'로요. 누군가로부터 전화가 올 때마다 킥이 되는거죠 ㅎ


글 / 아쉬타카 (www.realfolkblues.co.kr)


본문에 사용된 모든 스틸컷/포스터 이미지는 인용의 목적으로만 사용되었으며,
모든 이미지의 권리는 Warner Bros. Pictures 에 있습니다.






위핏 (Whip It, 2009)
뻔하지만 재미있는 세가지 이유


엘렌 페이지에 저 가인스러운 아이라인의 포스터를 본 순간, 그리고 감독인 드류 베리모어를 비롯해 영화 속에 터프한 '언니'들이 많이 등장한다는 걸 알게 된 이후부터 <위핏>은 쭈욱 기대작이었다. 사실 드류 베리모어의 첫 연출작이라는 점에서 기대한 것보다는 엘렌 페이지를 비롯한 수 많은 여자 캐릭터를 만나볼 수 있다는 점이 더 기대되는 포인트였을 것이다. 드류 베리모어는 연출작은 처음이지만 이전 몇몇 작품의 제작자로서 나선적이 있어서 이런 감독으로서의 행보가 크게 낯선 것만은 아닌데, 결과적으로 '엇, 드류 베리모어에게 이런 점도 있었어?'라기 보다는, '딱 봐도 드류 베리모어 스타일이 묻어나네'하고 느낄 정도의 통쾌하고 깔끔한 가족 드라마였다.



Babe Ruthless Productions. All rights reserved


<위핏>의 줄거리는 사실 이보다 더 간단할 수 없을 정도로 매우 흔한 소녀의 성장드라마이다. 이제 막 소녀에서 성인으로 넘어가려는 찰나에 놓인 주인공은, 애정 문제로 진로 문제로 그리고 부모와의 문제로 갈등을 겪는다. 여기에는 우리가 너무도 많이 보아왔던 멋진 밴드 보컬의 남자친구, 시골 작은 마을 소녀로서 이곳을 빠져나가 더 큰 세상으로 나가고픈 욕망, 그리고 자신이 좋아하는 것을 이것저것 다 해보지도 못했는데 한가지 길만 가라하는 부모님과의 갈등이 또 다시 등장한다. 여기서 조금 다른 점이라면 소녀의 분출구 중 하나가 조금은 특별한 '롤러 더비' 경기라는 점일 것이다. 그러니까 다시 말해 이 영화는, '과연 소녀가 나중에 어떻게 될까?' '더비 경기에서 우승할까?'라는 점에서 보게 된다면 정말 재미없는 영화가 될 수도 있다는 얘기다.

그렇다면 <위핏>은 뭐가 재미있는걸까? 개인적으로 그 첫 번째로는 캐릭터를 들 수 있겠다. 이 작품은 하나같이 몹시도 만화 같은 캐릭터들로 채워져 있는데, 이들에게 영역 설정을 적절하게 해준 감독의 연출력을 눈여겨 볼 만 하다. <위핏>의 캐릭터들은 분명 만화같은 캐릭터들이지만, 별로 만화같은 행동들을 저지르지는 않는다. 그 말은 즉슨 좀 독특해 보이기는 하지만 완전히 만화처럼 오버스런 캐릭터로 나아가지는 않는다는 점이다. '헐 스카우트' 팀을 비롯해 상대팀원들도 그렇고, 더 오버하여 완전히 스포츠 만화로 이어질 여지가 많았지만, 이들은 어쩌면 자신의 캐릭터를 제대로 다 소개하지도 못한채 (그런데 이렇게 되었다면 가족 영화로서의 동력을 떨어졌을지 몰라도, 다른 한편으론 더 재밌는 영화가 되었을지도 모른다;;;) 존재하고 있는데, 별로 결정적인 장면 없이 항상 '팀'으로 등장한다는 점은 (개성은 부여하되 항상 팀으로만) 이 영화의 가장 중요한 포인트가 아닐까 싶다.


