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HE픽쳐스. All rights reserved



맨체스터 바이 더 씨 (Manchester by the Sea, 2016)

버티는 삶에 대하여


케네스 로네건의 '맨체스터 바이 더 씨 (Manchester by the Sea, 2016)'는 평범한 한 가족을 둘러싼 조금 특별한 이야기다. 여기서 조금 특별하다는 표현에는 '특별하다'에 맹점이 있는 것이 아니라 '조금'에 있다. 캐시 애플렉이 연기한 리 챈들러를 중심으로 한 이 가족에게는 다른 평범한 이들에게는 흔히 벌어지지 않는 비극적인 사건이 일어나는데, 영화는 이 사건 자체에 집중하거나 이를 클라이맥스로 포장해 극적인 요소를 불러일으킬 맘이 없다. 오히려 이 비극적인 사건이 이들 가족에게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지, 혹은 정반대로 이 사건이 발생하지 않았더라도 이 가족에게는 어떤 갈등이 있어 왔는지를 조심스레 들여다보고자 한다. 


가족이라는 존재 혹은 매개체는 영화를 통해 평범하지만 아주 극적인 존재로 또 아주 극적이지만 지극히 현실적인 존재로 그려지곤 하는데, '맨체스터 바이 더 씨'는 이 둘 중 딱 잘라 어떤 하나다라고 규정하기보다는 그냥 있는 그대로의 가족과 삶을 흐르는 대로 묘사하려 한다. 흐르는 삶 속에서 가족은 어떤 의미로 또 상처와 위로가 되는지 말이다.



ⓒ THE픽쳐스. All rights reserved



영화 속 리 챈들러를 보며 가장 많이 들었던 생각은 엄청나게 참아내고 있구나, 버티고 있구나 하는 것이었다. 아마 다른 영화였다면 그와 비슷한 사건, 상처를 겪은 인물들이 흔히 표현했을 감정의 폭발이나 행동들이 리 챈들러에게는 거의 발견되지 않는다. 그렇다고 그가 완전히 세상과 담을 쌓고 살아가려는 것과도 다르다. 리는 자신의 실수로 인해 벌어진 사고에 대해 스스로를 어쩌지도 못하고, 그렇다고 누군가에게 완전히 손을 내밀지도 못하는 와중에 또 다른 부제를 맞게 된다. 그러면서 한 동안 떠나 있던 고향과 가족, 사회로 돌아오게 되는데 (이건 앞서 이야기했던 것처럼 다른 영화 속 떠났다가 돌아오는 주인공의 이야기와는 조금 다르다. 리는 주변과 연락을 완전히 끊은 것도 아니었고 형의 죽음 소식에 바로 돌아온 것처럼 완전히 벽을 쌓은 것도 아닌 채 그냥 흘러가는 대로 남겨진 쪽에 가깝다), 형의 장례를 준비하게 되면서 미처 다 낫지 않은 자신의 상처를 자극받는 일들과 마주하게 된다.


리 챈들러의 이야기는 한 편으론 답답하리 만큼 평범하게 흘러간다. 마치 주변에 산재하고 있는 극적인 요소들을 일부러 지나치려고 하는 것처럼 영화는 그의 주변에 감정적 위험 요소들을 늘어놓지만 리는 결코 그것들의 자극에 맞대응하지 않는다. 나는 이것이 오히려 아주 현실적이라고 생각이 들었다. 만약 리와 같은 일들을 겪고 현재의 상황에 놓이게 되었을 경우 실제로는 그다지 특별한 행동이나 대단한 결심 등을 하기보다는 오히려 최대한 그냥 흘러가기를, 또는 더 이상의 큰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적당한 선에서 마무리되길 바라며 최대한 버텨내려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 때문이었다. 엄청난 속죄의 행동을 하기에도 죄스럽고 또 조심스럽고, 그렇다고 아무 일도 없었던 것처럼 훌훌 털어 내고 더 나은 내일을 위해 노력하는 것도, 현실에 빗대어 보자면 너무 극적인 방식이 아닐까 싶었기 때문이다.



