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평 쓰는 것을 직업으로 삼고 있는 이들이야 말할 것도 없겠지만, 꼭 기자가 아니더라도 나처럼 영화보고 쓰기를 즐겨하는 이들이라면 한 번쯤 고민해봤을 문제가 아닐까 싶다. 모든 일이 주객이 전도되고 초심을 잃게 되면 의미가 퇴색되는 것처럼, 영화 글 쓰기 역시 영화 보기를 넘어서는 수준이라면 고민이 되는 것이 사실이다. 이런 고민은 몇 해전에도 한 번 깊게 했던 적이 있었고, 어쩌다보니 슬럼프 아닌 슬럼프를 겪을 때마다 들곤 하는 화두이기도 한데, 완고했던 예전과는 달리 조금은 유해졌다고나 할까. 다시 한번 글로써 정리할 필요가 생겼다.

일단 여전히 영화 보기가 더 중요하다는 것, 그러니까 순수한 영화 보기가 더 중요하다는 점에는 변함이 없다. 영화는 기본적으로 즐기는 것이기 때문에 영화 때문에 얻는 것이 즐거움보다는 괴로움이라면 (물론 여기서 이야기하는 즐거움에는 히노애락이 모두 포함되며, 괴로움은 재미없는 영화나 불편한 영화가 포함된다) 굳이 소중한 시간을 투자해가며 매번 고생할 필요가 있을까 싶기 때문이다. 그런데 영화를 대하는 방식이 '보고 싶다'가 아닌 '무언가 쓰고 싶다'로 접근하기 시작하면 조금씩 관람 태도에 선입견이 생기기 마련이다. 쉽게 말해 보고 나서 써야한다는 부담이 없다면, 영화를 오롯이 그 자체로 즐길 수 있게 된다. 분석하려는 마음도 써야 할 때보다는 압박이 덜할 것이고, 그저 2시간 남짓을 맡기면 된다는 것에 그야말로 편안하게 감상할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영화를 보기 이전에 보고 나서 써야한다는 생각이 지배하게 되면, 아무리 이런 생각에서 벗어나려해도 분명 어느 정도 영향을 받기 마련이다. 그리고 결정적으로 영화를 보는 중간 이미 머릿 속은 글을 반 쯤 써내려가게 되는 경우도 있으며, 극장을 나오면서 나머지 반을, 실제로 글로 옮길 때 부족한 부분을 채우게 되는 경우가 다반사다.

예전에는 이런 영화보기와 글 쓰기에 있어서 상당히 완곡한 입장이었다. 이렇듯 영화 글 쓰기가 영화 보기에 조금이라도 영향을 미친다면 과감하게 글 쓰기를 포기할 지언정, 순수한 영화보기가 방해 받아서는 안된다는 입장이었기 때문이다. 사실 이 생각이 원론적으로 크게 달라진 것은 아니지만, 영화 보기 만큼이나 영화 글 쓰기의 독립적인 의미를 새삼 찾게 되었달까. 영화 글 쓰기가 단순히 영화에 종속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글을 쓰면 쓸 수록 느끼게 되는 것 같다.

영화 글 쓰기에는 여러가지 스타일들이 있지만, 나의 영화 글 쓰기는 결국 영화를 빌려 나를 이야기하는 경우가 많다. 영화가 담고 있는 이야기를 그대로 설명하기 보다는, 이것이 무엇을 말하고 있고 이 말하려는 것이 내 생각과 어떻게 접점을 이루는지 혹은 공감과 반대 되는 의견을 담고 있는지를 글로써 풀게 되는 것이다. 그러다보니 영화 글 쓰기는 영화 보기 만큼이나 의미있는 작업으로 계속 성장해 왔다. 예전에 써둔 글들을 보면 그 영화가 어떤 영화였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것보다, 그 당시 내가 어떤 생각을 하고 있었는지에 대한 단서를 찾는 재미가 더 크다는 것을 요새 새삼 느끼고 있다. 

그리고 글 쓰기는 궁극적으로 '글'자체가 의미있기도 하지만 '쓰는' 과정에서 오는 재미와 의미가 분명 존재한다. 특히 나에게 있어 글쓰기는 머릿 속에 있는 생각을 최종적으로 정리하는 도구이자, 영화 만큼이나 재미있는 또 다른 유희 거리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미 본 영화들은 머릿 속에 가득하고, 이것들을 글로 써야 한다는 부담감도 가득하고, 점점 이런 것들이 압박으로 느껴질 때는, '내가 왜 이렇게 아무도 시키지 않은 일에 부담을 느끼는 거지?'라며 반문해 보기도 한다. 스스로에게 엄격한 것은 분명 한 발 성장하는 계기가 되기도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자신을 점점 옭아매는 안좋은 습관으로 발전할 수도 있다. 하지만 영화 보기 만큼이나 영화 글 쓰기의 재미를 이제야 새삼 깨닫게 된 점으로 미뤄봤을 때, 이것을 더 이상 짐이 아닌 즐거움으로 완전히 받아들일 수 있는 날이 머지 않아 올 수 있지 않을까 싶다. 


2010.09.02. pm. 01:42


글 / 아쉬타카 (www.realfolkblues.co.kr)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