Babe Ruthless Productions. All rights reserved


두 번째로는 역시 이런 캐릭터들을 잘 살린 수 많은 배우들을 들지 않을 수 없겠다. 주인공을 맡은 엘렌 페이지에게서는 아직도 <주노>의 그림자가 남아 있긴 하지만, 좀 더 엘렌 페이지만의 매력을 발산하고 있달까. 엘렌 페이지가 언제쯤 소녀 이미지에 기대지 않은 캐릭터로 다가올지는 아직 미지수지만, 어쨋든 현재 엘렌 페이지의 소녀 이미지는 언제든 환영이다. 많은 여배우들 가운데 가장 반가운 배우는 줄리엣 루이스였다. '메이븐' 역할을 맡은 줄리엣 루이스는 예전에도 그랬지만 망가지면 망가질 수록 지나 데이비스를 떠올리게 하는데, 거칠고 '찌든(?)' 언니 역할을 제대로 보여주고 있다. 메이븐 역할은 악역으로 빠지기 쉬운 캐릭터였으나 이 정도의 롤을 부여한 것은 앞서 얘기했던 것처럼 탁월했다 여겨진다.

<미스트>의 '그랜드 캐년'(!) 마샤 게이 하든 여사 역시 인상적인 연기를 펼쳤는데, 그녀의 특유의 무서움과 그 이면에 따듯함을 동시에 보여준 캐릭터로서 뻔한 가족영화가 되지 않는 중요한 캐릭터라고 생각된다. 남편 역할을 맡은 다니엘 스턴의 경우 다들 알아보셨는지는 모르겠지만 <나 홀로 집에>의 그 도둑인데, 나이가 들어서도 아직까지 그 천진한 표정이 남아있어 쉽게 알아볼 수 있었다. 만약 그가 하지 않았다면 존 굿맨이 맡았을 역할로 생각되었을 정도 ㅎ
<데스 프루프>의 그녀 조 벨 역시 반가운 배우였는데, 그녀가 출연했길래 당연히 스턴트에도 관여를 했을 줄 알았는데 (물론 어느 정도는 했겠지만), 크레딧을 보니 온전히 배우로만 출연을 했더라. 힙합 아티스트로 더욱 유명한 이브도 있는 듯 없는 듯 했고, '버드맨' 역할로 나온 카를로 알반은 어디서 봤는가 했더니 TV시리즈 <프리즌 브레이크>에서 NBA저지를 항상 입고 있던 그였더라. 드류베리 모어나 크리스틴 위그를 비롯해 여기 언급하지 않은 많은 조연배우들이 많든 캐릭터 덕에 한층 재미가 배가 되었던 듯 싶다.



Babe Ruthless Productions. All rights reserved


세 번째로는 뻔하지만 감동적인 연출과 영화에 사용된 음악들을 이야기할 수 있겠다. <퍼시 잭슨과 번개 도둑>을 보고도 나름 재밌다고 생각했던 나여서 인지는 모르겠지만, 이 뻔한 가족 드라마의 몇몇 순간에서는 찡해지기도 했는데 이런 부분을 과잉으로 몰아가지 않고, 그 정도로 두는 연출이 더욱 마음에 들었다. 영화 삽입곡들은 사실 맨처음 드류 베리모어에게 기대했던 작품이 있었던 것처럼, 음악 역시 '아마도 이런 분위기의 곡들이 나올 것 같다'라는 기대가 있었는데, 기대를 저버리지 않는 선곡에 반가움이 먼저 들었다. 'The Ramones'와 'Clap Your Hands Say Yeah'를 비롯해 특히 영화의 후반 하이라이트 경기 부분에 'the Go! Team'의 익숙한 곡이 들려왔을 땐 박수라도 칠 뻔했다 (그런데 기억이 정확하지 않아서인지는 몰라도 분명 기억엔 'The Power Is On'이었던 것 같은데 사운드트랙에는 'Doing It Right'가 수록되었더라).


Babe Ruthless Productions. All rights reserved


여튼 드류 베리모어의 첫 연출작인 <위핏>은 이 정도면 성공이다. 그녀는 자신이 가장 잘 할 수 있는 부분을 잘 알고 있었던 것 같다. 차기작을 통해 감독으로서의 역량을 더욱 펼칠 수 있을지 기대된다.


1. 스페셜 땡스란에 '스티븐 스필버그'의 이름을 보니 왠지 뿌듯하더군요 ^^
2. 그런데 이 '롤러 더비' 경기는 실제로 북미지역에 존재하는 건가요? 살짝 궁금해지더군요.
3. 크레딧의 맨 마지막 프로덕션 이름을 보고 또 한번 재미있어 했네요 ;;
4. 상하는 정확하지 않아도 좌우는 확실히 짤린 화면비였는데, <더 문>에 이어 두 번째군요 윽..



