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세기폭스. All rights reserved



로건 (Logan, 2017)

한 시대의 장엄한 퇴장


브라이언 싱어가 처음 '엑스맨'을 발표하고 난 뒤 수많은 엑스맨 영화들이 줄을 이뤘지만 그 중심에는 항상 울버린이 있었다. '퍼스트 클래스'를 거치며 찰스와 에릭의 이야기가 중심에 놓이기도 했지만, 그럼에도 항상 중심을 잡아주는 존재는 휴 잭맨이 연기한 울버린이었다. 하지만 그럼에도 내게 있어 울버린은 조금은 심심한 주인공 같은 존재였다. 물론 여기에는 독립된 울버린 영화 두 편의 실망감도 크게 작용했을 것이다. 많은 뮤턴트들 가운데서도 중심에 있는 주인공답게 독립된 시리즈 영화를 가졌던 울버린이었지만, 두 편의 '울버린' 영화는 사실상 별다른 재미도 감동도 주지 못했었다. 오히려 '퍼스트 클래스'와 '데이즈 오브 퓨처 패스트'를 거치며 울버린, 아니 울버린으로 대표되는 그 세대의 대한 감정이 더 끓어 올라 분명히 별로라고 여겼었던 울버린 1,2편 마저 다시금 돌아보고 싶게 만들기도 했었는데, 그런 의미에서 세 번째 울버린 영화 '로건'은 그 정점을 찍는 작품이었다. 시리즈의 마지막에 와서야 최고의 영화가 나오다니. 



ⓒ 20세기폭스. All rights reserved



슈퍼히어로 영화들이 오랜 시간 꾸준히 사랑을 받으면서 탄생과 성장, 활약상의 일반적인 흐름 외에 노쇠하고 피로감에 지친 영웅들의 모습들도 만나볼 수 있는 여지가 생겼는데, '로건' 역시 그러한 시점으로 쓰인 이야기다. 더 이상 돌연변이가 태어나지 않는 시대에 죽어가는 마지막 돌연변이인 울버린의 현실은, 코믹북 속 주인공이었다고는 믿기지 않을 정도로 쓸쓸하고 고독하고, 또 늙고 지친 상태다. 그렇게 세상에서 완전히 멀어져 조용한 퇴장을 스스로 준비하고 있었던 로건에게 우연히 휘말리게 된 어린 소녀 로라와의 만남은 자의든 타의든 그의 현실을 다시금 복잡한 모래 먼지 속으로 끌어들인다. 


제임스 맨골드의 '로건'은 새로운 시대를 시작하기 위한 그 이전 시대의 장엄한 퇴장의 관한 영화다. 찰스 자비에가 처음 로건과 스캇, 진 등을 가르쳐 자긍심을 일깨우고 한 시대를 이끌었던 것처럼, 로건은 한 편으론 자신의 아버지와 같은 존재인 찰스와도 이별해야 하고 다른 한 편으론 로라의 세계를 열어주어야 하는 어른으로서의 위치에 놓이게 된다. 찰스와 로건, 그리고 로라로 이루어진 이 유사 가족의 이야기는 생각보다 아주 많은 의미를 담아낸다. 이 셋의 관계는 사실 다른 영화에서도 종종 찾아볼 수 있는 흔한 관계와 구조이지만, 다른 엑스맨 영화들이 그러하듯 이들 각자가 돌연변이라는 정체성 즉, 스스로 독립적인 존재가 되지 않고서는 생존할 수 없었던 그들만의 사연으로 인해 가족이라는 평범하고 일반적인 관계를 아주 특별한 가치로 승화시킨다. 한 번도 가져본 적 없던 그리고 가질 수 없었던 이들이 처음 갖게 된 가족이라는 존재, 그리고 가족 만이 만들어 낼 수 있는 평범한 순간들의 행복은 로건의 마지막 이야기를 더 쓸쓸하고 처연하게 만든다.



ⓒ 20세기폭스. All rights reserved



'로건'은 아주 직접적으로 '셰인 (Shane, 1953)'을 언급하며 서부영화 자체가 갖는 시대적인 의미와 서부영화 세계의 인물들이 가진 고독함과 쓸쓸한 정서에 빗대어, 엄청난 회복 능력을 가진 히어로 울버린이 아닌 노쇠하고 죽어가는 인간 로건의 이야기로 마무리하고자 한다. 


