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러진 화살 (Unbowed, 2011)

현재 진행형의 투쟁



지금으로부터 약 5년 전 대한민국을 떠들석 하게 했던 사건이 하나 있었는데, 이른바 '석궁사건'이라고 불린 사건이 그것이었다. 재판 과정에서 불합리함을 느낀 피고였던 한 교수가 재판의 판사를 찾아가 석궁으로 위협을 했다는 사건이었는데, 다른 사건들과는 달리 '석궁'이라는 조금은 특별한 도구 때문에 더 세간에 주목을 끌었던 사건이기도 했다. 정지영 감독의 영화 '부러진 화살'은 바로 이 석궁사건을 토대로 만들어진 작품이다. 이 영화의 어디까지가 실화이고 어디까지가 허구인지도 물론 얘기거리이지만, 어쨋든 실제 일어났던 사건과 별개로 생각할 수는 없는 작품이란 것만은 분명한 사실일 듯 하다.



ⓒ 아우라 픽쳐스. All rights reserved


'부러진 화살'이 주목하고 있는 지점은 사법부로 대변되는 대한민국의 권력을 갖고 있는 조직 사회의 문제, 그리고 이와 맞서 싸우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들 수 있겠다. 정지영 감독은 완전히 이 사건 자체에만 집중하면서도 중간 중간 대사와 장면들을 통해 이 이야기를 단순히 법정 내의 이야기로만 가두지 않는다. 이 이야기는 김경호(안성기)가 불합리한 정치적 이유로 인해 겪게 되는 투쟁의 과정이기도 하지만, 다른 한 편으로는 대한민국 사회가 관례라는 이름으로 집행하는, 혹은 권력을 가진 자들의 사리사욕을 위해 안면몰수하고 진행되는 시스템적인 불합리에 대한 투쟁이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영화는 바로 이 거대한 부당함과 외로운 합리의 싸움을 디테일하게 그려낸다. 보통 같았으면 '정의'라는 표현을 썼겠지만 '부러진 화살'이 담고 있는 내용은 엄밀히 이야기하자면 '정의'보다는 '합리'에 가깝다. 즉, 영화 속에서 문제가 되는 것은 정의롭냐 그렇지 못하느냐가 아니라, 합리적인가 그렇지 않은 가에 더 가깝다는 얘기다. 이 얘기를 바꿔서하면 대한민국 사회가 처한 문제는 정의를 논하기조차 부끄러울 정도로, 합리적인 측면에 있어서도 스스로 증명하지 못할 정도의 쉽게 말해 '황당한' 상황이라는 말이 되겠다.



ⓒ 아우라 픽쳐스. All rights reserved


영화 속 김경호의 싸움을 살펴보면 그는 자신이 옳다 라는 것을 가지고 싸우는 것이 아니라, 자신을 죄인으로 여기는 상대에게 '너희들이 옳다고 생각하는 바를 먼저 입증해봐라'의 연속이다. 만약 이 싸움이 조금 더 정의로운 것에 포커스를 맞출 수 있으려면, 김경호가 판사를 찾아가 석궁으로 위협할 수 밖에는 없었던 상황에 대해, 정상참작할 만한 여지가 있느냐 아니냐를 가지고 이야기를 해야 할텐데, 영화 속 싸움은 이보다 한참 전 상황에서도 더 나아가지 못한다. 결국 이 싸움에서 분노가 드는 것은 바로 이 답답함 때문임이 크다. 서로 다른 생각을 가지고 누구의 생각 혹은 주장이 맞는 가를 다투는 것이 아니라, 그 스스로도 자신의 주장을 입증하기는 커녕 너무나 당당하게 '내 주장은 나도 잘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당신의 말은 틀렸어요'라고 말하는 상대와 논리적으로 싸워야 하는 피곤함에 있다.


하지만 영화 속 김경호는 이런 무지한 상대를 두고도 끝까지 법적으로 밀어 붙인다. 김경호가 법적인 논리를 치밀하게 펴서 상대를 아무말도 하지 못하도록 만들면 만들 수록 관객의 분노와 피로함은 더해간다. 이것이 '부러진 화살'이 다른 법정영화와 전혀 다른 점이다. 주인공이나 변호사가 판사나 검사를 아무말도 못하도록 만들 때 승리감이나 시원함이 들기 보단, 그저 씁쓸함과 허탈함 만이 드는 건, 결정적 단서라고 생각한 동영상이 나와도 주어가 없다 라고 부정해 버리는 현실 사회의 피로함 때문일 것이다.




  ⓒ 아우라 픽쳐스. All rights reserved 


그런데 정지영 감독은 이 답답하고 분노만 끓어 넘치는 사건에 다른 공기를 불어 넣었다. 그냥 이 사건을 몰랐던 관객들에게 '이런 사건들이 있었습니다'라고 고발하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아직 이 싸움은 끝나지 않았어요'라고 말하고 있는 듯 했다. 나는 그래서 이 영화의 마지막이 특별히 마음에 들었다. 분노를 분노에 가두지 않고 현재를 살아가는 투쟁의 에너지가 되도록 유도하고 있기 때문이었다. 영화는 끝나도 이 투쟁은 현재진행형이라는 것이 씁쓸하게도 하지만, 한 편으론 바로 이 사실을 알려준 것이야말로 이 작품에 가장 큰 의미가 아닐까 싶다.



글 / 아쉬타카 (www.realfolkblues.co.kr) 
  
본문에 사용된 모든 스틸컷/포스터 이미지는 인용의 목적으로만 사용되었으며,
모든 이미지의 권리는 아우라 픽쳐스 에 있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