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핏 (Whip It, 2009)
뻔하지만 재미있는 세가지 이유


엘렌 페이지에 저 가인스러운 아이라인의 포스터를 본 순간, 그리고 감독인 드류 베리모어를 비롯해 영화 속에 터프한 '언니'들이 많이 등장한다는 걸 알게 된 이후부터 <위핏>은 쭈욱 기대작이었다. 사실 드류 베리모어의 첫 연출작이라는 점에서 기대한 것보다는 엘렌 페이지를 비롯한 수 많은 여자 캐릭터를 만나볼 수 있다는 점이 더 기대되는 포인트였을 것이다. 드류 베리모어는 연출작은 처음이지만 이전 몇몇 작품의 제작자로서 나선적이 있어서 이런 감독으로서의 행보가 크게 낯선 것만은 아닌데, 결과적으로 '엇, 드류 베리모어에게 이런 점도 있었어?'라기 보다는, '딱 봐도 드류 베리모어 스타일이 묻어나네'하고 느낄 정도의 통쾌하고 깔끔한 가족 드라마였다.



Babe Ruthless Productions. All rights reserved


<위핏>의 줄거리는 사실 이보다 더 간단할 수 없을 정도로 매우 흔한 소녀의 성장드라마이다. 이제 막 소녀에서 성인으로 넘어가려는 찰나에 놓인 주인공은, 애정 문제로 진로 문제로 그리고 부모와의 문제로 갈등을 겪는다. 여기에는 우리가 너무도 많이 보아왔던 멋진 밴드 보컬의 남자친구, 시골 작은 마을 소녀로서 이곳을 빠져나가 더 큰 세상으로 나가고픈 욕망, 그리고 자신이 좋아하는 것을 이것저것 다 해보지도 못했는데 한가지 길만 가라하는 부모님과의 갈등이 또 다시 등장한다. 여기서 조금 다른 점이라면 소녀의 분출구 중 하나가 조금은 특별한 '롤러 더비' 경기라는 점일 것이다. 그러니까 다시 말해 이 영화는, '과연 소녀가 나중에 어떻게 될까?' '더비 경기에서 우승할까?'라는 점에서 보게 된다면 정말 재미없는 영화가 될 수도 있다는 얘기다.

그렇다면 <위핏>은 뭐가 재미있는걸까? 개인적으로 그 첫 번째로는 캐릭터를 들 수 있겠다. 이 작품은 하나같이 몹시도 만화 같은 캐릭터들로 채워져 있는데, 이들에게 영역 설정을 적절하게 해준 감독의 연출력을 눈여겨 볼 만 하다. <위핏>의 캐릭터들은 분명 만화같은 캐릭터들이지만, 별로 만화같은 행동들을 저지르지는 않는다. 그 말은 즉슨 좀 독특해 보이기는 하지만 완전히 만화처럼 오버스런 캐릭터로 나아가지는 않는다는 점이다. '헐 스카우트' 팀을 비롯해 상대팀원들도 그렇고, 더 오버하여 완전히 스포츠 만화로 이어질 여지가 많았지만, 이들은 어쩌면 자신의 캐릭터를 제대로 다 소개하지도 못한채 (그런데 이렇게 되었다면 가족 영화로서의 동력을 떨어졌을지 몰라도, 다른 한편으론 더 재밌는 영화가 되었을지도 모른다;;;) 존재하고 있는데, 별로 결정적인 장면 없이 항상 '팀'으로 등장한다는 점은 (개성은 부여하되 항상 팀으로만) 이 영화의 가장 중요한 포인트가 아닐까 싶다.


Babe Ruthless Productions. All rights reserved


두 번째로는 역시 이런 캐릭터들을 잘 살린 수 많은 배우들을 들지 않을 수 없겠다. 주인공을 맡은 엘렌 페이지에게서는 아직도 <주노>의 그림자가 남아 있긴 하지만, 좀 더 엘렌 페이지만의 매력을 발산하고 있달까. 엘렌 페이지가 언제쯤 소녀 이미지에 기대지 않은 캐릭터로 다가올지는 아직 미지수지만, 어쨋든 현재 엘렌 페이지의 소녀 이미지는 언제든 환영이다. 많은 여배우들 가운데 가장 반가운 배우는 줄리엣 루이스였다. '메이븐' 역할을 맡은 줄리엣 루이스는 예전에도 그랬지만 망가지면 망가질 수록 지나 데이비스를 떠올리게 하는데, 거칠고 '찌든(?)' 언니 역할을 제대로 보여주고 있다. 메이븐 역할은 악역으로 빠지기 쉬운 캐릭터였으나 이 정도의 롤을 부여한 것은 앞서 얘기했던 것처럼 탁월했다 여겨진다.