글 / 아쉬타카 (www.realfolkblues.co.kr)


본문에 사용된 모든 스틸컷/포스터 이미지는 인용의 목적으로만 사용되었으며,
모든 이미지의 권리는 Babe Ruthless Productions에 있습니다.














Juno O.S.T.

01 . All I Want Is You - Barry Louis Polisar
02 . Rollercoaster - Kimya Dawson
03 . A Well Respected Man - The Kinks
04 . Dearest - Buddy Holly
05 . Up The Spout - Mateo Messina
06 . Tire Swing - Kimya Dawson
07 . Pizza, New York Catcher - Belle & Sebastian
08 . Loose Lips - Kimya Dawson
09 . Superstar - Sonic Youth
10 . Sleep Instrumental - Kimya Dawson
11 . Expectations - Belle & Sebastian
12 . All The Young Dudes - Mott The Hoople
13 . So Nice So Smart - Kimya Dawson
14 . Sea of Love - Cat Power
15 . Tree Hugger - Antsy Pants
16 . I’m Sticking With You - Velvet Underground
17 . Anyone Else But You - The Moldy Peaches
18 . Vampire - Antsy Pants
19 . Anyone Else But You - Michael Cera & Elle Page


영화를 보고 나서 오랜만에 바로 구매하게 된 사운드 트랙!
영화도 물론 너무 좋았지만, 포크와 로우 파이 스타일의 곡들이 가득 수록되어 있어
그냥 음반만 들어도 매우 만족스러운 듯.

엘렌 페이지가 직접 적극 추천했다는 뉴욕 출신의 10대 밴드 'The Moldy Peaches'의
'Anyone Else But You'를 비롯하여, Cat Power, Sonic Youth, Belle & Sebastian, Kimya Dawson 등
포근하고 단백한 포크/록 음악들을 만나볼 수 있으며,  특히 마지막 트랙에는 영화의 인상적이었던
엔딩 장면에서 엘렌 페이지와 마이클 세라가 함께 부른 'Anyone Else But You'가 수록된 것도 반갑다.

영화의 인트로 부분을 장식한 애니메이션 스타일의 속지 디자인도 멋지고,
영화의 여운을 즐기기에 충분히 만족스런 사운드 트랙!





Anyone Else But You - Michael Cera & Elle Page



2008/02/22 - [Moive] - 주노 (Juno, 2007) _ 유쾌하고 아름다운 성장통



주노 (Juno, 2007)
유쾌하고 아름다운 성장통

배부른 엘렌 페이지의 모습도 나름 인상적이었지만, 뭔가 모호하고 독특한 인상을 주는 '주노 (Juno)'라는
이름이 갖는 묘한 매력이 있었다(영화를 보면 알게 되지만, 영화 속 '주노'는 그리스 신화 속 제우스 신의 아내의
이름에서 따온 이름이다. 하지만 실제 제우스의 부인은 주노가 아니라는 -_-;; ). 그래서 인지 그냥 10대 미혼모가 겪는 해프닝을 그린 드라마 혹은 코미디 보다는
무언가 더 있지 않을까 하는 기대에서 극장을 찾게 되었었다.
국내 포스터에 보면 홍보 문구로 '할리우드가 웃고 전세계가 놀랐다!!!' '세상을 발칵 뒤집은 '주노'가 온다!' 등등의
홍보 문구들이 가득한데, 이런 문구들은 별로 도움이 되지 못하는 듯 하다.
<주노>는 포스터와 알려진 줄거리에서 쉽게 엿볼 수 있듯이, 10대에 아기를 갖게 되어 겪는 일들을 통해,
16세 소녀의 눈으로 바라본 가족과 사랑이라는 본질적인 주제를 10대의 젊은 감각이 묻어난 음악들과, 유머로
유쾌하면서 아름답게 그려낸 성장 드라마라 할 수 있겠다.



