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EW. All rights reserved



더 킹 (The King, 2016)

거짓된 우상의 가짜 충고에 대해


한재림 감독의 신작 '더 킹 (The King, 2016)'은 대한민국의 근현대사를 되짚으며 그 가운데 권력의 정점에 서 있었고 또 서고자 했던 이들의 이야기를 들려준다. 흔히 말하는 상위 1%의 권력. 이미 우리가 다른 여타의 한국 영화들을 통해 봐왔던 검사가 중심에 선 이야기가 '더 킹'에서도 다시 한번 반복된다. 사실 영화를 보기 전 이 영화의 시놉시스와 예고편을 보았을 땐, 그 어떤 영화보다 더 극적이고 상상을 뛰어넘는 현재의 국정농단 시국 탓에 '대한민국에서 과연 누가 왕이냐?' '왕이 한 번 되어보자!'라는 식의 이 영화가 과연 현실의 판타스틱함을 넘어설 수 있을까 싶었다.


더 정확히 말하자면 현재의 시국 상황이 '더 킹'이 늘어놓으려는 대한민국의 어두운 역사를 너무 시시하게 만들어 버리진 않을까 싶었다. 하지만 이번 국정농단 사건을 겪으며 한층 성숙(?)해진 탓인지 오히려 영화 속 인물들의 행동 하나하나에 일희일비 하기보다는 차분한 자세로 영화 곳곳을 느껴볼 수 있었다. 아마 다른 때 같았으면 '저건 좀 심한데'라던지 '저건 너무 극적이다'라고 했을지도 모를 장면들이 '그럴 수도 있겠네'정도로 받아들여진 건 극적인 재미 요소 측면에서는 조금 아쉬운 점일지 모르나, 영화가 전하고자 한 메시지 전달에 있어서는 더 깊이 느껴볼 수 있는 기회가 되기도 했다.



ⓒ NEW. All rights reserved



일단 영화 자체에 대해 얘기해보자면 대한민국의 최근 역사를 직접적인 배경으로 활용하고 있지만 그 역사의 이면을 진지하게 들춰 내려는 시도보다는, 좀 더 가볍고 친절한 방식을 통해 이야기하듯 소개하고 있다. 조인성이 연기한 박태수라는 캐릭터의 내레이션을 통해 영화는 아주 상세하고 설명적으로 이야기를 전개해 나가는데, 좀 더 대중적인 측면은 있지만 확실히 관객이 스스로 생각해볼 수 있는 여지는 줄어든 것이 사실이다. 정작 영화의 마지막은 아주 직접적으로 질문을 하는 방식인 것에 반해 실제로는 다른 영화들보다도 더 가능성은 덜한, 일방적 서사에 가까운 편이다. 영화를 보는 내내 '15세 관람가'라는 등급에 대해 조금 갸우뚱하게 되는 장면들이 많았는데, 폭력이나 노출 수위를 떠나 영화가 선택한 친절한 소개 방식은 확실히 15세 관람가에 더 적합한 편이긴 하다. 


대한민국 사회를 배경으로 검사와 조폭이 등장하며 개천에 용 나는 서사가 갖고 있는 장점과 단점을 이 영화는 모두 갖고 있는데, 만약 이 영화에게 그럼에도 검사와 조폭이 나오는 아주 새로운 것을 기대했다면 당연히 실망하겠지만, 이미 그런 기대감이 없었다는 점에서는 제법 괜찮은 점들이 있었다. 즉, 커다란 줄기의 서사에는 유사한 구성의 영화들과 다를 것이 없지만, 그 전개 과정에 있어서 이 영화가 선택한 유쾌한 요소나 자조적인 풍자는 확실히 대중적인 측면에서 (15세 관람가라는 이유와 더불어) 장점이 될 만한 것으로 느껴졌다. 


앞서 서두에 현재의 국정농단 사태가 오히려 이 영화를 관람하는 데에 득이 된 점들도 있다고 말했었는데, 이를 테면 박태수나 권력 최상위에 있는 한강식(정우성)으로 대표되는 검사와 권력자들이 유흥을 즐기는 장면들에서의 낯설 정도의 유치함과 가벼움이 그렇다. 보통 같았으면 이러한 유치한 그들의 행동이 영화마저 가볍게 만들어 버리는 단점으로 지적되었을 텐데, 최근의 사건을 겪으며 알게 된 실제 권력자들의 민낯과 수준 낮음의 경험이 영화 속 권력자들의 유치함을 '그럴 수도 있겠네'라며 바라보게 만들었달까. 겨우 저런 놈들 한테 지배당하고 있는 현실의 대한 씁쓸한 자조가 드는 장면들이었다.



ⓒ NEW. All rights reserved



내가 이 영화에서 발견한 부분은 오히려 영화보다 현실에서 더 자주 겪게 되는, 그러니까 실제 하는 어떤 문제에 대한 부분이었다. '더 킹'은 주인공 박태수의 삶을 통해 그가 어디서부터 어떻게 잘못되기 시작했는지를 아주 직접적이고 친절하게 설명해 나가는데, 이는 영화의 말미에 박태수의 삶을 '만약... 그랬다면..'하는 식의 되짚는 방식으로 또 한 번 그가 뒤틀리기 시작한 순간을 관객에게 인지시킨다. 한재림 감독의 '더 킹'은 다소 친절하고 여지가 많지 않은 서사라 아쉬운 점도 있지만, 메시지를 전달하고자 하는 목적에서는 더 선명한 영화가 아닐까 싶다. '그럼에도 불구하고'라는 메시지 말이다.


