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아 (Noah, 2014)

새로운 시작을 위한 어떤 죽음



대런 아로노프스키가 구약 성서에 나오는 노아의 방주에 관한 이야기를 영화화 한다고 했을 때, 그럴 것이다 라고 생각된 바가 명확히 있었다. 달리 말해 아로노프스키가 노아의 방주라는 소재를 가지고 '2012'같은 재난 블록버스터나 종교적인 메시지를 전달하는 영화를 만들 것이라고는 생각지 않았다는 얘기다. 그건 아마 그의 전작들을 보았던 이들이라면 누구라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그 정도로 대런 아로노프스키는 전작들을 통해 집착에 가까울 정도로 인간의 육체에 관한 퇴화 혹은 불안정함, 불안함으로 인한 그 육체를 소유한 이들의 정신 착란에 가까운 고통과 혼란을 주목해 왔었다. 그런 시도는 예전부터 그랬고, 최근 작품인 '더 레슬러'와 '블랙 스완'에서는 더 노골적으로 표현되었었다. 신작 '노아' 역시 이와 다르지 않았다. '노아'는 자신의 뿌리와 주어진 사명 그리고 원칙을 지키기 힘든 상황에 놓여버린 주인공 노아의 지독한 심리극이었다.



ⓒ Paramount Pictures All rights reserved


그렇기 때문에 거대한 노아의 방주와 대홍수의 재난 블록버스터를 기대한 이들에게는 낯선 영화일 수 밖에는 없을 것이다. 또한 구약 성서의 이야기를 그대로 따른 종교적인 영화를 기대한 이들도 마찬가지. 또한 이 영화의 구성은 마치 슈퍼 히어로의 영화 속에서 주인공이 슈퍼 히어로가 되기 까지 한참이 걸리는 것처럼, 방주가 완성되고 재난이 오기까지는 한참의 시간이 걸린다. 또한 여기까지는 구약 성서에 나온 내용과 큰 줄기에서 크게 다르지 않다 (물론 디테일로 따지고 들자면 다른 측면이 많지만 영화가 전달하려는 주제의 측면에서 보자면, 방주에 타기 전까지는 크게 들려주고자 하는 이야기가 없다는 얘기다).


영화는 처음부터 주인공의 출신에 대해 명확한 선을 긋는다. 즉, 카인의 후예들은 카인이 아벨을 죽인 것에 대한 죄로서 노동을 하지 않으면 안되는 벌이 내려졌고, 아담의 셋째 아들이었던 셋은 태초의 주의 뜻에 따라 자연과 함께 살아가고자 했고 그의 후예인 노아와 그의 가족 역시 이 뜻을 받들어 살고 있는 것으로 그려진다. 카인의 자손인 두발가인은 무기를 만들고 자연을 파괴하려는 (생존을 위해) 이로 , 셋의 후예인 노아는 꽃을 꺽는 아들을 나무라는 대화에서도 알 수 있듯이 자연과 공생하려는, 즉 명확한 선과 악으로 묘사되는 것은 일반적인 영화와는 조금 다른 의미가 있다고 볼 수 있겠다. 일반적으로 명확한 선과 악을 구분하는 경우 이 둘 간의 대립을 그리기 위함이지만, 아로노프스키의 의도는 오히려 선으로 묘사된 노아가 그렇기 때문에 겪게 되는 갈등과 트라우마를 묘사하기 위한 사전 구성이라고 봐야 할 것이다. 그런 측면에서 반대의 의미로 두발가인 역시 명확한 악당으로 보기는 어려운 측면도 있다. 그리고 이 점은 노아가 스스로 원칙에 얽매이고 갈등을 겪게 되면서 더욱 도드라진다.



ⓒ Paramount Pictures All rights reserved


영화 속에서 노아는 일종의 선택 받은 자다. 하지만 노아가 받은 선택은 은혜라기 보다는 오히려 고통이자 어쩔 수 없는 운명으로까지 느껴진다. 신의 뜻을 거역한 인간들을 벌하기 위한 재난에서 무고한 동물들을 지켜야 하는 임무를 부여 받은 노아에게는 처음부터 선택권이라는 것이 존재하지 않았다고 볼 수 있겠다. 이는 그의 신념 때문 만이라고 보기 보다는 그의 뿌리, 셋의 후예라는 이유 또한 크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처음에는 셋의 후예로서도 자신의 신념과도 일치했던 이 임무 수행이 나중에 가서는 신념은 물론, 자신이 세운(부여 받은) 원칙과도 상충되는 상황에 놓이게 되면서 영화는 급격하게 아로노프스키의 비전대로 나아간다.