<미스트>의 '그랜드 캐년'(!) 마샤 게이 하든 여사 역시 인상적인 연기를 펼쳤는데, 그녀의 특유의 무서움과 그 이면에 따듯함을 동시에 보여준 캐릭터로서 뻔한 가족영화가 되지 않는 중요한 캐릭터라고 생각된다. 남편 역할을 맡은 다니엘 스턴의 경우 다들 알아보셨는지는 모르겠지만 <나 홀로 집에>의 그 도둑인데, 나이가 들어서도 아직까지 그 천진한 표정이 남아있어 쉽게 알아볼 수 있었다. 만약 그가 하지 않았다면 존 굿맨이 맡았을 역할로 생각되었을 정도 ㅎ
<데스 프루프>의 그녀 조 벨 역시 반가운 배우였는데, 그녀가 출연했길래 당연히 스턴트에도 관여를 했을 줄 알았는데 (물론 어느 정도는 했겠지만), 크레딧을 보니 온전히 배우로만 출연을 했더라. 힙합 아티스트로 더욱 유명한 이브도 있는 듯 없는 듯 했고, '버드맨' 역할로 나온 카를로 알반은 어디서 봤는가 했더니 TV시리즈 <프리즌 브레이크>에서 NBA저지를 항상 입고 있던 그였더라. 드류베리 모어나 크리스틴 위그를 비롯해 여기 언급하지 않은 많은 조연배우들이 많든 캐릭터 덕에 한층 재미가 배가 되었던 듯 싶다.



Babe Ruthless Productions. All rights reserved


세 번째로는 뻔하지만 감동적인 연출과 영화에 사용된 음악들을 이야기할 수 있겠다. <퍼시 잭슨과 번개 도둑>을 보고도 나름 재밌다고 생각했던 나여서 인지는 모르겠지만, 이 뻔한 가족 드라마의 몇몇 순간에서는 찡해지기도 했는데 이런 부분을 과잉으로 몰아가지 않고, 그 정도로 두는 연출이 더욱 마음에 들었다. 영화 삽입곡들은 사실 맨처음 드류 베리모어에게 기대했던 작품이 있었던 것처럼, 음악 역시 '아마도 이런 분위기의 곡들이 나올 것 같다'라는 기대가 있었는데, 기대를 저버리지 않는 선곡에 반가움이 먼저 들었다. 'The Ramones'와 'Clap Your Hands Say Yeah'를 비롯해 특히 영화의 후반 하이라이트 경기 부분에 'the Go! Team'의 익숙한 곡이 들려왔을 땐 박수라도 칠 뻔했다 (그런데 기억이 정확하지 않아서인지는 몰라도 분명 기억엔 'The Power Is On'이었던 것 같은데 사운드트랙에는 'Doing It Right'가 수록되었더라).


Babe Ruthless Productions. All rights reserved


여튼 드류 베리모어의 첫 연출작인 <위핏>은 이 정도면 성공이다. 그녀는 자신이 가장 잘 할 수 있는 부분을 잘 알고 있었던 것 같다. 차기작을 통해 감독으로서의 역량을 더욱 펼칠 수 있을지 기대된다.


1. 스페셜 땡스란에 '스티븐 스필버그'의 이름을 보니 왠지 뿌듯하더군요 ^^
2. 그런데 이 '롤러 더비' 경기는 실제로 북미지역에 존재하는 건가요? 살짝 궁금해지더군요.
3. 크레딧의 맨 마지막 프로덕션 이름을 보고 또 한번 재미있어 했네요 ;;
4. 상하는 정확하지 않아도 좌우는 확실히 짤린 화면비였는데, <더 문>에 이어 두 번째군요 윽..



글 / 아쉬타카 (www.realfolkblues.co.kr)


본문에 사용된 모든 스틸컷/포스터 이미지는 인용의 목적으로만 사용되었으며,
모든 이미지의 권리는 Babe Ruthless Productions에 있습니다.




미스트 (The Mist, 2007) _ 무서운 군중심리

스티븐 킹의 원작도 물론 읽지 않았고, 대충의 줄거리도 모른 상태에서 즐겼던 영화(좀비인지 괴물인지도
긴가민가한채로). 사실 제목에서 주는 느낌이 왠지 낚시일것 같다는 불안한 느낌에 걱정이 되긴 했지만,
결과적으로는 괜찮은 드라마이자 공포영화였다고 생각된다.

