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묵의 시선 (The Look of Silence, 2014)

악마와 얼굴을 마주하다



조슈아 오펜하이머의 '침묵의 시선 (The Look of Silence, 2014)'은 1965년 인도네시아 수하르토 군부정권 하에서 벌어진 100만명에 달하는 공산당 학살 사건을 되짚는 여정이다. 물론 당시에는 공산당이라는 명분으로 진행된 대학살이었지만 그들은 공산당이 아니었고 그저 군부정권에 반대하는 일반 국민들이었다. 전쟁의 상처를 안고 있는 국가들에게는 비슷한 역사적 사건들을 찾아볼 수 있는데 (우리나라도 마찬가지), 인도네시아의 경우가 조금 다른 점이라면 독일 나치의 경우와는 달리 아직까지도 완전히 씻어내기는 커녕 진행중이라는 점이다 (이 점도 우리나라와 마찬가지). 조슈아 오펜하이머는 오랜 시간을 들여 당시 형 람디를 끔찍하게 잃었던 아디와 함께 당시 학살을 저질렀던 이들을 한 명 한 명 만난다. 앞서 이야기했던 것처럼 아직 그 정치적 상황이 진행되고 있기 때문일까? 관객은 이 여정에서 살아있는 악마의 얼굴을 마주하게 된다.



㈜엣나인필름. All rights reserved


피해자가 가해자를 직접 만나게 되는 여정은 고통스러울 수 밖에는 없다. 하지만 아디의 여정이 더 참혹한 건 형을 비롯해 수 많은 사람들을 잔인하게 학살했던 이들이 아직까지도 그 때를 자랑스럽게 추억하고 있다는 점이다. 한 명 한 명 현재를 살고 있는 가해자들을 만날 때 마다 놀라운 장면을 목격하게 되는데, 낯선 이방인인 조슈아의 카메라 앞에서 학살 당시를 구체적으로 기억하며 직접 몸으로 재연까지 해가는 그들의 모습은 충격적이고 안쓰러움을 넘어서 뭐라 해야 할지 답답할 지경이다. 아직도 그들의 기억 속에는 공산당들을 처단했던 애국적인 행동인 동시에 영광스럽고 주변에 자랑할 만한 멋진 추억인 것이다.


보통 이러한 역사나 사건을 다룰 때 갖게 되는 시각은 가해자 개인의 잘못이라기 보다는 전체적으로 미쳐있었던 시절의 탓으로 돌리는 경우가 많다. 피해자와 가해자 할 것 없이 모두가 자신이 무슨 일을 하는지 조차 정확히 알지 못하고 행했던 미친 시절. 사안에 따라 조금씩 다를 수 있겠지만 그 얼마나 세상이 미쳐있었던들 피해자와 가해자는 같을 수 없다. '침묵의 시선' 속 조슈아의 카메라 앞에 선 가해자들의 얼굴에는 연민을 갖기 힘든 악마의 얼굴이 담겨 있었다. 백번 양보해서 말해 그들은 정말로 피해자들이 짐승 같은 공산당인줄로만 알았고, 미쳐버리지 않으려고 무서운 마음에 피해자의 피를 마셨다고 해도 그들의 행동을 그저 미친 시절의 벌어진 어쩔 수 없는 행동으로 볼 수는 없다는 것이다. 조슈아 오펜하이머는 이러한 선택을 관객이 직접 할 수 있도록 최대한 객관적인 (하지만 직접적인) 시선으로 바라보고자 한다. 오히려 피해자인 아디와 제 3자인 조슈아는 가해자들을 이해해보려는 마음마저 느껴진다. 지금이라도 가해자들이 당시를 후회하며 '그 땐 어쩔 수 없었어요, 나도 내가 무슨 일을 하는지 몰랐으니까요. 미안합니다'라고 사과를 하거나, 그렇진 않더라도 '그 땐 왜 그렇게까지 해야했는지 모르겠네요'라며 후회라도 했으면 했을 텐데, 놀랍게도 가해자들의 입에선 왜 다 지난 일을 일부러 들춰 내냐는 화가 돌아 올 뿐이다.



㈜엣나인필름. All rights reserved


다시 말하지만 이 이야기는 결코 시대의 탓으로 마무리 되어서는 안된다. 앞서 영화의 시각이 객관적이라고 했지만 이 이야기는 놀랍게도 객관적이면 객관적일 수록 한 편에 일방적으로 서게 되어 버리는 구조다. 시대의 탓으로 돌리기엔 가해자들의 지금 태도는 물론이고 하물며 지금의 태도가 아직 진행중인 상황 때문이라는 점을 감안하더라도, 과거의 참혹했던 학살은 누가 억지로 시켜서 한 일이라고 해도 이해를 하기 어려울 정도로 악마스러운 행동이었기 때문이다. 영화 속에 등장하는 몇 번의 가해자와의 대화를 보면서 나는 진짜 악마라는 것이 존재한다는 것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인간이라는 존재가 얼마나 나약한지, 스스로 옳고 그름은 물론 인간성마저 쉽게 포기해 버린 것을 보았을 때 그것은 악마의 얼굴을 보았다고 밖에는 이야기할 수 없었다.


