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무도 머물지 않았다 (Le passé, The Past, 2013)

끝나지 않은 과거

 

 

'씨민과 나데르의 별거'를 연출했던 아쉬가르 파르하디 감독의 근작 '아무도 머물지 않았다'를 뒤 늦게 보았다. 참고로 '씨민과 나데르의 별거'는 그 해 본 영화 가운데 가장 놀라운 영화 중 하나였으며, 하나의 스토리텔링을 통해 여러 가지를 겹쳐 생각해 볼 수 있었던 걸작이었다. 그의 신작 '아무도 머물지 않았다'는 전작과 유사하게 많지 않은 인물들 간의 관계와 그 관계 사이에서 벌어진 사건으로 인한 갈등에 집중하고 있는데, 이란을 둘러 싼 정치/사회적인 이슈들을 함께 생각해볼 수 있었던 전작과는 달리, 이번 영화는 좀 더 극 중에서 벌어지는 이야기 자체에만 의미를 둔 작품처럼 보였다. 하지만 (이것이 장점인지 단점인지는 모르겠지만) 전작의 영향 때문인지 이 이야기 속에서도 무언가 다른 의미를 찾으려는 시도를 저절로 하게 되어, 여러가지로 복잡해지기도 했던 작품이었다.

 

 

 

  ⓒ Memento Films Production. All rights reserved

 

이 작품의 영어 제목은 'The Past', 즉 지난 일이다. 관객이 보게 되는 영화 속 이야기 속에서 새롭게 전개되는 일들은 하나도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것이다. 세 남녀 주인공은 이미 지난 일 혹은 수 년 전에 벌어진 일들 때문에 다시 만나게 되었고 또 갈등을 겪게 된다. 영화는 초중반까지는 아마드가 부인과 이혼 서류를 마무리 짓기 위해 돌아와 만나게 되는 생경한 분위기와 가족들과의 이야기에 집중하는 듯 하다가, 중반 부터는 마리와 사미르의 관계, 더 나아가 사미르와 그의 아내가 겪게 된 사건으로 조금씩 파고 든다. 전작인 '씨민과 나데르의 별거'도 그러했지만, 이 작품 역시 무엇이 진실인가라는 그 자체에는 큰 관심이 없는 듯 하다. 이 작품 더더욱 진실로의 행보에는 큰 관심이 없어 보이고, 이러한 영화의 시선은 엔딩에 가서 더 확실해 진다.

 

 

 ⓒ Memento Films Production. All rights reserved

 

아쉬가르 파르하디 감독은 과거에 일어난 일로 말미암은 것들이 다 과거에 머물지 않고 인물들에게 어떤 고통과 상처 그리고 갈등을 남기는지를 안쓰럽지만 철저히 거리를 두고 바라본다. 진실을 알게 된 이후에도 아무 것도 변한 것이 없어 보이는 현실과 인물들의 모습에서는 황량한 상처만이 느껴지는데, 영화가 끝나게 되면 그 매마르고 남겨진 감정이 깊은 여운을 준다. 하나의 과거를 두고 진실을 통해 봉합하려는 시도가 교차하지만, 결국 국내 개봉 제목처럼 결론적으로는 아무도 머물지 않은, 끝내 누구도 머물지 못한 채 남겨진 각자의 모습을 보여준다. 하지만 역으로 그래서인가, 감독은 영화의 마지막 장면에서 조금이나마 희망을 엿볼 수 있는 장면을 연출하지 않았나 싶다.

 

 

1. 전작에 비해서는 확실히 조금은 아쉬운 작품이었어요. 그래도 배우들의 연기를 보는 재미와 스토리텔링의 재미는 만족.

 

2. 본문에도 있지만 감독의 전작 때문인지 어쩔 수 없이 여러가지 은유를 생각해 보게 되더군요.

 

 

 

글 / 아쉬타카 (www.realfolkblues.co.kr) 
  
본문에 사용된 모든 스틸컷/포스터 이미지는 인용의 목적으로만 사용되었으며,
모든 이미지의 권리는 Memento Films Production 에 있습니다.



