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쉬타카의 레드필]

국적을 알 수 없는 이상한 개봉 영화 제목들



한국어를 모국어로 살아가는 이상 많은 영어권 영화를 즐기려면 누군가가 번역한 버전을 볼 수 밖에 없는 것이 대부분일 것이다. 물론 영어가 유창하면 어느 정도 자막 없이도 즐길 수 있겠지만 대부분은 자막 없이 외국 영화를 즐기긴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오늘 하고자 하는 얘기는 자막에 대한 것이 아니라 바로 영화의 첫 번째 이미지이자 메시지인 제목에 관한 것이다. 국내 개봉하는 외국 영화 제목들은 시대의 흐름에 따라 조금씩 성격을 달리 해왔는데, 예전에는 오역이 잦았을 정도로 너무 과한 해석이 들어간 제목이 많았다면, 최근 몇 년 사이에는 영어 제목을 그대로 쓰되 발음나는대로 그대로 쓰는 형태가 거의 체감상 대부분이라고 느껴질 정도로 많아졌다. 예를 들어 리들리 스콧의 '마션 (The Martian)' 같은 작품의 경우 '화성인'이라는 형태로 쓰지 않고 소리나는 그대로 '마션'이라고 쓰는 형태가 거의 주를 이루고 있다.


사실 이 글을 쓰려고 최근 개봉 외화들의 제목들을 보니 거의 번역 된 형태의 제목이 없을 정도로 대부분이 이런 형태였다. '마션' '하트 오브 씨' '스파이 브릿지' '몬스터 헌트' '사일런트 하트' '더 랍스터' '프리덤' '재키 앤 라이언' '세컨드 마더' '싱 오버 미' 등, 오히려 '이민자' '하늘을 걷는 남자' 등 번역한 제목을 찾아 보는 것이 더 어려울 정도였다.


이런 방식의 제목 짓기는 몇 가지 문제가 있는데, 일단 가장 중요한 것은 관객들이 본래 감독이 의도한 제목의 의미를 전달 받을 권리를 빼앗겼다는 점이다. 이건 사람에 따라 차이는 있겠지만 솔직히 얘기해서 그 영어 단어가 쉽고 어려움을 떠나 100% 의미가 전달된다고 보기는 어려운데, 예를 들어 '마션'이 '화성인'이라는 건 쉽게 알 수 있는 부분이긴 하지만 확실히 받아 들이는 느낌상 '마션'과 '화성인'은 다르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똑같은 의미인데 말이다. '하트 오브 씨' 같은 경우도 별로 어려운 단어들은 아니지만 이것을 과연 대부분의 관객들이 '바다의 심장'이라고 생각한다고 보기는 어려울 것이다. '더 랍스터' 같은 경우도 '바닷가재'라는 제목이었다면 아마 전혀 다른 느낌이었을 것이다. 이것도 분명 영어 제목의 뜻, 그러니까 영어 권의 관객들이 받아들이는 의미는 '바닷가재'일텐데 말이다.


또 다른 문제는 이런 제목이 익숙해지면 질 수록 점점 더 본래 원제가 갖는 의미와 발음나는 대로 표기한 제목의 전달되는 느낌의 차이가 커지게 된다는 점이다 (사실 지금도 이미 어느 정도 돌이키기 힘들 정도로 진행된 듯 하지만). '언브레이커블' 이라고 하면 뭔가 발음도 멋지고 느낌적인 느낌도 멋져 보이지만 실제로 이 제목을 보고 '깨지지 않는'을 연상하는 이들의 수가 많지 않고, 이런 현상은 추가적으로 'unbreakable'과 '언브레이커블'이 다른 느낌으로 사용되는 지경에 까지 이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니까 발음대로 쓴 제목과 해석 된 제목을 나란히 놓았을 때 말그대로 발음이 주는 느낌 혹은 외형적, 디자인적인 표기상의 느낌의 차이만 있어야 하는데, 점점 더 의미상의 차이까지 가져오는 현상이 발생한다는 것이다.


물론 영어라는 언어가 차지하고 있는 비중의 특수성을 감안하지 않을 수는 없을 것이다. 어느 정도 관객들이 쉽게 해석할 수 있는 언어라는 점도 그렇고, 이렇게 이미 흘러온 시장의 특성상 100% 우리말로 해석한 제목을 내어 놓았을 때 오히려 그 의미가 퇴색되거나 생경한 느낌을 주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영화를 홍보하는 입장에서 보았을 땐 이런 위험을 감수하기가 사실상 어려울 것이다.


하지만 그럼에도 분명히 아쉬운 제목들이 있다. 일단 첫 번째로 단순히 느낌만 강조해 아주 쉬운 영어도 발음대로 쓴 경우다. '파터 앤 도터' 같은 경우가 그러한데, 그냥 '아버지와 딸'로 번역해도 충분했을 제목을 '파터 앤 도터'로 번역아닌 번역 한 것은 참 씁쓸함마저 든다. 기대작인 타란티노의 신작 'The Hateful Eight'도 마찬가지다. 그냥 '증오의 8인' 정도로 했으면 좋았을 것을 '헤이트풀 8'이 도대체 무슨 제목인가. 헤이트풀 1~7편까지 봤냐는 농담이 나오는 것도 그냥 웃을 일만이 아니다. 뭐 제목 얘기 나올 때마다 회자되곤 하는 우디 엘런의 '내 남자의 아내도 좋아 (Vicky Cristina Barcelona)'같은 말도 안되는 해석도 물론 큰 문제다. 이 영화를 보기 전에 불륜영화로 첨부터 예상하고 본 관객들은 아마 대한민국 관객 밖에 없었을 테니 말이다.


또 다른 황당한 경우로는 발음대로 쓴 영어 제목인데 실제 원제목과는 다른 경우도 들 수 있겠다. 그런 제목의 영화가 바로 떠오르지 않는데 가짜 예를 들자면 본래 제목은 'Amy'인데 국내 개봉 제목은 '더 걸 오브 론리' 같은 식이다 (에이미는 다시 말하지만 가짜 예).


불만들을 가득 쏟아냈지만 앞서 이야기했던 것처럼 실제로 현장에서 적용하는 것이 쉽지 않다는 것도 잘 알고 있다. 또한 갑자기 중국식으로 모두 한국어화 하자는 것도 아니다. 하지만 본래 제목이 가지고 있는 의도를 퇴색시키지 않는 수준에서 최대한 우리말로 표현하고자 하는 노력과 최소한의 성의는 있어야 하지 않나 싶다. 요새 외화 개봉 제목들을 보면 몇몇은 너무 성의 없고 그저 멋만 부리는 (그런데 웃기는 건 별로 멋지지도 않다는 점) 이상한 제목들이 너무 많아, 조금만 더 있으면 이런 얘기를 하는 것조차 쓸데없는 일이 될 것 같아 글을 썼다.


생각해봐라. 강동원을 좋아하는 해외의 팬이 '검은 사제들'을 자국에서 보게 되었는데 그 나라의 개봉 제목이 'The Priests'가 아닌 'Geomeun Sajaedel'이라는 걸 알게 된다면 우리는 웃지 않을까?





[아쉬타카의 레드필]

네오가 빨간 약을 선택했듯이, 영화 속 이야기에 비춰진 진짜 현실을 직시해보고자 하는 최소한의 노력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