ⓒ THE픽쳐스. All rights reserved



내면에서는 거대한 폭풍에 흔들리고 있지만 겉으로는 최대한 버텨내며 덤덤하게 흘려보내려는 그의 이야기는, 흔히 평범함 속에서 진리를 발견해 내는 일본 영화들과 유사점이 있지 않을까 생각할 수도 있지만, '맨체스터 바이 더 씨'는 일본 영화의 그것과는 전혀 다른 결을 보여준다. 그 중심에 있는 것은 누가 뭐래도 케이시 애플렉의 섬세한 내면 연기다. 그저 모든 주변의 것들을 받아 내며 견뎌내고 있는 리 챈들러의 모습은 케이시 애플렉의 디테일한 감정 연기로 현실감과 감정의 동요를 만들어 낸다. 여기에 감정의 흐름을 위로하듯 퍼지는 스트링 중심의 영화 음악도 큰 몫을 한다. 


다만 이 영화의 유일한 옥에 티가 있다면 아이러니하게도 최고의 연기를 펼친 케이시 애플렉이다. 영화를 보기 전 알게 된 그의 성추행 사건은, 몰랐다면 모르겠지만 알게 된 이상 관람에 있어 캐릭터 몰입에 분명한 방해 요소였다.



글 / 아쉬타카 (www.realfolkblues.co.kr)


본문에 사용된 모든 스틸컷/포스터 이미지는 인용의 목적으로만 사용되었으며,

모든 이미지의 권리는 THE픽쳐스 에 있습니다.



프로듀서스 (The Producers, 2005)
 
사전 정보 없이 그냥 오랜만에 괜찮은 뮤지컬 영화가 나왔다길래
뮤지컬 영화의 팬으로서 봐야지 해서 봤다가,
엔딩 크래딧에 멜 브룩스 이름을 보고 '아....'하는 탄성을 자아냈던 영화.
최근 나왔던 뮤지컬 영화들이 생각보다 덜 임팩트가 있었고,
기대했던 것에 비해 항상 아쉬움이 많았었기 때문인가,
큰 기대를 하지 않고 편안하게 킬링타임용으로 관람을 해서인가,
이 영화 <프로듀서스>는 확실히 기대했던 그 뮤지컬이었다.



뮤지컬 영화하면 떠올리게 되는 노래와 춤.
여기에 멜 브룩스의 유머까지 더해져 러닝타임 동안 지루함없이 달려올 수 있었다.
물론 뮤지컬 팬이 아니라면 지루할 수도 있겠으나
뮤지컬 영화의 팬, 특히 최근작들이 아닌 예전 뮤지컬의 향수를 그리워했던
이들이라면 더할 나위 없이 반가운 작품이라 아니 할 수 없을 것이다.
억지스럽고 오버스런 설정과 몸짓으로 비춰질 수 있지만,
거부감없이 웃을 수 있었던 것이야말로 뮤지컬 영화 장르의 가장 큰 장점이라고 생각된다.



단체로 노래하고 춤추는 장면도 좋았지만,
이 영화의 백미는 누가뭐래도 극중 맥스와 레오의 앙상블 연기와 노래이다.
특히 실제로 영화가 아닌 브로드웨이 무대에서도 각각 맥스 비알리스탁과 레오 블룸 역할을
맡았던 네이단 레인과 매튜 브로데릭의 연기는 이 영화를 즐기는 가장 큰 즐거움이다.
매튜 브로데릭에 카랑카랑하면서도 선명한 보컬과 네이단 레인에 노련하면서
변화무쌍한 보컬과 춤은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완전히 빠져들게 만들어버린다.
특히 네이단 레인에 연기는 그야말로 뮤지컬 배우로서 '연기'에 경지에 오른
수준이라 감히 말할 수 있을 듯.



두 주연배우 외에 윌 패럴과 우마 서먼 역시
자신들의 평소 갖고 있던 이미지를 그대로 가져와서 영화 속에서
또 하나의 웃음을 선사한다.
사실 이 영화에는 나치, 게이 등 어쩌면 이런 유쾌한 주제와는 어울리지 않는
요소들이 등장하지만, 그것마저도 유쾌하게 만들어버리는,
모 리뷰에서 표현했듯이 '크리에이티브를 완전히 무시하는 방식으로 새로운 크리에이티브를
만들어내는 방식을 보여주고 있다.



내용적인 풍자라던가 역설이니 뭐니 해도
역시 가장 기억에 남는 것은 음악이었다.
오랜만에 진정 뮤지컬 음악 다운 음악을 만나볼 수 있었다는 것 만으로도
정말 값진 경험이었다.


 
글 / ashitaka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