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리비안의 해적 : 낯선조류 (Pirates of the Caribbean: On Stranger Tides)

양념으로만 가득찬 영화



조니 뎁을 디즈니 가족영화의 캐릭터로 승화시킨 '캐리비안의 해적' 시리즈, 그 네 번째 이야기 '낯선조류'를 보았다. 사실 캐리비안의 해적 시리즈는 작품에 대한 기대보다는 거의 조니 뎁에 대한 팬심으로 보기 시작한, 그리고 보고 있는 시리즈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텐데, 이번 '낯선조류'에서는 페넬로페 크루즈까지 출연한다고 하니 작품의 완성도는 재쳐두고서라도 한 번 봐야겠다 싶었다. 결론부터 이야기하자면 기대치가 별로 높지는 않았지만 그래도 '낯선조류'는 그다지 매력적인 작품은 아니었다. 제작비와는 상관없이 이미 블록버스터 시리즈로 알려져 있는 시리즈의 작품답지 않게 스케일이 느껴지는 볼 거리는 거의 없었고, 소소한 즐거움도 밋밋한 수준이라 아쉬움이 남았다. 원작에 대해서 잘 알지는 못해 '캐리비안의 해적' 전체에 대한 이야기를 알 수는 없지만, 만약 '해리포터'의 경우처럼 전체 하나의 이야기를 조금씩이라도 전개해 가는 과정이었다면 모를까, 아니 그렇다하더라도 큰 줄기의 진전이라기 보다는 단순한 에피소드 정도의 작품이었던 것 같다.




ⓒ Disney Enterprises, Inc. All rights reserved



사실 따지고보면 '캐리비안의 해적'은 이야기를 배경에 깔고는 있지만, 그 배경의 이야기가 매력적이기 보다는 잭 스페로우라는 캐릭터가 매력적인 작품이었고, 그 이야기 역시 전면에 나서기 보다는 캐릭터 뒤에서 근근히 지원하는 정도의 역할을 하던 시리즈라고 할 수 있을텐데, 이런 작품의 특성은 3편에서 조금씩 한계를 드러낸 것이 아닌가 싶다. 영화를 본 이들 가운데 많은 이들이 '3편도 별로이지 않았느냐'라고 얘기하는 것은 그런 맥락으로 이해할 수 있겠다. 그래도 3편이 나름 재미있었던 것은 조니 뎁이 연기한 잭 스페로우의 매력을 확인할 수 있는 원맨쇼를 비롯해, 1편부터 시리즈에 참여해 온 '윌 터너 (올랜도 블룸)'와 '엘리자베스 스완 (키이라 나이틀리)'은 물론, 좋은 결과는 아니었지만 주윤발이라는 새로운 배우의 참여를 통해 흥미요소와 연속성을 남겨두었기 때문이었다. 하지만 이번 '낯선조류'에서는 제프리 러쉬가 연기한 '바르보사'와 '깁스 (케빈 맥널리)'가 등장하기는 하지만, 앞서 이야기했던 것처럼 연속성 보다는 에피소드의 느낌이 더 강해 단순히 캐릭터를 소비하는 느낌이 들곤 한다.




ⓒ Disney Enterprises, Inc. All rights reserved



여기에 가장 큰 이유라면, 그 동안 시리즈를 이끌었던 고어 버번스키 대신 롭 마샬이 연출을 맡은 사실을 들 수 있겠다. 롭 마샬은 '시카고' '나인' 등 뮤지컬 영화에서 더 두각을 나타내었던 감독인데, 어차피 결과물이 아쉽다보니 제작사도 디즈니겠다, 혁신적으로 '캐리비안의 해적'에 뮤지컬 적인 요소를 가미시켰다면 어땠을까 하는 개인적인 위험한 상상도 해본다. 출연진들이야 뭐 가무에도 능한 배우들이니 괴작이 될 지언정 무언가 흥미로운 작품이 되었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긴 하지만, 아마도 이랬다면 이 시리즈의 팬들은 더 떠났을지도 모르니 개인적인 상상으로만 그쳐야겠다. 어쨋든 결과적으로 차라리 뮤지컬 시퀀스였다면 어땠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을 정도로 좀 심심한 작품이었다는 얘기.