(스포일러있음)

일단 이 영화에서 표면적으로 드러나는 공포는 안개 속에 숨어있는 무엇인지 모르는 괴물의 존재일 것이다.
처음에는 징그러운 촉수만 드러내고, 나중에는 홍보물에서 '익룡'이라고 표현된 괴물이 등장하고,
마지막에는 그 스케일을 짐작할 수 있을 만큼 거대한 모습으로 등장하기도 하는 괴물.
하지만 <미스트>에서는 이 괴물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그리 하고 있지 않다. 왜냐하면 이 괴물이 직접적으로
주는 공포보다는, 이 괴물로 인해 인간들이 스스로 만들어내는 공포에 더욱 중심을 두고 있기 때문이다.
다른 차원의 문을 통해 넘어왔다느니, '화살촉 프로젝트'라느니 알 수 없는 설정들이 있지만, 이에 대해
자세한 설명을 하기 보다는 반대로 마트 안에 갇힌 이들에게 더욱 집중하고 있다.
그래서인지 영화를 보고 있노라면 이런 것들이 실제로 그리 궁금하게 느껴지지 않기도 한다.
(반대로 완전히 시각을 달리하여 마트안에 사람들은 똘똘 뭉치고, 괴물의 존재의 대해 심오하게 탐구하는
방향으로 접근하는 작품도 나름 재미있을 듯 하다;;;)

이 영화에서 말하려고는 하는 공포는 아마도 인간들이 만들어낸 군중심리가 아닐까 싶다.
서로 생각이 다른 여러 사람들이 함께 모여있고, 같은 충격과 사건에 처하게 되었을 때
그 무리에는 반드시 주장이 강한 리더가 생기게 되어 있고, 처음부터 리더를 신뢰하는 사람이 있는 한 편,
점차 불만이 가득해져 신뢰하지 못하게 되는 사람들도 있고, 이에 새롭게 리더가 등장하여 반란 아닌 반란을
일으키게 되는 경우가 있다. <미스트>에서는 단계적으로 무리가 나뉘고 형성되며 갈등을 야기한다.
처음에는 외지인이지만 똑똑한 인물로 그려지는 노튼이 그를 따르는 무리와 함께 주인공이 주를 이루는
무리에서 벗어나 독립을 시도한다.

그리고 처음부터 주님의 이론을 설파했던 카모디(마샤 게이 하든)는, 처음에는 그저 미친 여자 정도로
사람들이 생각하지만, 더 큰 충격과 공포를 느낀 군중들은 하나 둘 그녀의 말에 동조하기 시작하며,
결국 그녀는 이 작은 마트 속에서 교주 아닌 교주 행세를 하기까지 이른다. 나중에는 군대의 실수로 인해
발생된 일이라는 것을 알게 된 뒤, 무리 중에 군인을 몰아세워 죽음에까지 이르게 하고, 결국에는 주인공의 아이를
제물로 바치도록 지시하기도 한다. 사실 이 영화 중에 가장 무서웠던 장면은 이 때가 아닐 까 싶다.
군인이 제물로 바쳐저 살해된 뒤, 이로써 오늘은 무사할 것이라는 카모디에 말에 안도의 미소를 짓는 사람들이나,
아이를 제물로 바치려고 주인공 일행을 에워싸고 칼로 위협하던 사람들의 모습을 보면서, 이 나약한 인간이라는
존재가 외부의 공격을 받으면 얼마나 쉽게 스스로 무너지는 지를 보여주고, 표면적인 괴물들 보다도
더 무서운 모습으로 변해가는 것이 더 공포스럽게 느껴졌다.