남여 혹은 수컷과 암컷 한 쌍으로만 가능한 방주를 두고 노아는 자신의 자식 가운데 짝이 없는 함의 짝을 찾기 위해 (그리고 자식을 낳지 못하는 일라와 짝을 이루고 있는 셈의 짝 역시) 다른 사람들이 살고 있는 곳을 방문하는데 여기서 순간 자신 역시 스스로 이 재난에서 살아남기 위해 이기적인 생각을 하고 있다는 자책을 깨닫게 된다. 단순히 내 가족의 생존에 관한 이기적인 생각이라는 점에서 더 발전하여, 결국 이 재난을 주신 이유가 인간을 벌하기 위함이라는 원칙으로 돌아가 본인을 포함한 자신의 가족 모두도 구원 받으면 안된다는 결론에 이르게 된다. 그리고 이 결정으로 인해 노아는 가족들과 극심한 갈등을 겪게 된다.



ⓒ Paramount Pictures All rights reserved


급기야 므두셀라의 은혜로 인해 아이를 낳을 수 있게 된 일라가 임신하자 이 아이들이 종족번식을 할 수 있는 딸일 경우 바로 죽이겠다는 상황에까지 이르게 된다. 결국 이는 노아와 가족들을 멀어지게 하는 계기가 되고, 이 과정 속에서 묘사되는 노아의 모습은 앞서 등장한, 악으로 묘사되는 두발가인 보다도 더 공포스러운 악의 존재처럼 묘사되기도 한다. 하지만 아로노프스키가 이 과정을 통해 이야기하고자 하는 부분은 한 선한 사람이 악한으로 변해가는 것은 아닐 것이다. 그보단 '블랙 스완'의 니나 처럼 강박에 사로 잡혀 육체에 대한 제어 능력을 상실해 버린 한 사람의 이야기를 들려주고자 한다.


심리적으로 고통을 받는 노아의 모습을 보고 있노라면 굳이 후반부의 직접적인 안스러운 모습이 등장하지 않더라도 충분히 측은하고 동정이 가는 모습이었다. 그가 방주를 만들고 이 재난을 겪게 되는 과정을 시작부터 보면, 그 스스로 결정한 것은 거의 아무것도 없었으며 후에 가서는 정말 도구로 사용되는 것 만이라고 봐도 좋을 정도로 스스로에 대한 제어 기능, 혹은 자존감을 전혀 찾아볼 수 없는 모습이었기 때문이다. 결국 이 영화는 이렇게 나뉜다. 임무를 부여 받고 원칙대로 행하던 자신감 넘치는 노아와 스스로가 그 원칙의 아이러니 혹은 모순에 혼란을 겪으며 정신착란에 가까운 심리적 고통을 겪는 노아, 그리고 우여곡절 끝에 임무가 완료된 뒤 본인의 육체엔 아무 것도 남지 않은 것처럼 느껴지는 무기력한 노아, 이렇게 각기 다른 세 가지 상태의 노아로 나뉜다고 봐도 좋을 것이다.



ⓒ Paramount Pictures All rights reserved


그렇기 때문에 영화의 맨 마지막 부분은 이 영화가 지금까지 달려왔던 방향과는 조금 맞지 않는 것처럼 느껴져 조금은 아쉽게 느껴지는 부분이었다. 그냥 철저하게 이 임무를 위해 도구로 활용되고 한 개인으로서는 버려지다시피 피폐해진 노아의 모습으로 쓸쓸히 마무리 되었다면 오히려 아로노프스키의 생각은 더 깊이 전달되지 않았을까 싶기 때문이다. 거대한 새로운 시작을 위해 철저히 희생되어야만 했던 한 죽음에 대한 이야기로 말이다.