ⓒ Disney Enterprises, Inc. All rights reserved



새롭게 등장한 캐릭터와 젋음의 샘에 관련된 이야기와 캐릭터, 그리고 시리즈의 주인공인 잭 스페로우의 관계가 유기적으로 결합되지 못하다보니, 모두가 조금씩 여운 만을 남기는 작품이 된 듯 하다. 특히 인어와 관련된 이야기들은 이번 작품에서 가장 흥미로운 부분이었는데, 비중이 모호하다보니 감정을 더 싣기도 애매하고 그냥 곁가지로 받아들이기에는 다른 가지들에 비해 흥미로운 그런 경우였다. 이야기 자체가 많은 캐릭터들이 젊음의 샘이라는 하나로 모여드는 구조라는 것은 이해하지만, 2시간 정도의 오락영화에서는 좀 더 캐릭터와 이야기의 줄기를 심플하게 가져갈 필요가 있지 않았나 싶다. 그러다보니 검은 수염, 안젤리카, 인어, 젋음의 샘, 스페인 군대, 바르보사 등 각각은 나쁘지 않은 양념들이었지만, 메인 요리는 없는 양념으로만 가득찬 영화가 된 듯 하다.




ⓒ Disney Enterprises, Inc. All rights reserved



1. 아마도 감독인 롭 마샬과의 인연으로 주디 덴치가 카메오 출연을 한 것 같더군요.

2. 이번 작품에서 가장 반가웠던 것은 잭 스페로우보다도 그의 아버지를 연기한 롤링 스톤스의 키스 리차드랄까. 뭐 이제는 두말하면 잔소리인 얘기지만, 조니 뎁이 잭 스페로우라는 캐릭터를 만들 때 많은 부분을 참고한 캐릭터가 키스 리차드였죠. 그래서 전편에 아버지 역할로 등장도 하게 되었던 것이구요. 짧지만 반가운 출연이었습니다!

3. 엔딩 크래딧이 모두 끝나고 쿠키 장면이 있습니다. 무언가를 암시하는 내용이라기 보다는 '피식'하고 웃을 수 있는 정도의 장면이라고 보시면 될 것 같네요.



글 / 아쉬타카 (www.realfolkblues.co.kr) 
  
본문에 사용된 모든 스틸컷/포스터 이미지는 인용의 목적으로만 사용되었으며,
모든 이미지의 권리는 Disney Enterprises, Inc. 에 있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샤인 어 라이트 (Shine A Light, 2007)
멈추지 않고 구르는 빛나는 돌들!


롤링 스톤스 (The Rolling Stones). 그들의 이름이 록 씬에서 전설로 추앙받고 있고, 그들의 가치나 몇몇
유명한 곡들은 잘 알고 있었지만, 개인적으로는 그들이 한참 활동할 때(물론 그들은 지금도 한참 활동중입니다!)
의 세대가 아니기 때문에 그들을 제대로 알기 위해서는 한 번 마음먹고 거슬러 올라가야 하는데, 미처 아직까지
그럴 기회를 잡지 못했던 밴드 중의 하나가 바로 '롤링 스톤스'였죠. 최근엔 이렇게 이전 세대에 활동했던,
혹은 전성기를 보냈던 밴드들을 차근 차근 들어보는 기회를 못갖고 있는데, 아마도 몇 년전 도어즈 (Doors)를
이런 식으로 제대로 느껴보았던 뒤로는 없었던 것 같네요. 영국출신으로 비슷한 시기에 활동했던 비틀즈와는
그 색깔을 달리하는 그룹으로서(재미있게도 실제 노동자 계급 출신인 비틀즈는 여성적이고 팝적인 음악을
선보였고, 중산층 출신으로 쉽게 말해 부유하게 자란 롤링 스톤스는 반대로 굉장히 반항적이고 남성적인
록음악을 들려주었죠), 개인적 취향으로로 그 간 롤링 스톤스를 제대로 들춰보지 않았다는 것이 이상할 정도인데,
이 영화 <샤인 어 라이트>를 보게 된 뒤로는, 이들의 발자취를 훑어보지 않을 수가 없게 되었네요.
너무나 상투적인 표현이라 정말정말 쓰고 싶지 않지만 딱 한 번만 눈 딱 감고 써보자면,
이들은 그야말로 살아있는 신화이며 전설입니다. 그들이 발표했던 주옥같은 앨범들이 신화와 전설을 말해주고,
무려 45년을 지나 지금도 계속되고 있는 그들의 활동기간이 바로 '살아있음'을 몸소 증명하고 있는 것이죠.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 영화를 설명한 말들 가운데 가장 많이 듣게 되는 말은 바로 '콘서트 영화 (Concert Movie)'라는 장르에 관한
설명입니다. 콘서트면 콘서트고 영화면 영화지 '콘서트 영화'는 무엇인가 싶기도 한데, 일단 가볍게 살펴보자면,
<샤인 어 라이트>는 뮤지션이나 음악을 다룬 여타 영화들과는 달리 다큐멘터리가 주가 된 영화가 아니라,
밴드의 콘서트 자체가 90% 이상 주를 이루고 있는 영화입니다. 초반 리허설 장면 몇 분과 중간 중간 예전
TV인터뷰 클립등이 수록되어 있기는 하지만, 이것은 마치 콘서트 실황 DVD의 서플먼트를 연상시킬 정도로
미미한 것이며, 2시간이 넘는 러닝타임의 대부분은 롤링 스톤스의 '비거 뱅 투어(A Bigger Bang Tour)' 가운데
2006년 10월 29일과 11월 1일 뉴욕의 비콘 극장에서 가졌던 콘서트 실황으로 채워져 있습니다.