영화 속 주노는 친한 남자친구 '블리커'와 관계를 갖고 아이를 갖게 되는데, 일찌감치 자신이 아이를 감당하지
못할 것을 예상하고, 입양부모를 찾게 되고, 그 와중에 바네사(제니퍼 가너)와 마크 부부를 만나게 된다.
사실 이 설정이 이 영화가 조금은 특별한 첫 번째 설정이 될 수 있겠다. 보통의 이런 10대 미혼모를 주인공으로
한 영화라면, 입양부모로 등장하는 이 부부의 비중이 거의 까메오 급으로 등장할 수 있겠으나, <주노>에서는
이들의 비중이 상당하다(그래서 일부러 포스터도 엘렌 페이지가 단독으로 나온 포스터가 아니라, 등장 인물이
여럿 등장한 포스터를 골랐다). 이 부부가 비중있게 그려지면서 영화는 좀 더 얘기를 다양하고 깊게 끌고 가는데,
단순히 화목해만 보였던 이들 부부에게 문제가 있음이 밝혀지면서, 10대인 주노는 혼란을 겪게 된다.

겉으로봐서는, 자신과 음악적, 영화적 취미가 같은 마크와 아이를 너무도 원하는 바네사는 아무런 문제가
없어보이지만, 마크는 다양한 취미만큼이나 딱딱하고 안정적인 삶 만을 원하는 바네사에게 잡혀살기 보다는
아직 더 하고 싶은 일이 많은 사람이며, 바네사는 아이를 갖고 싶은 애정이 너무 깊어 여기에만 온 정성을
쏟는 듯 보인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이 부부의 관계가 좋지 않게 흘러갔는데도, 주노는 자신의 아이를
바네사에게 건네기로 하는데, 이는 바네사라는 인물을 단순히 아이만을 원하는 나쁜 이미지로 그리지 않음을
의미하는 것은 물론이고, 이 부부의 문제가 단순히 개인의 문제라기 보다는, 좀 더 보편적인 이른바 '어른'들이
흔히 겪는 현실의 문제이며, 이를 이해하지 못하는 순수한 주노의 눈을 통해, '왜 평생 함께 하지 못하느냐'라는
단순하지만 가장 중요한 메시지를 새삼 깨닫도록 전하고 있다. 그리고 예상했던 것과는 달리 주노는 앞서
말했던 것처럼 아이를 낳고 예정했던 대로 바네사에게 아이를 건네게 되는데, 아마도 이들 부부가 깨지고,
주노도 아이를 직접 낳는 고통을 겪게 되면서 모성애가 깊어져 결국에는 자신의 아이를 키우게 되는 이야기로
흐르지 않았다. 주노는 이 특별한 성장통을 겪고 나서 부른 배도 다시 돌아오고, 자신의 아이도 없는,
다시 10대 소녀로 돌아온다는 결말인데, 신파로 흐를 수 있는 줄거리를 선택하지 않으면서도, 전혀 미워보이지
않고 쿨하고, 유쾌하게 그려낸 시나리오는 절로 흐뭇한 미소를 짓게 했다.



부부의 이야기를 통해 가족과 사랑에 대한 의미를 깨달았다면, 남자친구인 '블리커'와의 관계를 통해서도
또 한 번 무엇이 진정한 사랑인지, 그리고 이를 깨닫도록 확신 시켜주는 것이 자신의 배속의 아이라는 점에서
가족의 의미를 또 한 번 되새기게 한다. 이 영화는 분명히 성장 영화라고 할 수 있겠지만,
마지막 운동장에서 주노가 뱃 속의 아이를 빗 대어 블리커에게 사랑을 고백하는 장면은, 여느 러브 스토리 못지
않은 감동적인 멜로 장면이었다. 이 둘의 사랑이야기는 그 나이에 어울리는 풋풋함이 진하게 묻어나고 있으며,
이 둘의 대화는 물론, 주노가 극중에서 가족, 친구들과 나누는 대화들을 통해, 현재 미국의 10대들이
갖고 있는 유머와 말투 등을 엿 볼 수 있었다. 가족에 대한 의미를 느끼게 되는 이야기가 하나 빠졌는데,
주노의 새 엄마가 약간 딱딱하게 얘기하는 초음파 담당자에게 딴소리 못할 정도로 매몰차게 말로 제압하는
짧은 시퀀스를 통해, 넓은 의미에서 가족의 의미란 무엇인가를 또 한 번 얘기하고 있는 듯 했다.