그리고 '로건'은 울버린의 마지막 영화이자 그를 연기한 휴 잭맨의 마지막 엑스맨 영화이기도 하다. 클린트 이스트우드의 '그랜토리노'가 영화 속 이야기 이상의 감동을 주었던 것은 주인공 코왈스키에게서 배우 클린트 이스트우드의 인생이 그대로 겹쳐 보였기 때문이었다. 그와 마찬가지로 울버린이라는 캐릭터를 떠올릴 때 휴 잭맨이라는 배우를 따로 생각할 수 없을 정도로, 그는 무려 17년간 울버린이었고 마지막까지 로건이었다. 그렇기 때문에 휴 잭맨이 연기하는 로건의 한 장면 한 장면은 어떤 캐릭터의 단순한 퇴장 이상의 의미를 가질 수 밖에는 없을 것이다. 로건과 휴 잭맨의 퇴장은 단순히 어떤 캐릭터의 마지막이 아니라 20년 가까운 세월 동안 엑스맨 세계에서 중심에 있었던 한 세대의 퇴장을 의미한다. 물론 이후 또 어떤 리부트, 또 어떤 타임슬립 아이디어로 인해 이들은 언제든지 소환될지도 모를 불안 요소가 있기는 하지만, 그와는 상관없이 '로건'이 선사하는 마지막은 그와 함께 한 수많은 관객들에겐 분명한 인사로 받아들여질 것이다. 이렇듯 '로건'은 한 시대의 장엄한 퇴장을 고하는 영화다. 



ⓒ 20세기폭스. All rights reserved



로건과 이별하는 순간에 대해서는 별로 생각해 본 적이 없었는데,

아, 이런 느낌이었구나.



글 / 아쉬타카 (www.realfolkblues.co.kr)


본문에 사용된 모든 스틸컷/포스터 이미지는 인용의 목적으로만 사용되었으며,

모든 이미지의 권리는 20세기폭스 에 있습니다.



나잇 앤 데이 (Knight & Day, 2010)
두 배우와 함께 그냥 즐겨라!


2005년작 '앙코르 (Walk The Line, 2005)', 2007년 '3:10 투 유마 (3:10 To Yuma, 2007)'등을 연출했던 제임스 맨골드 감독이 연출하고 톰 크루즈와 캐머런 디아즈가 출연한 영화 '나잇 앤 데이'를 월드컵 16강의 열기가 막 가라 앉은 어느 오후 감상하였다. 제임스 맨골드의 이름을 맨처음 거론하긴 했었지만 어찌되었든 '나잇 앤 데이'를 보게 된 이유는 톰 크루즈 때문이었다. 얼핏봐도 그리 무거워 보이지는 않는 이 작품을 기대하게 된 것은 톰 크루즈와 캐머런 디아즈가 펼치는 부담스럽지 않은 액션과 로맨스 때문이었는데, 확실히 영화는 무거운 메시지도 없고, 이야기도 그리 새로울 것은 없었으나 큰 기대가 없다면 나름 재미있게 2시간 가깝게 즐길 수 있는 괜찮은 팝콘 무비였다.



 20th Century Fox. All rights reserved


'나잇 앤 데이'의 이야기는 흔히 보는 첩보물에 로맨스를 곁들인, 아니 로맨스에 첩보물을 곁들인 매우 익숙한 장면들과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톰 크루즈가 연기한 '로이 밀러'는 제이슨 본 못지 않은 최고 수준의 요원이며(즉 육탄전은 물론 비행기 조종, 총, 칼, 주변 무기 등 못다루는 것이 없고, 어떤 최악에 상황에서도 '절대' 빠져나온다), 여기에 제임스 본드와도 같은 로맨틱한 무드와 외모를 갖고 있다. 그리고 캐머런 디아즈가 연기한 '준 헤이븐스' 역시 이런 영화에 자주 등장하는 전형적인 캐릭터로서, 하지 말라면 꼭 하고, 주인공 남자를 매번 궁지에 모는 한편, 주인공과 스릴 넘치는 로맨스마저 즐기는 관계로 발전한다. 이 모든 것은 이미 수 많은 (정말 많은) 영화에서 보고 또 본 설정들인데, '나잇 앤 데이'는 이런 진부한 설정을 어쩌면 자신있게 그대로 밀어 붙이고 있다.