마틴 스콜세지는 밴드가 공연하는데에 있어 최대한 이질감이나 불편함을 느끼지 못하도록 배려하면서,
총 16대의 카메라를 공연장 여기저기에 배치하였고, 객석 가운데서, 드럼 가까이에서, 무대와 아주 가까이서
담아낸 그들의 공연 모습은 일반 콘서트 실황 영상에서는 쉽게 느낄 수 없었던 진짜 밴드의 모습,
진짜 '롤링 스톤스'의 모습을 체험하게 만들고 있습니다. 초반 리허설 장면에서 공연 전에 민감해져 있는
믹 재거를 비롯한 밴드 멤버들이 스콜세지의 영화화 작업에 별로 호의적이지 않은 듯한 분위기를 느낄 수
있는데, 물론 이것은 실제 상황이기도 하지만 어느 정도 편집에 의해 연출된 상황이라고도 볼 수 있습니다.
마틴 스콜세지는 <샤인 어 라이트>를 단순히 콘서트 영상이 아니라 '콘서트 영화'로 만들기 위해,
초반에 이런 긴장감을 불어넣기도 하고, 자신이 감독의 역할로 직접 등장하여 영화의 시작과 마무리를
명확히 지음으로서 이것이 '콘서트 영화'임을 좀 더 명확하게 보여주려 하고 있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간 <라스트 왈츠>나 '더 블루스' 프로젝트의 <고향으로 가고 싶다>, 그리고 밥 딜런에 관한
<노 디렉션 홈 : 밥 딜런>에 이르기까지, 음악과 뮤지션에 관한 깊이 있는 시각과 애정을 보여주었던
마틴 스콜세지이기에, <샤인 어 라이트>는 더 특별하면서도 의미있는 영화라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마틴 스콜세지는 잘 알려진대로 음악에도 상당히 조예가 깊은 영화 감독인데, 그렇기 때문에 단순히 팬레터
성격에 그치지 않고 뮤지션에 대해 잘 알고 있는 사람들이라면 더 쉽게 공감할 수 있는, 상당히 전문적인
음악영화들을 만들어 왔습니다. 예전부터 자신의 작품에서 롤링 스톤스의 음악을 자주 쓰기도 했었고,
오래전 부터 팬이었던 스콜세지는, 이번에도 색다른 방식으로 자신이 애정을 갖고 있는 이 전설이 밴드를
그려냅니다.