원작의 결말에 대한 내용은 영화를 보고 난 뒤 알게 되었는데, 이를 모른 상태에서는 개인적으로
이런 우울한 결말도 나쁘지 않았다. 더군다나 헐리웃 블록버스터라는 탈을 쓴 장르에서, 주인공이 모두를
구하고 결국 승리한다는 결말보다는, 할 수 있는데까지는 최선을 다했는데도 어쩔 수 없었다고 모두 포기하고
마지막을 준비하였으나, 그 때서야 모든 일이 해결되어버린, 즉 주인공이 목숨을 건지긴 했지만,
결코 기쁘지 않은, 이런 엔딩도 나쁘지 않았다고 생각된다. 아마 일반적인 영화였다면, 주인공 무리가
일단 차로 갈 때까지 가보자고 말했을 때 진짜 '일단'갈 때까지'만' 가보자고 생각하진 않았을 것이다.
아마도 갈때까지 가고나면 절로 해결되는 엔딩이었겠지만, 이 영화는 결국 최선을 다하고도 아무것도
바꿀 수 없었던 이들이 스스로 마지막을 택하고 나서야 구원의 손길이 도착한다는, 실로 암울한 상황으로
마무리하면서 공포스러움을 자아내고 있다.
특히나 영화의 초반 주인공과 모든 사람들의 말을 거스르고 홀로 밖으로 나간 여인이(보통 영화 같으면
이 여인은 굳이 시체를 보여줄 필요도 없이 죽은 목숨이었을 것이나)유유히 군용트럭을 타고 돌아오는 장면은
주인공의 오열을 더욱 더 크게 하는 이유가 됬을지도 모르겠다. 많은 관객들이 이 결말에 대해
이율배반적인 것을 느끼는데, 뭐 이런 엔딩도 있다 정도로 생각하면 될 듯 하다. 엔딩에 옳은 것이 어디
있겠는가, 이런 엔딩도, 저런 엔딩도 있는 것이지. 그런 면에서 이런 엔딩이 흔하지 않은 편이라 흥미롭게
느껴졌던 것이다. 보통 모두가 '아니요'라고 하더라도 주인공이 '예'라고 하면 영화는 주인공의 손을 들어주는
편이지만, <미스트>는 과연 주인공이 옳았나, 틀렸나를 이야기하기보단, 모든 선택이 옳을 수는 없고
어쩔 수 없는 것임을 인정해야 된다고 말하는 것이 아닌가도 싶다.



이 영화를 보면서 다른 배우들은 잘 모르겠으나 단연! 마샤 게이 하든의 연기는 정말 최고였다!
그녀의 완벽한 연기는 여러번 보아왔지만, 어쩌면 연기는 중요하지 않고 괴물이 중심이 되어버릴 수도 있는
영화에서 완전히 군중들의 이야기로 중심이 옮겨지도록 한 것은 모두 다 그녀의 공이었다.
아무리 영화를 보면서 감정이입이 잘되는 나이긴 하지만, 카모디가 내뱉는 한 마디 한 마디는 만약 내가
마트안에 있었다면 정말 한 대 쳤을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절로 들 정도로 소름끼치도록 짜증나는 연기였다.
그녀의 조정에 따라 마치 좀비들처럼 움직이는 사람들의 모습이 그리 어색하지 않았던 것은, 그녀가 연기한
카모디 캐릭터가 너무나도 무섭도록 리얼했기 때문이었다.

괴물의 캐릭터에  크게 집중하지 않은 탓이라고는 하지만, 초반 소년이 촉수에 끌려갈 때의 CG는
2007년 헐리웃에서 제작된 영화라고는 믿기 힘들 정도로 이질감이 쉽게 느껴지는 정도였으며,
제법 큰 몸집에 '익룡'의 디테일도 매우 섬세한 수준은 아니었던 것 같다. 하지만 영화의 마지막 주인공의
차 앞으로 지나가는 엄청난 크기의 괴물의 모습은, 그 어마어마한 스케일을 느낄 수 있을 정도로 괜찮은
표현이었던 것 같다(영화를 보기 전 그냥 한국영화 '괴물' 정도 크기의 괴물을 상상해서 그런지, 엄청난 크기의
괴물이 나오자 더욱 그랬던 것 같다;;).
영화의 첫 장면에서 존 카펜터의 <괴물>포스터가 등장하는데, 아마도 다라본드 감독이 카펜터에게 바치는
오마쥬의 형식으로 쓰인게 아닌가 싶다. 그리고 마트를 배경으로 좀비같은 사람들이 주인공 무리를 위협하거나
할 때는 흡사 게임 '데드 라이징'이 떠오르기도 했다.
그리고 영화가 끝나고 크레딧이 올라갈 때 짧은 음악이 끝난 뒤, 아무런 음악도 없이 지나가는 헬기소리와
트럭 소리, 탱크 소리들로 장식한 것은 끝까지 그 길에 남겨진
주인공의 허무하고 공허한 심정을 잘 표현한 듯 하다.


 

 
글 / ashitaka (www.realfolkblues.co.kr)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