아마도 이렇게 밀어 붙인데에는 톰 크루즈와 캐머런 디아즈라는 두 배우를 믿었기 때문이 아닐까 싶다 (그런데 약간 말이 안되는 건, 이 두 역할에 본래 이 두 배우대신, 크리스 터커, 제라드 버틀러 등과 에바 그린 등이 거론되었었다는 점이다. 다른 배우들이 연기했었더라면 작품의 좋고 나쁨을 떠나서 훨씬 덜 매력적인 작품이 되었을 것이다). 톰 크루즈가 연기한 캐릭터는 앞서 이야기한 것처럼 여러 영화 속 캐릭터들에게서 가져온 것도 있지만, 그 만큼이나 많은 부분을 '톰 크루즈' 그 자신에게서 가져왔다고 볼 수 있겠다. '나잇 앤 데이'를 보면 우리가 잘 알고 있는 바로 그 '톰 크루즈'가 그대로 연상될 정도로, 매너 있고 만능의 그가 등장하는데 특히 총알이 빗발치는 가운데 갑자기 뚜벅뚜벅 걸어가 키스를 하는 장면은, '자, 이 영화는 그저 오락영화야. 자, 즐기라고!'라고 말하고 있는 것처럼 상당히 비현실적인 장면이었다. 


 20th Century Fox. All rights reserved


전형적인 캐릭터를 두 매력적인 배우가 연기하는 것과 더불어 이런 영화에서는 빠질 수 없는 멋진 풍광의 로케이션이 볼거리를 제공하고 있으며, 액션 영화라기에는 부족하지만 로맨스 영화치고는 상당 수준인 액션 씬 역시, 이런 식으로 기대한다면 만족할 만하다. '나잇 앤 데이'라는 영화 제목은 나름 스릴러 적인 측면을 반영한 제목이지만, 실제 영화는 '크루즈 앤 디아즈'로 해도 좋을 만큼, 가볍고 부담없이 즐길 만한 작품이었다. 단, 제임스 맨골드의 전작들의 깊이를 고려했다면 실망할 확률이 높다.


1. 고탄 프로젝트를 비롯해 수록된 음악들이 전체적으로 좋더군요. 

2. 피터 사스가드는 별다른 매력을 보여주지 못했고, 폴 다노 역시 그가 굳이 출연하지 않아도 될 만한 역할이었으며, 비올라 데이비스 역시 별로 이야기할 만한 비중이나 연기는 보여주고 있지 않습니다. 두 주연 배우의 비중이 너무 큰 탓이지요.

3. 확실히 그 나이에도(62년생) 아직 쌩쌩한 톰 크루즈 형님에 비해 아직은 젊은(?) 캐머런 디아즈(72년생)의 모습에서 세월의 흔적이 더욱 느껴지더군요. 이건 물론 톰 크루즈가 워낙 동안인 탓이지요 ㅋ



 
글 / 아쉬타카 (www.realfolkblues.co.kr)


본문에 사용된 모든 스틸컷/포스터 이미지는 인용의 목적으로만 사용되었으며,
모든 이미지의 권리는 20th Century Fox 에 있습니다.




3:10 투 유마 (3:10 To Yuma, 2007)
아버지의 이름으로

요 근래에는 부쩍 서부영화(혹은 서부를 배경으로 한 영화)가 많이 개봉하였는데, 그 중에서도 가장 정통
'서부영화'에 가까운 작품으로 큰 기대를 모았던 작품이 바로 이 영화 '3:10 투 유마'이다.
무엇보다 이 영화가 큰 기대를 모았던 것은 바로 2명의 주연 배우의 캐스팅 소식 때문이었다.
크리스찬 베일과 러셀 크로우가 한 스크린에서 등장하는 것은, <아메리칸 갱스터>의 러셀 크로우, 덴젤 워싱턴
과는 또 다른 볼거리와 기대감을 갖게 하는 캐스팅이었기 때문이었다.
이 두 배우의 연기와 더불어 <아이덴티티>와 <앙코르 (Walk The Line)>를 연출했던 제임스 맨골드의
연출도 기대를 갖게 했던 주요 포인트였다.