이 영화의 시작부터 끝날 때까지 가장 인상적인 것을 하나 꼽으라면 바로 음악이었다.
로우 파이 (Lo-fi)한 인디 록 음악들과 포크음악이 시종일관 흐르고 있는데, 주연 배우인 엘렌 페이지가 적극
추천했다는 뉴욕 출신의 10대 밴드 몰디 피치스를 비롯하여, 소닉 유스, 캣 파워, 킴야 도슨, 벨벳 언더그라운드 등
이 영화의 인디적인 감각과 너무나도 잘 어울리는 단백한 음악들이 요소요소에 도사리고 있다.
음악 얘기가 나와서 말인데, 극중에서 주노와 마크는 음악과 영화에 있어 상당한 매니아로 등장하는데,
이들이 나누는 대화 장면은 그래서 매우 흥미로웠다. 역시 개인적으로도 팬이기 때문에, 깁슨의 레스폴 기타에
관해 이야기를 나누는 부분이나, 록 음악의 전성기가 언제냐를 서로 이야기하는 장면이나, 슬래셔 무비를
보면서 다리오 아르젠토 감독을 논하는 등, 이 분야의 관심이 있는 관객들이라면 잠시나마 이 대화에
깊게 개입할 수 있어 매우 좋았다.



주연을 맡은 엘렌 페이지의 연기에 대해 아니말할 수 없는데, <엑스맨 - 최후의 전쟁>에서 귀여운 모습을
선보여 여러 삼춘 팬들을 만들어낸 장본인이었던 그녀는, 흔히 말하는 것처럼 엘렌 페이지 아닌 주노를
상상할 수 없을 만큼 놀라운 싱크로율을 선보인다. 뭐랄까 앞으로 더 지켜봐야 되겠지만, 그리고 엘렌 페이지의
개인적인 성향에 대해 잘 알지 못하지만, 아마도 '주노'만큼 엘렌 페이지 스러운 캐릭터는 앞으로도 거의
없지 않을까 싶다. 옷 입은 것만 보면 <나폴레옹 다이너마이트>가 떠오르긴 하지만, 블리커 라는 캐릭터의
풋풋함을 잘 살린 마이클 세라의 연기도 좋았고, 오랜만에 주인공이 아닌 조연으로서 인상적인 연기를 펼친
제니퍼 가너와 <스파이더 맨>으로 익숙한 J.K. 시몬스의 연기도 자연스러웠다.

이 영화의 엔딩 장면은 마치 <원스>가 그랬던 것 처럼, 서서히 멀어지는 카메라가 인상적이었는데,
몰디 피치스의 'Anyone Else But You'를 두 주인공이 함께 부르는 이 마지막 장면은, 성장통을 잘 겪어낸
주노가 그래서 '어른'이 되었다기 보다는 '소녀'로 돌아왔다는 점에서 더 인상적이었던 마지막 장면이었다.

나조차도 아주 큰 기대를 하지는 않았던 영화였는데, 보지 않았다면 크게 후회했을 영화였다.




1. 바네사와 마크의 차이점을 극명하게 보여주는 인상적인 장면이 있었는데,
록의 팬인 마크가 샀거나 구했을 'Alice In Chains'가 새겨진 티셔츠를 페인트 작업을 위해 바네사가
입고 있는 이 장면을 통해, 이 두 사람의 간극이 얼마나 벌어져 있나를 짧고 은유적으로 표현하는
장면이었다고 생각된다. 분명 알고 이렇게 설정한 것이겠지 ^^;

2. 이 영화에서 유일하게 이해못할 설정이 있었다면, 16세 소녀가 임신을 했다고 부모에게 처음
이야기하는데, 너무도 당연하게 화 한 번 안내고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는 부모의 모습이었다.
이것은 미국사회 전체를 반영한다기 보단 이 가족내의 특수성이 반영된 결과라고 봐야할 듯.

3. 음악 정말 참 좋다! 바로 O.S.T 질렀음!



 

 
글 / ashitaka (www.realfolkblues.co.kr)


본문에 사용된 모든 이미지의 저작권은 폭스 서치라이트사에 있습니다.


2008/02/25 - [Music] - 주노 (Juno) _ O.S.T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