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수 의견 (2013)

피고 대한민국에게 진실을 묻다



용산 참사와 관련된 영화가 제작되었다는 소식은 이전에 들었었는데, 아니나 다를까 이 영화의 개봉도 그리 순탄한 과정은 아니었나 보다. 2013년에 제작된 이 영화는 2015년 6월이 되어 서야 극장에서 만나볼 수 있게 되었는데, 어쩌면 영화의 제목인 '소수 의견'과 같은 대우 혹은 처분을 영화 스스로가 받았던 것은 아닌가 싶기도 하다. '소수 의견'이 용산 참사를 배경으로 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았을 때 가장 궁금했던 부분은 좀 더 실화 자체에 바탕을 둔 영화인지 아니면 배경으로 픽션을 그려낸 것인지 하는 점이었는데, 김성제 감독의 '소수 의견'은 후자의 방식을 택한 작품이었다. 결론적으로 이와 같은 방식은 영화가 본래 말하고자 했던 바를 관객에게 전달 하는 것에 있어서 더 영리하고 현명한 선택이었다고 말할 수 있겠다.



(주)하리마오픽쳐스. All rights reserved


이미 용산 참사를 배경으로 했다는 사실 만으로도 이 영화는 정치적인 시선에서 자유로울 수 없는 작품이었다. 그것이 정치적으로 응원을 받든, 질타를 받든 간에 말이다. 물론 지금의 결과물을 가지고도 충분히 이런 논란을 벌일 수는 있겠지만, 느끼기에 '소수 의견'은 최대한 이를 직접적인 방식 보다는 간접적이고 은유 적인 방식으로 풀어내고자 한 영화로 느껴졌다. 일단 아직 그리 오래 되지 않은 사건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굳이 '이 작품은 실화입니다'라는 방식의 영화를 만들기 보다는 오히려 이 영화의 경우처럼 '영화 속 인물은 존재하지 않는 허구입니다'라고 말하는 편이 훨씬 결과적 효과를 만들 수 밖에는 없었다. 왜냐하면 실화가 아니라고 아무리 말해도 이 사건을 알고 있는 관객들은 실제 인물과 사건에 빗대어 생각할 수 밖에는 없는 구조였기 때문이다. 여기서 실제 실화 임을 강조하는 방식은 오히려 사실을 늘어 놓는 것 이상의 효과는 없었을 텐데 (물론 제대로 된 사실을 설명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한 의미가 있는 시대다. 김일란, 홍지유 감독의 '두 개의 문'이 그랬던 것처럼), 이보다는 관객들이 영화로서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서, 이 사건의 진짜 문제와 이로 인해 알게 된 진실이 무엇인지 다시 생각해 보도록 하는 계기를 마련하고 있기 때문이다.



(주)하리마오픽쳐스. All rights reserved


대한민국 사회의 어두운 면, 혹은 누군 가가 숨기고 싶어하는 진실에 대한 영화들을 요 근래 심심치 않게 만나게 되는데, 그 가운데서도 '소수 의견'이 말하고자 했던 것은 가해자는 없고 피해자들 만이 서로 원망하고 다투고, 결국 용서하고 눈물 흘리게 되는 잘못된 사회와 진짜 가해자에 대한 추적이 아니었나 싶다. 사실 이 영화는 대부분의 분량을 차지하고 있는 법정 공방 과정 관련하여 기술적으로 보았을 때 아주 뛰어난 작품이라고 말하기는 어려울 듯 하다. 물론 그랬다면 더 좋은 영화가 되었을지도 모르겠지만, 이 작품이 주고자 했던 것은 법정 공방에서 오는 서스펜스와 통쾌함은 아니라는 점에서 크게 문제가 되지는 않는다.


앞서 이야기했던 것처럼 이 작품의 법정 드라마는 진짜 가해자가 누구인지를 추적하는 과정으로 존재한다. 그런데 다른 법정 드라마와 다른 점이라면 진짜 가해자는 원고 측에도 피고 측에도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일 것이다. 한 소년과 한 청년을 죽음으로 몰아간 비극적인 사건을 통해 농성자와 용역 깡패, 더 나아가 작전을 수행한 전경과의 대립 구도는 이 사건의 진정한 프레임이 아니다. 법정 공방은 이들 사이에서 이뤄지지만 진짜 주목해야 할 구도는, 작게는 이런 사건에 큰 관심이 없었던 두 변호사 윤진원과 장대석 같은 사람들과 앞선 프레임 대로 흘러가길 원하는 권력과의 구도, 크게는 이 사건을 그저 남의 이야기로 큰 관심을 두지 않았던 국민들과 그랬으면 하는 권력과의 구도가 이 영화가 말하고자 하는 바 일 것이다.