그래도 대런 아로노프스키의 '노아'는 구약 성서의 너무도 유명한 텍스트를 자신이 흥미를 느끼는 한 파트를 극대화시켜 풀어낸 흥미로운 작품이었다. 개인적으로 이 영화를 두고 신성모독이라고 이야기하는 분들은 바로 본인들이 믿고 있는 그 분이 어떤 분인지를 다시 한 번 생각해 보았으면 좋겠다. 그 분이 이 영화를 자신을 모독하는 이야기라고, 그렇게 속 좁게 생각하실지 말이다.



1. 전혀 기대치 않았던 의외의 판타지적 요소도 제법 자연스러웠어요.

2. 대홍수(?)라는 재난에 등장하는 인물 중 하나가 포세이돈의 아들인 데미갓 퍼시잭슨을 연기했던 로건 레만이라는 점도 ㅎ

3. 개인적으론 의외로(?) 노아의 극 중 고뇌가 상당 부분 공감이 되었어요. 이런 운명에 놓여버렸다면 아마 저럴 수 밖에 없었을 것이라는 생각도.




글 / 아쉬타카 (www.realfolkblues.co.kr) 

  

본문에 사용된 모든 스틸컷/포스터 이미지는 인용의 목적으로만 사용되었으며,
모든 이미지의 권리는 Paramount Pictures 에 있습니다.


 





월플라워 (The Perks of Being a Wallflower, 2012)

청춘, 그 뜨거운 무한함에 대해



워낙에 사전 정보 없이 영화를 보는 편이기는 하지만, 이 작품 '월플라워 (The Perks of Being a Wallflower, 2012)' 역시 여주인공 엠마 왓슨 말고는 아무런 정보가 없는 영화였다. 심지어 남자 주인공인 로건 레먼을 어디서 봤었는지도 영화를 보는 중간에야 기억할 수 있었다 (그 영화는 나 혼자만 재미있게 본 것 같은 '퍼시잭슨과 번개도둑'이었다). 그저 엠마 왓슨 주연의 풋풋한 청춘 영화인가 보다 싶었던 '월플라워'는 오랜 만에 가슴이 뜨거워지는 청춘, 바로 청춘 영화였다. 좋은 청춘 영화는 언제나 옳다. 그리고 '월플라워'는 정말 좋은 청춘 영화다.



ⓒ  Summit Entertainment. All rights reserved


청춘을 다룬 영화는 많지만 진짜 '청춘 영화'라고 부를 수 있는 영화는 별로 많지 않은데, '월플라워'는 어쩌면 그 뒤에 버티고 있는 다른 이야기를 하려는 듯도 하지만 결국엔 보편적인 청춘의 불안함과 자유, 무한함을 잘 표현해낸 작품이었다. '월플라워'를 글로 풀어내려고 보니 그리 쓸 말이 많지 않다. 영화를 보고 나서는 무한한 감동을 받고 무언가 한 바닥을 써내려 갈 것만 같았는데 막상 정리해보니 별로 특별한 이야기는 아닌 듯 했다. 샘과 패트릭, 찰리 그리고 친구들의 이야기는 조금씩 특별한 구석이 있기는 하지만, 그래서 각자의 이야기가 생겨난 계기가 되기는 하지만 영화는 그 자체에 주목하지 않는다. 원작 소설에서는 어떠했는지 모르겠지만, 영화로 표현 된 '월플라워'는 그냥 친한 친구들과 함께 한 어린 시절 사진 한 장으로 시작된 영화인 것만 같다. 왜 10대 시절 친한 친구들과 함께 한 사진들에는 그 사진에 등장하고 있는 이들 만이 느낄 수 있는 수많은 이야기가 있지 않은가. 이 영화가 바로 그렇다. 영화는 바로 사진 속 이들만이 알고 있는 이야기를 관객에게 솔직하게 들려준다.