사실 직장 생활을 비롯해 사회에 나와 이런저런 인간관계들을 겪고 조직이나 사회 속에서 성장해 나가고 또 성공하려면 반드시 부딪히게 되는 순간들은, 이 영화 속 박태수가 맞닥 들였던 그 순간과 크게 다르지 않다. 단지 검사라는 직업 혹은 위치가 더 표면적인 욕망의 끝에 쉽게 다다를 수 있다는 점이 다를 뿐이다. 누구나 더 큰 사회에 나와 어떤 지점에 이르게 되면 자신의 소신과 현실이 직접적으로 부딪히게 되는 순간이 있다. 그때 만나게 되는 존재가 바로 이른바 선배 혹은 어른이라고 불리는 자들이다. 여기서 말하는 어른들은 사회에서 지탄받는 이들도 아니고 더 나아가 영화 속 한강식 같은 이처럼 교활하고 악한 이도 아니다. 오히려 현 사회를 살아가는 데에 있어 센스 있고 지혜롭고 능력 있는 이들로 평가받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들은 바로 그 현실과 소신이 맞닥들인 그 순간에 '현실은 달라, 적당히 봐가면서 하는 게 잘하는 거야'라며 충고를 건넨다. 그리고 그 충고는 실제로 현실에서 제법 도움이 되는 충고가 되기도 한다.



ⓒ NEW. All rights reserved


하지만 그것은 엄밀히 말하자면 거짓된 우상의 가짜 충고에 가깝다. 이미 많은 타협을 통해 스스로가 세뇌되고 무뎌져 버린 이들이 다음 사람에게 전하는 더 빨리 타협하고 순응하는 노하우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닌 경우가 많다. 영화 속 한강식과 그 주변의 인물들이 박태수에게 전하는 충고가 바로 이것과 같다. 그가 그토록 원했던 바를 진짜 이뤄낼 수 있는 방법을 (어쩌면 유일한 방법) 알려주기는 하지만 그런 결정과 선택들이 어떤 것들을 포기하고 또 앗아가는지에 대해서는 설명하지 않는다. 그리고 그로 인해 돌이킬 수 없게 되는 것들에 대해서도 설명하지 않는다, 아니 엄밀히 말하자면 우리는 대부분 이러한 얘기들을 듣고 싶어 하지 않는다. 


'더 킹'의 박태수는 이러한 거짓 우상의 가짜 충고를 통째로 흡수해 더 이상 돌이킬 수 없게 된 지경까지 몰아넣는다. 만약 이 영화가 더 현실적이고 공포스럽고 또는 장르적인 냄새를 풍겼더라면 아마 박태수를 그대로 놔두는 채 영화를 마무리했을 것이다. 그것이 누군가에겐 더 큰 메시지로 와 닿을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좀 더 대중적인 방식을 택한 이 영화는 박태수에게 한 번의 기회를 더 제공하기로 한다. 그것이 성공했느냐 실패했느냐는 사실 이 영화에서는 크게 중요하지 않다. 여기서 중요한 건 박태수가 한 번의 기회를 더 갖게 되었다는 점이다. 이 영화는 아주 직접적인 역사를 배경으로 하고 있지만 반대로 많은 부분에서 판타지적인 요소를 담고 있는데, 어쩌면 박태수에게 가능했던 그 한 번 더의 기회야 말로 현실에서는 불가능한 판타지일지도 모르겠다. 그래서인가, 영화 속 박태수가 처음 가짜 충고를 듣던 그 순간이 더 오래 기억에 남는다. 



1. 류준열의 연기가 인상적인 가운데 김소진 배우가 연기한 안희연이라는 캐릭터가 가장 매력적이었어요. 사투리를 다른 의도로 활용하지 않고 자연스러움과 아우라를 동시에 보여준 캐릭터. 가장 눈에 띄는 역할과 배우였음.


2. 이 영화가 정우성이라는 배우를 활용하는 방식도 좋았어요. 캐릭터가 아닌 정우성이라는 배우가 갖고 있는 이미지로 관객을 최대한 현혹시키고 또 반대로 그가 연기하는 캐릭터에게는 한 없이 가벼움을 줘서 그 이중성을 관객들이 생각해 보도록 만드는 방식.


3. 그리고 전반적으로 한 세대 어린 배우들로 세대교체된 듯한 느낌도 좋았어요. 류준열을 비롯해 박정민, 정은채, 고아성까지.


4. 솔직히 약관의 나이로 검사가 되어 권력의 끝까지 승승장구하는 한강식이라는 인물을 보며 현실의 누군가를 떠올리지 않을 수 없더군요. 현실의 그분도 사전 구속영장이 청구되었죠.





글 / 아쉬타카 (www.realfolkblues.co.kr)


본문에 사용된 모든 스틸컷/포스터 이미지는 인용의 목적으로만 사용되었으며,

모든 이미지의 권리는 NEW 에 있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