조슈아 오펜하이머의 '침묵의 시선'은 그 어떤 다큐멘터리 영화보다 직접적이고 극적인 작품이다. 만약 이 영화 속에 담으려 했던 진실의 크기가 조금이라도 작았더라면 그의 연출 방식에 수긍하지 못했을 정도로, '침묵의 시선'은 그 어떤 극영화보다 극적이고 긴장감 넘치며 공포스럽다. 사실 영화 초반만 해도 자신이 피해자의 가족임을 숨기고 가해자들을 만나 그 때의 이야기를 듣는 것으로, 가해자들이 현재 어떤 가치관으로 살고 있고 당시를 어떤 식으로 기억하고 있는 지를 (그야말로)객관적으로 보여주는 이야기 일 줄로만 알았다. 하지만 아디와 조슈아의 여정은 그것보다 훨씬 직접적이었다. 아디는 점점 그들이 불쾌해 할 정도로 질문의 강도를 높여가고, 나중엔 자신이 당신이 당시 학살했던 이의 동생이라는 점을 그 앞에서 밝히기도 했으며, 더 나아가 자신의 가족 가운데 당시 학살에 가담했던 이를 찾아가 직접적으로 되묻기까지 한다. 어떤 주먹질도 총칼도 등장하지 않지만 이 대화 장면은 어떤 액션 영화보다도 긴장감 넘치고 공포스러운 장면이었다. 그래서 이런 감정을 느끼는 내가 죄스럽기까지 할 정도였다 (이것이 바로 감독의 연출 방식에 대해 수긍하지 못할 뻔한 이유이기도 했다).



㈜엣나인필름. All rights reserved


최근들어 다큐멘터리 영화라는 것에 대해 더 깊게 생각해 보고 있는데, 점차 다큐와 극영화의 경계가 무의미해지고 있는 현실 속에서 '침묵의 시선'은 어떻게 바라봐야 할지 모르겠다. 이 작품은 한 편으론 기획과 연출이 직접적으로 가미 된 작품이지만 다른 한 편으론 과연 이것을 다큐멘터리라는 장르에 가둬둘 수 있을까 싶을 정도로, 감당하기 힘든 진실과 사건 그리고 사람이 담긴 이야기였기 때문이다. 그래서인지 영화를 보는 내내 차라리 이 이야기가 픽션이기를 간절히 바랄 정도였다. 이 충격적인 역사를 아주 조용하지만 용기있게 거슬러 올라가는 아디는 차라리 히어로 영화의 주인공이기를 바랬을 정도로, 이 진실은 몹시 위태로워 보였다. 그리고 아디가 용기를 내면 낼 수록 더 겁이 났다. 아마도 그 이유는 이 인도네시아의 참혹한 역사가 전혀 남의 나라의 이야기로 느껴지지 않았기 때문일지도 모른다.



㈜엣나인필름. All rights reserved


우리나라도 한국전쟁 이후 가해자였던 일본과 더 질이 나쁜 권력 세력이었던 친일파에 대한 청산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슬픈 역사를 지닌, 아니 진행중인 나라라고 할 수 있겠다. 영화 속에서 당시를 추억하며 그 끔찍한 학살이 이뤄진 스네이크 강 앞에서 손가락으로 V를 만들며 기념 사진을 촬영하는 가해자들의 모습을 보았을 땐, 기가 차는 것과 동시에 친일 행위를 부끄러워 하기는 커녕 정당화 하려는 친일파 세력들의 모습이 떠올랐다. 우리는 아디처럼 이 악마들과 얼굴을 마주하고 진실을 되물을 수 있을까. 그런 용기를 갖는 나라가 되었으면 좋겠다. 그리고 최소한 내가 그런 용기를 갖지 못하더라도 그 용기가 정의로운 행동이고 응원할 수 있는 양심을 한 사람 한 사람이 갖고 있는 나라였으면 좋겠다.



1. 이 작품 보다 먼저 제작되고 전 세계적으로 화제가 된 감독의 전작 '액트 오브 킬링'은 미처 못보았는데, 꼭 찾아 봐야겠네요 (국내에 정식으로 플레인에서 블루레이로도 출시 예정입니다).



글 / 아쉬타카 (www.realfolkblues.co.kr) 

  
본문에 사용된 모든 스틸컷/포스터 이미지는 인용의 목적으로만 사용되었으며,
모든 이미지의 권리는 ㈜엣나인필름 에 있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