(주)하리마오픽쳐스. All rights reserved


그 구도로 이 영화를 바라보게 되면 사실 영화는 더 답답해 진다. 왜냐하면 영화 내내 매달렸던 사건과 법정 공방의 결과 얻게 되는 건 결국 진실이 아직은 소수 의견일 수 밖에는 없다는 사실을 깨닫게 되는 것 뿐이기 때문이다. '뿐이다'라고 썼지만, 그리고 이 영화는 스스로도 자신이 말하고자 하는 바가 소수 의견이자 '뿐'이라는 걸 알고 있지만, 그럴 '뿐'인 이 이야기를 더 많은 이들이 알게 되는 것 만으로도 정말 큰 의미가 있다는 것을 영화가 끝나는 동시에 알 수 있었다.


소수 의견을 내는 것은 여러 모로 부담스럽다. 특히 그것이 어떤 불안과 공포를 담보로 해야 할 땐 더더욱 주저하거나 포기하게 된다. 그것은 잘못이 아니다. 그래도 영화는 묻는다. 피고 대한민국에게 진실을.




글 / 아쉬타카 (www.realfolkblues.co.kr) 
  
본문에 사용된 모든 스틸컷/포스터 이미지는 인용의 목적으로만 사용되었으며,
모든 이미지의 권리는 (주)하리마오픽쳐스 에 있습니다.





두 개의 문 (Two Doors, 2011)

두 눈 똑바로 뜨고 직접 확인하라



김일란, 홍지유 감독의 작품 '두 개의 문'을 드디어 보았다. 이 영화는 잘 알다시피 2009년 1월 20일 (벌써 시간이 이렇게 되었다니..) 용산 남일당 건물에서 벌어진 25시간의 그을린 기록에 관한 영화다. 일단 이 영화의 핵심은 바로 이 '그을린' 기록에 있다. 누구나 알다시피, 아니 사실 요새 들어 이런 사안을 접할 때 가장 많이 놀라는 점은 개인적으로 누구나 알고 있다고 생각한 일들을 많은 사람들이 모르고 있다는 점이었다는 걸 감안할 때 다수가 알고 있는가 모르는가의 여부와는 상관없이, 용산 참사를 언론, 법정, 정부가 다루는 방식은 분명 잘못된 점들이 부지기수였다. 그렇기 때문에 '두 개의 문'은 무엇이 잘못되었고, 어디서 부터 잘못되었으며, 왜 그런 잘못을 저질렀는가에 대해서도 이야기하지만, 기존의 고발성 다큐들과는 조금 다른 방법을 취한다. 흔히 강력한 주장과 설득을 하기 위해서는 더 날이 선 객관성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고 있는데, 바로 '두 개의 문'이 그러하다. '두 개의 문'을 보기 전엔 엄청난 사회 고발성 내용들이 날이 선 잣대로 가슴을 때리려나 보다 했었지만, 막상 보게 된 영화는 더 날카로운 객관성으로 인해 결국 남일당 망루 위에서 적대해야 했던 시위대와 경찰특공대 간의 상대적 이야기가 아닌 더 큰 담론을 이끌어 내는데에 이르렀다.



연분홍치마. 시네마달. All rights reserved


'두 개의 문'을 보고 가장 놀랐던 건 그 흔한 피해자, 유가족 들의 인터뷰 장면 하나 없다는 것이다. 이런 장치가 반드시 나쁘다는 것이 아니라, 사안을 영화 만으로 직접적으로 판단하기 어려움과 감독이 들려주고자 하는 메시지를 더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실제로 일을 겪은 이들 (피해자)의 이야기는 다큐멘터리에서 기본적으로 활용하다시피한 장치라고 할 수 있을 텐데, '두 개의 문'에는 이러한 장면을 하나도 찾아볼 수 없다. 유일하게 존재하는 유사한 장면이라는 것이 법정을 나오며 오열하는 유가족의 모습 한 장면 뿐이다. 그렇다면 '두 개의 문'의 메시지의 전달 효과는 어떠한가?