ⓒ  Summit Entertainment. All rights reserved


'월플라워'가 더 흥미로운 다른 이유는 7,80년대의 히트 넘버 들 때문인데, 주인공들이 아웃사이더의 성격을 갖고 있어서 이기도 하지만 극 중 등장하는 곡들은 평소 너무 좋아하는 취향의 곡 들이라 한 곡 한 곡 나올 때마다 완전히 동화 되는 느낌이었다. New Order, The Smiths, Sonic Youth는 물론이고 극 중 주인공들이 공연하는 영화 '록키 호러 픽쳐쇼'의 곡 들도 만나볼 수 있어서 더 좋았다. 영화 속 영화라 할 수 있는 '록키 호러 픽쳐쇼'는 평소에도 좋아하는 작품인데 이렇게 소품처럼 만나게 되니 더 흥미로웠다. 이런 문화를 이미 좋아해버린 탓에(?) 조금 아쉬웠던 점은 극 중 중요한 지점에 등장하는 곡의 제목을 미리 알고 있었다는 것이었는데, 주인공들이 라디오에서 듣고 무슨 곡인지 한참을 몰랐던 그 곡은 사실 너무나 유명한 데이빗 보위의 'Hero'였다. 원래 좋은 사운드트랙은 이미 유명한 곡을 삽입하였더라도 그 영화에 완전히 녹아 들도록 해 다시 금 그 노래를 듣고 싶도록 만드는데, 이제 보위의 'Hero'를 듣게 되면 '월플라워'가 가장 먼저 떠오를 정도로 인상적이었다 (그 이전엔 '물랑루즈'였을지도).



ⓒ  Summit Entertainment. All rights reserved


믹스 테잎의 추억도 새록새록 떠올라 좋았다. 더블 데크가 유행하던 시절, 집에 사둔 테잎 들은 물론 라디오에서 흘러 나오던 곡 들을 녹음해 둔 것을 이용해 나만의 믹스 테잎을 여럿 만들곤 했었는데, 당시 좋아하던 이에게 늦은 밤까지 정말로 엄선에 엄선을 거친 곡들을 테잎의 양면 가득 담아, 가수와 수록곡들도 작은 글씨로 빼곡히 써서 선물했던 기억이 떠올라서 나도 몰래 흐뭇해 졌다. 그 땐 정말 좋은 곡 한 곡을 찾기 위해 정말 많은 곡 들을 들었었고, 그 곡들을 나만의 콜렉션으로 만들기 위해 각각의 이름으로 명명된 믹스 테잎으로 나뉘어 담기도 했었다. 예전엔 이렇게 사라진 문화들을 보면 단순히 '그 때가 좋았었지..'하고 아쉬워하곤 했는데, 이제는 오히려 이런 추억과 청춘을 가질 수 있었다는 것에 다행스럽다는 생각이 든다.



ⓒ  Summit Entertainment. All rights reserved


극 중 샘(엠마 왓슨)이 터널을 지날 때 차 뒷 좌석에서 일어나 두 손을 양쪽으로 펼치고 나는 듯한 포즈를 취하는 장면을, 스틸컷으로만 보거나 다른 영화에서 봤다면 아마 손발이 오그라들었지도 모르겠다. 그런데 놀랍게도 이 장면은 이 영화에서 가장 감동적이고 인상적인 장면이었다. 청춘을 다룬 영화들에는 간혹 허세나 미화되는 경향이 있는데, '월플라워'에는 전혀 이러한 점이 없음에도 무한한 청춘의 에너지를 가슴으로 느낄 수 있었다. 그리고 몹시도 우정이 그리워졌다. 내 뜨거운 청춘은 다 지나가 버렸을까? 아님 아직도 무한한 가능성으로 남아 있을까.



1. OST가 너무 좋아요. 국내에도 라이센스로 발매되었는데 안지를 이유가 없습니다.

2. 곧 퍼시 잭슨 2가 개봉 예정인데, 이젠 퍼시 잭슨으로 분한 로건 레만이 더 어색할 것 같네요.3

3. 엠마 왓슨의 매력을 다시 보게 된 영화였어요. 헤르미온느도 물론 매력적이었지만, 마법 없이도 매력적인 그녀. 역시 최고의 머글이군요 ㅎㅎ



글 / 아쉬타카 (www.realfolkblues.co.kr) 

  

본문에 사용된 모든 스틸컷/포스터 이미지는 인용의 목적으로만 사용되었으며,
모든 이미지의 권리는  Summit Entertainment 있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