결과적으로 정통 웨스턴 영화의 분위기와 장르적 특성을 적절히 배경으로 사용하면서도,
내용적인 면에서는 조금은 거창하지 않고 소박하고 개인적인 면을 가져오면서
조금은 다른, 그래서 또 괜찮은 서부 영화였다고 할 수 있을 것 같다.



이 영화는 선과 악의 대결구도를 가지고 이끌어 간다기보다는, 기본적으로 '아버지'라는 존재의 고뇌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 있다. 이 점이 전통적인 서부영화와는 다른 점인데, 영웅적인 주인공과 악당이 외나무 다리에서
대결을 펼치는 이야기와는 달리, 그저 돈을 벌기위해, 그리고 자신의 아들들과 가족을 지키기 위해 사건에
휘말리게 되는 주인공과 악당 역시 상당히 쿨한 모습을 보여주면서 냉혹함과는 조금 거리가 있는 모습을
보여준다.

앞서 말한 것과 같이 주인공인 댄은(크리스찬 베일) 남북전쟁에서 한쪽 발을 잃고 두 아이와 아내와 살아가는
평범한 가장이다. 하지만 철도회사에 빚을 지게 되면서 가정에는 금전적으로 어려움을 겪게 되는 과정에서,
무법자인 벤 웨이드(러셀 크로우)의 사건에 자진해서 휘말리게 된다. 이렇듯 이 영화의 주인공인 댄은 영웅적인
면모를 띠는 것이 아니라 단지 가족을 지키기 위해, 돈을 벌기 위해 이 싸움에 뛰어들게 되는데,
그렇기 때문에 더 돈을 벌 수 있는 반대 기회의 유혹이 있을 때 크게 혼란을 겪는듯 하지만, 결정적으로
마지막에 벤과의 대화 속에서 그가 이 싸움에 이리도 목숨을 거는 이유, 그리고 왜 그 돈이 필요하고 철도회사와
싸움을 벌여야 하는지에 대한 이유가 등장한다. 구체적인 것은 영화 속에 나오지만 기본적으로는 아버지로서
아들에게 떳떳하기 위해 그는 이 목숨건 호송업무를 맞게 되는 것이다.
이 와중에서 벤은 댄의 이야기를 듣고 조금씩 마음의 변화를 일으키게 되는데, 마지막에 가서야 벤의
확실한 마음을 알아챌 수 있을 정도로 악당의 옷을 입은 벤의 의도는 러닝타임내내 갈등을 겪게 된다.
벤 캐릭터가 악당임에도 상당히 쿨하게 또는 영웅적으로 그려지는 것이 이 영화에 또 다른 특징이 될 텐데,
그렇기 때문에 그의 오른팔로 등장하는 '찰리'라는 캐릭터가 좀 더 부각이 되는 듯 하다. 뚜렷한 선악의 구조로
이끌어가는 것이 아닌 영화에서 '찰리' 캐릭터는 그야말로 전형적인 냉혈한 악당의 모습을 보여준다.



일단 다 재치더라도 두 배우의 얼굴을 한 스크린에서 보는 것만으로도 만족스러운 시간이었다.
음...두 배우의 강한 카리스마가 격돌을 펼치는 스타일의 영화도 물론 좋았겠지만, 이렇게 한 캐릭터가
한 캐릭터를 압도하고, 점점 이에 동화되는 모습의 구성도 나쁘지 않았던 것 같다.

조금은 심심할 수도 있겠지만, 서부 영화 특유의 분위기와 두 멋진 배우의 연기를 맛보는 것 만으로도
괜찮았던 영화였다.



 

 
글 / ashitaka (www.realfolkblues.co.kr)


본문에 사용된 모든 이미지의 저작권은 Liongate사에 있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