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UD. All rights reserved



문라이트 (Moonlight, 2016)

나 스스로 나 자신이 된다는 것의 진정한 의미


'우린 이런 영화를 평생 기다렸다' '판을 바꾼 최고의 걸작' '지금껏 본 적 없었던 영화' 등의 수식어와 수많은 국제영화제에서의 수상으로 엄청난 기대를 갖게 했던 배리 젠킨스 감독의 '문라이트 (Moonlight, 2016)'. 어떤 영화나 거장 감독의 작품이든 간에 그 영화가 제대로 평가받는 데에 있어 가장 큰 걸림돌이자 부담은 아마 기대감 그 자체일 것이다. 이 기대감이라는 것은 양날의 검과도 같은데, 기대감을 갖게 만드는 것에 성공한 영화는 더 많은 관객들과 만날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되지만 다른 한 편으로는 높은 기대감을 안고 극장을 찾는 관객들을 만족시켜야만 하는 더 높은 장애물과도 직면해야 한다는 점이다. 그런 측면에서 배리 젠킨스 감독의 '문라이트'는 이미 영화를 본 언론들과 평론가들의 평가 그리고 수많은 수상 경력들로 인해 영화를 보기 전부터 엄청난 기대감을 갖게 만들었던 일종의 불리한 영화였다. 특히 서두에 언급했던 것처럼 이 영화에 내려진 평가 수식어들은 절로 과하다는 생각이 들 정도로 전부 최고 수준의 문장들이어서 더욱 그랬고 (그것이 영화 홍보에 의례 사용되는 방식이라는 점을 감안해도 말이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문라이트'는 정말로 그런 과하다고 여겨졌던 수식어들이 말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대단한 영화였다. 가장 특별하면서도 가장 보편적이고, 가장 개인적이면서도 결국 모두의 인생에 관한 이야기를 담아낸, 놀라운 영화였다.



ⓒ AUD. All rights reserved



리틀, 샤이론, 블랙의 세 챕터로 이뤄진 영화는 각각 아이와 소년, 그리고 청년으로 성장하는 과정 속에서 한 사람이 겪는 가족과 사랑, 성 정체성에 관한 이야기를 마치 흘러가는 바람처럼 그려낸다. 흘러가는 바람과 같다는 건 이 영화가 샤이론의 삶을 바라보는 시선 때문이다. 마치 눈에는 보이지 않지만 혹은 무언가와 부딪혔을 때야 비로소 간접적으로 나마 볼 수 있는 것이지만 그럼에도 분명히 느낄 수 있는 바람처럼, 영화는 리틀이 샤이론으로 또 블랙으로 성장해 가는 과정 속에서 겪는 아주 중요하지만 섬세하게 바라보지 않으면 겉으로는 잘 드러나지 않는 인생의 핵심적인 순간들과 감정들을 표현해 낸다. 


샤이론의 삶에서 빼놓을 수 없는 건 그가 동성애자로서 겪는 성 정체성에 대한 갈등과 그로 인해 흑인 남성 사회에서 겪어야만 하는 또 다른 갈등이다. 다른 세계 보다도 더 남성성이 강조되곤 하는 흑인 남성 사회 속에서 동성애자로서 성장해야 했던 샤이론의 내적 갈등과 외적 상처들을 영화는 아주 조심스럽고 섬세한 시선으로 그려낸다. 맨 처음 이 영화가 화려한 수식어들로 표현되는 것에 수긍할 수밖에 없다고 얘기했던 가장 큰 이유 중에 하나는 이 영화가 동성애를 다루는 방식 때문이다. 대다수의 동성애나 성 소수자를 다룬 영화들이 그들의 섹슈얼리티를 강조하거나 아주 일반적이지 않은 누군가의 삶을 사건처럼 그려내는 방식으로 묘사하면서 '이런 이들도 우리 사회의 일원이다' 혹은 '이런 삶도 존재한다'는 식의 애매한 시선으로 보편성과 공감대를 얻어내고자 하는 반면, '문라이트'는 이들과는 확실히 시선과 방식에 있어서 다른 선택을 하고 있는 영화였다. 



ⓒ AUD. All rights reserved



한 인간의 성장이라는 과정 속에서 동성애자로서 겪어야 하는 내적 갈등을 섬세하게 표현하면서도 이것이 단순히 이성애자들이 겪는 성장 과정의 내적 갈등과 별다를 것이 없다는 쉬운 보편론을 취하지 않았고, 자극적인 섹슈얼리티의 측면을 단순한 호기심의 대상이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제거하다시피 하면서도 주인공이 느끼는 사랑이라는 감정의 절실함과 확신을 표현해 내는 것에 더 집중했고, 그토록 아름답게 표현해 냈다. 


다시 말해 '문라이트'가 성취해 낸 보편성은 단순히 '동성애도 이성애와 다르지 않아'의 쉬운 선택도 아니고 반대로 '동성애는 동성애만의 특별함이 있어'도 아닌, 동성애자로 성장해 가는 한 인물의 감정선을 가장 개인적인 시선으로 그려내면서 결국 그 진실됨으로 편견의 경계를 허물고 보편성을 얻어낸 결과라고 말할 수 있겠다. 뭐랄까, '문라이트'는 아직 성소수자들에 대해 편견이 존재하는 현재 사회의 시선으로 보았을 땐 마치 미래에서 온 영화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러니까 성소수자들에 대한 편견 자체가 존재하지 않는 건강한 미래 사회에서 자연스럽게 만들어진 어떤 영화 같다는 생각. 머지않은 미래엔 분명히 그렇게 될 테니까.



ⓒ AUD. All rights reserved



리틀이 샤이론으로, 샤이론이 블랙으로 성장하면서 결국 자신의 가족과 현실, 정체성을 받아들이고 스스로 삶의 방향을 선택하게 되는 것처럼, '문라이트'는 결국 자신의 인생을 스스로 선택하는 한 인간의 가장 개인적이고 또 보편적인 이야기다. 인생을 살다 보면 가끔 반드시 선택해야만 하는 순간과 마주하게 된다. 이 영화는 바로 그 순간에 스스로 무엇이 될 것인지 선택해야 한다는 걸 몸소 보여주고 있는 영화다. 의외로 나 스스로가 된다는 것에 중요성을 잊거나 되는 방법 조차 잊어버린 이들이 많다. 나 자신이 된다는 것. 그것이 얼마나 아름답고 의미 있는 일인지를 이 영화는 깨닫게 해준다. 그것이 가장 큰 메시지가 아닐까.




글 / 아쉬타카 (www.realfolkblues.co.kr)


본문에 사용된 모든 스틸컷/포스터 이미지는 인용의 목적으로만 사용되었으며,

모든 이미지의 권리는 AUD 에 있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