45년에 활동기간을 굳이 감안하지 않는 만행을 저지르더라도, 롤링 스톤스에게는 영화나 다큐로 만들 만한
무수한 이야기 거리들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영화화 작업에 있어서 단지 공연 실황만을 담은 것은,
어느 리뷰에서 보았듯 라이브 자체가 바로 롤링 스톤스를 가장 잘 표현해주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이런 저런 사건들과 일화들로 다큐멘터리 형식으로 그릴 수도 있겠고, 전기영화 방식으로 좀 더 서사적으로
그려낼 수도 있겠지만, 마틴 스콜세지는 롤링 스톤스의 오랜 팬이었기 때문에 다른 거 다 재쳐두고 그들의
라이브 실황을 관객으로 하여금 2시간 동안 즐기도록 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설명 방법인 동시에,
롤링 스톤스 멤버들에게도 가장 올바른 헌정 방식이라고 생각했던 것이죠. 결국 그 방법은 옳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2시간이 넘는 러닝 타임 동안 그 어떤 다큐나 음악 영화에서도 느낄 수 없었던 에너지와
진짜 '롤링 스톤스'를 만나볼 수 있었으니까요.

사용자 삽입 이미지

아마도 롤링 스톤스를 잘 모르는 사람들(이 영화를 보는 사람들 가운데 그런 사람이 있겠느냐만은)이
<샤인 어 라이트>를 본다며, 이들이 좀 나이 먹어 보이기는 하지만 45년을 활동해온 60대의 멤버들로 구성된
밴드라고는 절대 생각지 못할 겁니다. 그 만큼 이들의 라이브는 '아직도'라는 말을 붙이기가 민망하고 미안할
정도로 너무 열정적입니다. 믹 재거는 여전히 섹시하며 젊은 여성들도 혹할 만한 몸매와 카리스마, 댄스 실력을
보여줍니다. 키스 리차드는 또 어떻습니까. 아마도 요즘의 어린 팬들은 거꾸로 조니 뎁이 연기한 '잭 스페로우'
로부터 거슬러 올라가 키스 리차드를 알게 된 경우가 더 많을지도 모르지만, 그의 카리스마는 정말 무대를
압도합니다. 젊은 시절 무대 위나 인터뷰 시에 뿜어나오던 포스도 대단했지만, 나이를 먹은 지금에 그가
보여주는 퍼포먼스와 연주는, 감히 말로는 표현하기 어려울 정도로 장인의 숨결을 고스란히 느낄 수 있는
정말 대단함 그 자체였습니다.

이 콘서트에는 세 명의 게스트가 등장하는데(오프닝을 맡은 클린턴은 빼고요),
첫 번째는 화이트 스트라입스(White Strips)의 잭 화이트(Jack White)가 등장해 'Loving Cup'을 함께
노래, 연주합니다. 보통 때 같았으면 '와, 잭 화이트가 게스트로 등장하다니!' 하고 좋아만 했겠지만,
이번 경우는 그저 '와, 믹 재거와 한 무대에서 함께 노래하고, 키스 리차드와 마주보며 연주를 하다니,
잭 화이트, 너무 부럽다' 뭐 이런 느낌이 지배적이었습니다. 잭 화이트도 나름 카리스마와 포스를 갖고 있는
까칠한 뮤지션인데, 믹 재거와 키스 리차드 앞에선 그저 착한 후배로 밖에는 보이질 않더군요 ^^;
두 번째로 등장하는 뮤지션은 바로 버디 가이(Buddy Guy)입니다. 앞선 잭 화이트의 출연에서 잭 화이트가
마냥 부럽기만 했다면, 버디 가이와의 협연에서는 정말 고수들의 엄청난 아우라를 몸으로 실감할 수 있었습니다.
<샤인 어 라이트>를 통틀어 가장 인상적인 장면을 꼽으라면 버디 가이와 함께한 'Champagne & Reefer'를
꼽지 않을 수 없겠네요. 버디 가이와 키스 리차드가 함께 연주하는 장면에서는 정말 온몸에 절로 소름이
돋을 정도로 무서우리만큼 강한 희열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특히 스콜세지가 버디 가이를 오랜 시간 동안
클로즈업 하는 장면이 나오는데, 정말 압도당하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롤링 스톤스와 버디 가이가 함께 연주하는
장면 같은 경우는, 그 어떤 훌륭한 배우가 열연을 펼친다 하더라도 미처 도달할 수 없는 '실연'이라고
할 수 있을텐데, 경지에 다다른 두 팀의 뮤지션이 협연을 펼치는 장면은, 왠만해선 감당하기 어려울 정도의
감동이었습니다(키스 리차드 역시 이 협연에 감동했는지 자신이 연주한 기타를 그 자리에서 버디 가이에게
선물하기도 합니다).