피해자, 유가족 등의 인터뷰를 담는 것은 '사안을 영화 만으로 직접적으로 판단하기 어려움' 때문이라는 이유를 들었었는데, '두 개의 문'은 바로 이 어려움을 정면으로 돌파하다시피 한 영화라 해야겠다. 즉, '두 개의 문'의 방식은 용산 참사를 가장 가까이에서 겪은 이들의 이야기와 이를 오랜 시간에 걸쳐 조사한 감독이 '이러한 일이 있었으니 여러분도 관심을 가져주세요!'라고 말하는 것이 아니라, 관객이 그날 생지옥과도 같았던 25시간을 최대한 직접 경험할 수 있도록 조건을 만들고 그 이후에 벌어진 정의롭지 못한 일들에 대해서도 '정의롭지 못하다'라고 100%의 평가를 내리기 보다는 '사실(Fact)'자체를 전달하는데에 더 주목하고 있다. 물론 관객은 어쩔 수 없이 이미 이 사안에 대해 어느 정도 문제성을 인지하고 접근을 시도하기는 하지만, 영화가 내내 취하고 있는 이 직접 보고 판단하라는 메시지에 점점 동화되어 결국엔 '전해 들은 것'이 아닌 '내가 겪은 일'에 가까워 지는 것이다.




연분홍치마. 시네마달. All rights reserved



'두 개의 문'은 일반적인 다큐멘터리처럼 사건을 가까이서 보고 들은 이의 경험을 전달하는 방식을 취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다른 다큐 작품들에 비해 훨씬 더 '영화적'인 완성도에 많은 공을 들이고 있다. 실제로 올해 본 영화 가운데 '프로메테우스'의 근원적 공포에 비길 정도의 현실적 공포를 보여준 영화가 바로 '두 개의 문'이었다. '두 개의 문'은 상당히 스타일리쉬한 화면 구성과 편집 그리고 화면 속 공포를 더 배가 시켜주는 영화 음악까지, 관객이 최대한 직접 체험에 들 수 있도록 영화적 완성도에 아낌없이 투자하고 있다. 다시 말하면 다큐멘터리라는 장르의 벽을 넘어야하는 일반 관객들마저 어렵지 않게 극 영화를 보듯 빠져들 수 있을 정도로 완성도가 높은 작품이라는 얘기다.


실제로 영화른 보는 내내 극장 안의 몰입도는 대단했다. 그냥 다들 아무 소리도 내지 않는 것과 숨죽이듯 집중할 때의 분위기는 분명히 다른데, '두 개의 문'이 상영되던 극장의 분위기는 분명 후자였다. 가끔씩 이러한 사회의 중요한 메시지를 던지는 다큐멘터리 영화들을 보게 될 때마다, 더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졌으면 하는 안타까움이 있었는데, 일단 '두 개의 문'은 더 많은 대중들이 쉽게 받아들일 수 있는 준비는 완벽한 셈이다.




연분홍치마. 시네마달. All rights reserved


영화를 보고 난 지 하루가 지났는데 아직도 마음 한 켠이 불에 그을린 듯 뜨겁다. 아마도 좀 더 일반적인 다큐멘터리였다면, 기존에 내가 알고 있던 사실들과의 동일점과 차이점을 확인하거나 한 번 더 mb정권을 욕하는 것으로 그쳤을 것이다. 하지만 이 영화는 달랐다. 비교 대상이 될지는 모르겠지만 악당을 모두 홀로 물리치는 무술 고수가 등장하는 영화를 보고 나오면 나도 모르게 내가 고수가 된 것 같은 느낌을 받거나, SF영화를 보고 난 뒤에는 멀게만 느껴졌던 미래와 우주를 손에 잡히듯 경험할 수 있었던 것처럼, '두 개의 문'을 보고 난 뒤에는 그 생지옥 같았던 25시간의 고통과 화염이 심장까지 느껴져 미안함과 분노가 절로 생겨났다.


누가 이들을 생지옥으로 내몰았는지. 우리 기억 속에서는 점점 잊혀져 가겠지만 아마도 평생을 잊지 못한 채 트라우마를 겪을 피해자의 가족들과 작전에 투입되었던 경찰특공대들은 누가 위로할 것인지.


이제는 영화를 본 관객들의 몫이다.




연분홍치마. 시네마달. All rights reserved




1. 꼭 보세요.




글 / 아쉬타카 (www.realfolkblues.co.kr) 
  
본문에 사용된 모든 스틸컷/포스터 이미지는 인용의 목적으로만 사용되었으며,
모든 이미지의 권리는 연분홍치마. 시네마달 에 있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