아티스트 (The Artist, 2011)

내가 사랑한 뮤지컬 영화들의 탄생기



미셸 아자나비슈스의 '아티스트 (The Artist, 2011)'는 일찌감치 해외 유수 영화제들에 노미네이트 되고 최근 아카데미를 석권하며 화제를 모은 작품이기도 했지만, 개인적으로는 이 영화가 담고 있는 무성영화의 감성도 물론이지만 그 이야기가 결국 내가 사랑하는 뮤지컬 영화로 연결될 것만 같은 지극히 개인적 기대감 때문에 더욱 관심을 갖게 되었던 작품이기도 했다. '아티스트'는 그간 많은 영화들이 이야기하고자 했던 무성영화에 대한 애정, 더 나아가 영화라는 매체에 대한 사랑을 계몽적인 방식 대신 아름다운(제대로 된) 무성영화 한 편을 만드는 것을 선택함으로서 진정성을 갖게 된 동시에, 그로 인해 절로 영화라는 매체와 앞서 영화를 만들었던 영화인들에 대한 존경심마저 불러 일으키는 새로운 클래식이 되었다.



ⓒ The Weinstein Company. All rights reserved


영화의 배경은 무성영화가 흥하던 시절로 시작해 유성영화로 넘어오면서 영화계와 무성영화의 스타, 그리고 유성영화의 새로운 스타가 겪는 일들을 남자 주인공 '조지 발렌타인 (장 뒤자르댕)'과 여자 주인공 '페피 밀러 (베레니스 베조)'을 중심으로 들려준다. 앞서 이야기한 것처럼 영화계가 무성영화에서 유성영화로 넘어오는 과도기에 대한 작품들은 여럿 있어왔는데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사랑은 비를 타고 (Singin' in the rain)'를 들 수 있겠다), 이 작품들은 대부분 이 소재를 배경으로만 활용하거나 아니면 좀 더 무성영화에 대한 애정과 존경을 드러내려고 한 작품의 경우, 더 직접적으로 무성영화의 장점을 '설명'하려고 했었다면, '아티스트'는 아예 21세기 관객들에게 한 편의 무성영화를 그대로 내어놓는 방식을 택했다. 그리고 어쩌면 모험적일 수도 있었던 이 방식은 보시다시피 엄청난 성공을 거두었다. 모든 경우에서 그렇지만 '아는 것'과 '이해하는 것'간의 정도의 차이는 엄청나다고 할 수 있을 텐데, 관객들로 하여금 '그래서 무성영화의 소중함을 잊지 말아야겠구나' 라고 알게 되는 것과 '아, 아티스트, 이 영화 정말 매력적인데!'라고 받아들이게 되는 것 간에는 큰 차이가 있을 수 밖에는 없을 것이다.



ⓒ The Weinstein Company. All rights reserved


'아티스트'가 시작되고 난 극장 안. 물론 대부분이 무성영화라는 사실을 알고 극장을 찾았을 테지만 실제로는 배우들의 대사와 영화 속 소리들이 전혀 들리지 않는 무성영화를 체험해본 일이 많지는 않아 조금은 당황함이 느껴지는 초반 분위기였다. 하지만 이런 분위기는 이내 사그라들었는데, 이것이야 말로 '아티스트'의 가장 큰 장점이 아닐까 싶다. 3D와 실사와 더 이상 구분이 어려운 CG에 익숙한 21세기 관객들에게 이 작품은, '엇, 대사와 소리가 없어도 영화를 이해하는데에 큰 무리가 없네?' '장면으로 담아낸 것 만으로도 맥락이 충분히 읽히는데?'라는 생각을 들도록 만든다. 영화 초반에는 배우들이 대사를 할 때 아무런 소리도 자막도 나오지 않을 때 답답함을 느끼게 되지만, 조금 뒤에는 완전히 이 방식에 적응하여 더이상 소리가 나오고 안나오고를 신경쓰지 않고 영화 속 두 주인공의 이야기에 완전히 집중하게 된다는 얘기다. 이 순간을 21세기 극장에서도 만들어냈다는 것이 아마도 '아티스트'에 가장 큰 매력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 The Weinstein Company. All rights reserved