세 번째로 등장하는 게스트는 의외일 수도 있으나 크리스티나 아길레라입니다. 사실 개인적으로는 아길레라가
그녀의 실력에 비해 가쉽과 부수적 요소들에 의해 과소평가 되는 것 같아 아쉬움이 많은데, 이번 공연에서는
믹 재거와 함께 'Live With Me'를 열창합니다. 믹 재거에 포스에도 주눅들지 않고 무대에서 자신만의 노래를
해내는 그녀의 모습을 보면, 확실히 동년 배의 여자 가수들 사이에서도 돋보이는 가창력을 가졌다는 것을
새삼 느끼게 됩니다. 나이로만 보면 할아버지와 딸에 듀엣으로 볼 수도 있겠지만, 공연을 본 사람들은
아무도 그렇게 생각하지 않겠지요. 아까도 말했다시피 믹 재거는 아직도, 아니 그냥 섹시하거든요 ^^

사용자 삽입 이미지

예전에도 그들의 음악을 들으면서 생각했던 거지만, 참 밴드 이름 잘 지었다고 생각했었습니다.
롤링 스톤스(Rolling Stones). 구르는 돌들이라. 영화 속에 삽입된 예전 인터뷰처럼 2년이나 활동할지도 몰랐던
이들이, 하지만 한 편으론 60대에도 당연히 노래하겠다라고도 했던 이들이, 진짜로 이렇게 오랫동안이나
활동하게 될 줄은 아마 그들은 물론 아무도 몰랐을 겁니다. 구르는 돌들이라는 밴드 이름이 처음 만들 떄는
그저 자신들이 존경하는 밴드의 곡 제목을 따온 것에 지나지 않았을지 모르지만, 세월이 지나고 이리도 오래
활동하고 있는 지금에 와 생각해보면, 정말 운명적인 밴드의 이름이 아니었나 생각해보게 됩니다.

간단하게 말해서 롤링 스톤스의 공연을 대한민국 땅에서 보기가 여간 힘든일이(어쩌면 불가능에 가까운)
아니기 때문에 그들의 실감 나는 공연 실황을 단돈 7천원으로 극장에서 만나볼 수 있는 정말 소중한 기회이며,
롤링 스톤스라는 록 계의 전설적인 밴드에 관한 중요한 필름으로서 극장에서 새로운 체험을 할 수 있는
또 다른 소중한 기회이기도 한 것이 바로 이 영화 <샤인 어 라이트>라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한동안 롤링 스톤스 음악에 빠져 살 수 밖에는 없겠네요.




1. 극장에서 보는 내내 너무 답답했습니다. 이런 라이브를 딱딱한 좌석에 앉아서 2시간 내내 조용히 관람해야
   하다니 말이에요. 마음 맞는 록 팬들끼리 단관해서 함께 신나게 춤추며 보면 정말 좋을 것 같더군요.
   박수치며 환호하며 말이에요. 이런 '콘서트 영화'가 애니메이션 만큼의 비중만이라도 된다면 특별관 하나
   있었으면 좋겠다 바램이라도 가져보겠지만, 이런 영화가 워낙에 드물다보니 그것도 어렵겠네요.
   여튼 맘 속으로만 환호해야 하다보니 많이 아쉬웠습니다.

2. 그들의 대표곡 중 하나이고, 특히 국내팬들에게 더욱 친숙한 'Paint Black'은 영화에는 누락되었습니다.
   사운드트랙에서는 만나볼 수 있구요. 스크린에서 볼 수 있었으면 더 좋았을텐데 조금 아쉽네요.
   DVD에는 수록될 예정이라고 합니다.

3. 블루레이가 이미 해외에서 출시된 거 같던데, 이 타이틀은 별다른 자막이 어차피 큰 필요없으니
   기회되면 질러봐도 좋겠네요.



 
 
글 / ashitaka (www.realfolkblues.co.kr)


본문에 사용된 모든 이미지의 저작권은 Fortissimofilms에 있습니다.



블로그코리아에 블UP하기  RSS등록하기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