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주 (The Portrait of A Poet, 2015)

부끄러움이 절실한 시대에 바침


인생은 살기 어렵다는데 시가 이렇게 쉽게 씌여지는것은 부끄러운 일이다.

륙첩방은 남으 나라 창밖에 밤비가 속살거리는데, 

등불을 밝혀 어둠을 조금 내몰고,

시대처럼 올 아침을 기다리는 최후의 나

나는 나에게 작은 손을 내밀어 눈물과 위안으로 잡는 최초의 악수.

(윤동주 - 쉽게 쓰여진 시 中)


이준익 감독의 '동주'는 나라를 빼았긴 암흑과도 같았던 시절을 배경으로 애국심을 이야기하고자 하는 영화가 아니다. 독립운동이라는 숭고한 행동에 대해서도 또한 일제 강점기 라는 시대적 배경에 대해서도 조심스레 한 발 물러서 있는 이야기다. 그리고 그 중심에는 윤동주라는 청년이 있다. 시를 통해 자신의 이야기를 하고 싶었던 한 청년의 이야기. 그렇게 영화 '동주'는 물러설 곳이 없었던 어두운 현실 한 가운데 있었던 청년 윤동주와 송몽규의 이야기를 들려줌에 있어 시대 정신을 소홀히 하지 않으면서도 문학적인 내러티브로, 마치 윤동주의 시와 같은 쓸쓸함을 머금은 공기를 전한다.



ⓒ 메가박스(주)플러스엠. All rights reserved


그리고 한 사나이가 있습니다. 어쩐지 그 사나이가 미워져 돌아갑니다. 

돌아가다 생각하니 그 사나이가 가엾어집니다. 도로 가 들여다보니 사나이는 그대로 있습니다. 

다시 그 사나이가 미워져 돌아갑니다. 돌아가다 생각하니 그 사나이가 그리워집니다.

(윤동주 - 자화상 中)


영화 '동주'는 우리에게도 익숙한 윤동주의 시 구절을 내러티브로 활용한다. 영화 속 장면과 시의 구절이 뜻하는 바가 실제로 반드시 맞아 떨어지는 것은 아니지만, 그런 착각이 들도록 하는 것을 주저하지 않을 정도로 영화는 윤동주의 시 한 구절 한 구절의 힘을 관객에게 최대한 가슴 깊이 전달하고자 한다. 문학 장르 가운데서도 '시'라는 형태는 가장 쉬운 방식인 동시에 가장 그 깊이를 다 소화하기 어려운 문학이기도 한데, 영화 '동주'를 보고나면 실제로 학창시절 별다른 생각 없이 혹은 그저 문장의 아름다움 만으로 읽었던 윤동주의 시에 대해 조금이나마 가슴으로 느낄 수 있게 해준다. 설령 그 구절이 영화가 만들어 낸 것과는 다른 심정으로 쓰여졌다해도 말이다. 그 지점이 영화 '동주'의 첫 번째 의미다. '시'가 죽어버린 시대에 '시'를 통해 자신을 표현하고자 했던 윤동주를 다른 요소를 최대한 섞지 않고 그려내고자 한 점. 그것은 아마도 박정민이 연기한 송몽규라는 인물을 비중있게 다루게 되면서 윤동주라는 인물을 좀 더 시대의 그림자처럼 그려낼 수 있는 공간이 생겼기 때문일 것이다. 앞서 언급했던 것처럼 '동주'는 그저 시집을 내고 싶었던 청년 윤동주의 심정과 그로 인해 느껴야 했던 부끄러움을 묘사하면서도 동시에 일제 시대라는 무시하려해도 할 수 없는 시대의 문제와 그 시대를 독립운동이라는 정신으로 이겨내고자 했던 이들의 숭고함도 가볍게 다루지 않는다. 어느 한 편으로 기울었다면 결코 좋은 작품이 되기는 힘들었을 영화였을 텐데, 이준익 감독은 균형점을 찾는 것에 성공했다.



ⓒ 메가박스(주)플러스엠. All rights reserved


죽는 날까지 하늘을 우러러 한 점 부끄럼이 없기를.

잎새에 이는 바람에도 나는 괴로워했다. 

별을 노래하는 마음으로 모든 죽어가는 것을 사랑해야지

그리고 나한테 주어진 길을 걸어가야겠다. 

오늘 밤에도 별이 바람에 스치운다.

(윤동주 - 서시 中)


영화 '동주'가 말하고자 했던 건 결국 부끄러움에 관한 것이다. 부끄러워 한다는 것. 부끄러움을 안다는 것. 윤동주의 이야기를 지금에 와서 다시 꺼내고자 했던 이유는 어쩌면 그 부끄러움 때문이었을 것이다. 일제 시대가 그랬던 것처럼 한 개인이 할 수 있는 일에는 분명 한계가 있을 수 밖에는 없을 것이다. 힘이 없고, 앞이 보이지 않고 그래서 두려워서 그저 닥친 현실과 벌어진 정의롭지 못한 일들에 대해 모른척 하거나 무시하려 자기 합리화를 했을지도 모른다. '동주'는 바로 그런 자들, 이런 저런 이유들을 들어 그럴 수 밖에는 없다고 스스로를 속여가며 못 본척 하는 이들에게 보내는 뼈저린 부끄러움에 관한 이야기다. 그리고 최소한의 부끄러움조차 느끼지 못하는 현실에게 보내는 과거로부터의 메시지다. 꿈을 꾸는 것조차 사치처럼 느껴졌던 시대에 시인이라는 작은 꿈을 꾸었던 윤동주가 거대한 시대 앞에서 죽음으로 느껴야만 했던 부끄러움. 그 부끄러움을 통해 과연 현재의 우리는 얼마나 부끄러움을 안다고 말할 수 있는 가를 되묻는다. 그리고 최소한 부끄러워는 해야 할 양심은 가져야 하는 것이 아닌가 하고 묻는다. 윤동주라는 한 청년의 짧은 삶과 그가 남긴 시를 통해서.



ⓒ 메가박스(주)플러스엠. All rights reserved


이 영화를 보며 많은 것들에 대해 부끄러운 마음이 들지 않을 수 없었다. 우리 최소한 부끄러워 하자. 그것이 시인 윤동주의 삶이 우리에게 전하는 절실한 외침이다.




글 / 아쉬타카 (www.realfolkblues.co.kr) 

  
본문에 사용된 모든 스틸컷/포스터 이미지는 인용의 목적으로만 사용되었으며,
모든 이미지의 권리는 메가박스(주)플러스엠 에 있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