개인적으로 이 작품이 이야기하고자 했던 영화의 매력은 여러가지가 있다고 생각하지만 (어쩌면 무성영화의 매력이란 것은 그 가운데 하나일지도 모르겠네요), 그 가운데 가장 흠뻑 취했던 것 중 하나는 바로 영화 배우의 매력이었다. 최근 작품들에서 배우의 매력을 느끼지 못했다는 것은 아니지만, 어쩌면 지금의 영화보다는 배우의 매력의 비중이 좀 더 크다고 할 수 있었던 '아티스트'를 보니, 영화 속 조지 발렌타인의 그 미소와 몸짓, 양복을 차려입은 모습의 멋스러움, 과장된 듯 하지만 영화라서 멋진 동작들 하나하나에 좀 더 집중할 수 있었다. 영화 속 조지 발렌타인은 액션 히어로도 아니고 (물론 영화 속 영화에서는 아니었지만 ㅎ), 최근 영화 속 주인공들에 비하면 굉장한 로맨틱 가이도 아니지만, 놀랍게도 그 멋진 미소 하나 만으로 액션 히어로와 로맨틱 가이를 모두 물리칠 정도의 매력을 발산한다. 가끔 리뷰를 쓸 때 말로 표현할 수 없고 보는 것 밖에는 방법이 없다라는 얘기를 하곤 하는데, 이 영화를 위해 아껴둘걸 그랬다는 생각이 든다. 조지 발렌타인이라는 캐릭터, 그 미소 (그 눈물, 그 알 수 없는 마음 -_-;)는 정말 매력적이다.



ⓒ The Weinstein Company. All rights reserved


글의 서두에서 이야기했던 것과 같이 '아티스트'가 개인적으로 더 의미 깊었던 것은, 내가 사랑하는 뮤지컬 영화들의 시작에 관한 이야기를 전해들을 수 있어서였다. 물론 이 작품은 다큐가 아니니 이걸 100% 있는 그대로 받아들일 수 없는 부분이 있기는 하지만, 뮤지컬 영화라는 장르가 무성영화와 유성영화의 가교 역할을 했다는 것은 충분히 알 수 있었다. 예전 뮤지컬 영화들을 보면 대사가 그리 많지 않은 것을 알 수 있는데 (노래도 그리 많지 않다), 어쩌면 이런 측면에서 봤을 때 당시의 뮤지컬 영화는 더 무성영화에 가까운 표현 방식이 아니었나도 싶다. 왜냐하면 장면 뒤에 자막이 나왔던 방식에 비해 오히려 춤과 안무로 대사에 가까운 내용을 전달해야 했기 때문이다. 그런 측면에서 '아티스트'는 당시의 뮤지컬 영화들이 무성영화의 장점과 유성영화 장점을 모두 담아내고 있는 장르라는 것을 고개를 끄덕이며 수긍하게 했던 작품이었다.



ⓒ The Weinstein Company. All rights reserved

이런 저런 이유를 떠나서, 한 사람의 영화 팬으로서 영화에 대한 사랑이 듬뿍 담긴 작품을 만나게 되는 것은 그 자체로도 너무 행복한 일이다. 최근 보았던 마틴 스콜세지의 '휴고'와 더불어, 이 영화 '아티스트'는 영화라는 매체와 예술에 대한 사랑이 가득 담긴, 참 행복한 작품이었다.


1. 극중 등장하는 강아지 때문에 절로 '틴틴'이 떠오르기도 ㅎ
2. 조지 발렌타인 역을 맡은 장 뒤자르댕이 너무 매력적이라 영화가 끝나자마자 사진들을 찾아봤는데, 조지 발렌타인으로 분했을 때보다는 많이 아쉬운(?) 모습이라 살짝 실망도 ^^;
3. 영화는 1.33:1로 촬영되었습니다. 즉, 와이드 화면비율이 아니라는 얘기죠. 오히려 신선했어요~


글 / 아쉬타카 (www.realfolkblues.co.kr) 
  
본문에 사용된 모든 스틸컷/포스터 이미지는 인용의 목적으로만 사용되었으며,
모든 이미지의 권리는 The Weinstein Company 에 있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