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우티풀 (Biutiful, 2010)

아버지에게 바치는 이냐리투식 송가



알레한드로 곤잘레스 이냐리투의 영화는 항상 그랬다. 이냐리투의 영화 속 인물들은 모두 세상의 무게에 억눌려 하루하루를 견뎌내는 이들이다. 이들은 치열하게 저항하고 발악한다는 느낌보다는 그야말로 '견디고' 있는 이미지가 더욱 강해왔는데, 이번 영화 '비우티풀'의 주인공 옥스발(하비에르 바르뎀) 역시 이런 '인내'의 개념으로 바라볼 수 있는 캐릭터다. 옥스발이 처해있는 상황은 참 답답하다. 우울증과 알코올 중독으로 별거 중인 아내와의 관계는 말끔하지 못하고, 불법 이미자들을 연결해주는 브로커 일은 매일 살얼음 판을 걷는 듯한 불안한 상태며, 그런 불안한 삶 속에 자신이 챙겨야 할 어린 두 아이가 있다. 여기서 옥스발의 힘겨움은 그치지 않는다. 죽은 자가 세상을 완전히 떠나기 전 얘기할 수 있는 능력을 갖고 있는 그에게도 병이라는 죽음의 그림자가 드리운다. 하지만 옥스발에게는 이런 힘겨움을 나눌 이가 없다. 상황은 더 나락으로 치닫지만 그것은 그 안에 조용한 소용돌이 일 뿐, 모두 혼자 짊어지고 하루하루를 또 버티어 낸다.



ⓒ Focus Features . All rights reserved


이냐리투가 삶을 바라보는 시선은 결국 고통과 인내 그리고 그 속에서 전하는 부정할 수 없는 (그래서 한꺼번에 쏟아지고마는) 위로의 메시지였는데, '비우티풀' 역시 옴니버스와 우연, 필연의 연결고리는 빠졌지만 넓게 보았을 때 크게 다르지 않은 이야기를 하고 있다. 또한 이전 작품들이 그러하였듯이 이 작품에서도 역시 슬픔과 상반되는 아름다운 영상미가 돋보이는 장면을 배치하여 그 아이러니를 배가시키는 동시에, 궁극적으로는 따듯한 위로를 더하는 장치로 활용하고 있다. 사실 이런 방식 뿐이었다면 예전 '바벨'을 보았을 때 처럼 또 한없는 무기력함에 잠식당하거나 먹먹함 그 자체에 휩쓸려 글을 쓸 생각조차 하지 못했을 테지만, '비우티풀'에는 이냐리투가 영화를 바라보는 전혀 다른 시각이 담겨 있다는 점에서 그간의 먹먹했던 작품들과는 차별점이 있다고 할 수 있을텐데, 그것은 바로 '비우티풀'이 이냐리투 본인이 자신의 아버지에게 바치는 영화라는 점이다.



ⓒ Focus Features . All rights reserved


이 영화를 볼 때 국내용 포스터는 물론 팜플렛도 접하지 않은 채 감독과 배우의 이름만 알고 보게 되었기 때문에 애초부터 '아버지'라는 존재와 영화를 엮지는 못했었는데, 영화가 전개되고 극중 옥스발이 자신의 아버지 그러니까 자신의 딸에게 할아버지 얘기를 반복적으로 해주는 장면에서 무언가 다른 메시지가 있다는 것을 눈치챌 수 있었고, 결정적으로 영화가 끝나고 나서 이냐리투의 아버지에 대한 이야기가 나왔을 때 비로소 영화가 완성되는 느낌이었다. 단순하게 생각하면 하비에르 바르뎀이 연기한 옥스발에게서 이냐리투의 아버지 모습을 엿볼 수도 있을 것이다. 자신을 챙기기에도 벅찰 정도의 힘든 상황에서도 자녀들을 위해 모든 것을 몸으로 끝까지 다 흡수해버린 아버지의 모습은 이냐리투가 아버지에게 바치는 감사의 메시지일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영화는 이것보다는 좀 더 흥미로운 장면을 등장시키는데, 영화의 시작과 마지막에 등장하는 옥스발의 아버지에 대한 부분이 그렇다. 이 장면을 보면 옥스발이 이냐리투 본인이고 아버지는 그의 아버지로 볼 수 있을텐데, 이 장면의 묘사가 정말 말로 다 하기 어려운 감동을 전달한다. 이 장면은 다시 생각해봐도 너무 아름답고, 이냐리투 영화답지 않게 흐뭇한 미소마저 지어지는 장면이었는데, 자신의 아버지에게 바치는 가장 완벽한 이냐리투 식 송가가 아니었나 싶다. 그것이 느껴졌기에 이 장면은 한없이 울컥하면서도 또 살며시 미소짓게 하는 그런 아름다운 장면이었다. 아...



ⓒ Focus Features . All rights reserved


구스타보 산타올라라의 음악 역시 인상적이었다. 그의 음악은 '비우티풀'에서 좀 더 감정을 직접적으로 자극하고 있는데, 그냥 심장을 뛰게 하는 정도가 아니라 심장을 직접 손으로 두드리는 듯한 강한 울림을 담고 있는 음악이었다. 구스타보 산타올라라는 이냐리투가 만든 영화의 먹먹함과 아름다운 공기를 극장 내에 최대한 머금을 수 있도록 붙잡아 두는 역할을 하고 있어, 영화가 끝나고도 완전히 불이 다 켜질 때까지 역시나 움직일 수 없었다. 아마도 사운드트랙을 통해 그의 음악을 다시 듣게 된다면, 알레한드로 곤잘레스 이냐리투가 아버지에게 바친 그 송가가 다시 떠오르겠지.



1. 이 작품은 이냐리투, 길예르모 델토로, 알폰소 쿠아론 이 세 사람, 멕시코 삼총사가 함께 제작을 맡고 있습니다. 어쩌다보니 이 삼총사는 개인적으로 가장 좋아하는 삼총사 중 하나가 되었군요 ㅎ


2. 굳이 수상 내역을 얘기하지 않더라도 하비에르 바르뎀의 연기는 압도적이에요. 사실 앞서 이야기했듯이 이냐리투의 전작들과 유사한 측면에 있는 상황에 놓인 주인공임에도 빠져들 수 있었던 데에는 그의 공이 가장 컸다고 할 수 있죠. 그래도 페넬로페와 사는 그가 더 부럽습니다.





글 / 아쉬타카 (www.realfolkblues.co.kr) 
  
본문에 사용된 모든 스틸컷/포스터 이미지는 인용의 목적으로만 사용되었으며,
모든 이미지의 권리는 Focus Features 에 있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