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ME . All rights reserved


앞으로도 없을 영원 불멸의 존재 데이빗 보위 (David Bowie)를 보내며


데이빗 보위가 현지 시간으로 1월 10일, 18개월 간의 암투병 끝에 세상을 떠났다는 비보가 전해졌다. 최근 그의 28번째 정규 앨범인 'Blackstar'를 발매했다는 소식을 듣고 뮤직비디오도 보았었던터라 그의 죽음은 갑작스럽기만 했다. 아..영원히 살 것만 같던 그가 죽음을 맞이 하다니. 아마도 믿겨지지 않는 다는 말은 이럴 때 쓰는 말일터.


많은 뮤지션과 배우들이 자신 만의 독특한 이미지를 갖고 팬들에게 깊게 각인되기는 하지만, 단언컨데 데이빗 보위는 그 가운데서도 유일무이한 대체할 이가 없는 유니크한 존재였다. 그는 무엇보다 록스타라는 이미지가 가장 어울렸던 뮤지션인 동시에 '데이빗 보위'라는 이름이 마치 한 사람의 이름이라고 느껴지기 보다는 어떤 '존재'의 이름 혹은 의미로 기억되는 이였다.





그리고 그가 죽었다는 소식을 듣고 듣고나니 더 선명해진 것은, 그는 단 한 번도 인간으로서의 젊음을, 뮤지션으로서의 품위를, 신비함을 잃어버린 적이 없다는 점이었다. 그는 69세의 나이에 암으로 죽음을 맞게 되었지만 그의 죽음은 마치 짐 모리슨이나 존 레논, 지미 헨드릭스처럼 젊은 시절 요절한 록스타를 떠올리게 했다. 앞서 언급했던 것처럼 바로 몇 달 전에도 새 정규 앨범을 냈을 정도로 꾸준하게 활동을 해왔는데도 말이다. 단순히 나이가 느껴지지 않는 외모 때문이 아니라 데이빗 보위라는 존재에게는 보통 사람들의 시간이나 중력이 적용되지 않는 것만 같았다. 그냥하는 말이 아니라 정말로 데이빗 보위를 떠올릴 때 단 한 번도 '이제 늙었구나'라거나 '언젠간 세상을 떠나겠지..'라는 생각조차 해보질 않았던 것처럼, 그는 정말 특별한 존재였다.



ⓒ WarnerBros. All rights reserved


그래서인가. 한참 음악을 많이 듣기 시작하던 20대 초반에도 그는 특별한 존재였다. 분명 더 많은 곡들을 좋아한 건 마이클 잭슨이나 존 레논이었지만, 데이빗 보위는 그들 과도 다른 매력이 있었다. 우연히 듣게 된 'ziggy stardust' 앨범으로 시작 된 그에 대한 관심은 글램록 시대를 거쳐, 비교적 근래에 발매한 앨범들에 이르기까지 한 장 한 장 골라 들을 때 마다 전혀 다른 음악들로 더 빠져들게 했고, 어린 시절 인상 깊게 보았던 영화 '라비린스'는 물론 역시 비교적 최근작이었던 크리스토퍼 놀란의 '프레스티지'에서 연기했던 테슬라 역할까지. 그는 매번 다른 이미지와 느낌의 역할과 음악을 선보였지만, 놀랍게도 그 모든 앨범과 영화에는 공통적으로 신비스럽고 미스테리한 그 만의 매력이 가득 했었다. 단순히 그가 화성과 우주를 노래해서 만이 아니라, 그는 정말로 외계에서 온 존재 같았다. 그러한 컨셉을 연기한 아티스트가 아니라 정말 그런 존재인 것 같았다.


그는 내개 항상 호기심의 대상이자 막연히 닮고 싶었던 존재 그리고 언젠가 더 깊게 완전히 알아내고자 했던 존재였다. 그런 그가 이렇게 홀연히 자신의 별로 돌아가 버렸다.


지구에는 존재하지 않았던 음악과 연기를 남기고 돌아가버린. 우주적인 존재 데이빗 보위를 기리며.

Rest In Peace. David Bowie




글 / 아쉬타카 (www.realfolkblues.co.kr) 

  
본문에 사용된 모든 스틸컷/포스터 이미지는 인용의 목적으로만 사용되었으며,
모든 이미지의 권리는 각 저작권자 에 있습니다.






R.I.P. 필립 세이모어 호프만

배우라는 이름이 가장 잘 어울렸던 이

선과 악, 강함과 부드러움을 모두 가졌던 배우



설 연휴가 끝나고 다시 일상으로의 복귀를 막 준비하던 이른 아침, 폴 워커를 잃은 지도 얼마 되지 않은 이 때에 또 다른 비보가 들려왔다. 바로 필립 세이모어 호프만의 사망 소식이었다. 뉴욕의 자신 소유 아파트에서 죽은 채 발견 된 그의 사망 이유는 약물과다인 것으로 현재 추정되고 있다. 이제 그의 나이는 겨우 46이었다.


그의 존재를 처음 제대로 인식한 것은 폴 토마스 앤더슨의 1997년 작 '부기 나이트 (Boogie Nights)' 부터 였던 것 같다. 그 이전 영화들에서도 자주 얼굴을 만날 기회는 종종 있었는데, 얼굴과 이름을 처음으로 매치시킨 작품은 '부기 나이트'였다. 이후 그는 폴 토마스 앤더슨의 페르소나로 그의 작품에서 자주 만나볼 수 있었다.




화려한 캐스팅과 폴 토마스 앤더슨이라는 감독을 더 많은 영화 팬들에게 깊게 각인시켰던 작품인 '매그놀리아 Magnolia, 1999)'에서의 그의 연기는, 톰 크루즈가 연기한 캐릭터처럼 돋보이기 보다는 자연스럽게 그 공간과 하나가 된 것처럼 느껴지는 연기였으나, 확실히 '부기 나이트' 이후 '매그놀리아'를 인상 깊게 보게 되면서 그의 얼굴을 더 자주 스크린에서 만날 수 있을 거라는 확신을 갖게 되었다. 이후 2000년 카메론 크로우의 '올모스트 페이머스 (Almost Famous)'와 2002년 또 한 번 폴 토마스 앤더슨과 호흡을 맞춘 '펀치 드렁크 러브 (Punch-Drunk Love)'를 거치며, 그의 얼굴과 이름은 영화 팬들 사이에서 점점 더 익숙하고 안정감을 주기 시작했다.




다우트 _ 신앙과도 같은 의심의 나약함

http://realfolkblues.co.kr/878


어찌보면 이 때까지만 해도 항상 조연으로 머물러 있던 그가 단숨에 더 큰 주목을 받게 된 작품은 누가 뭐래도 2005년작 '카포티 (Capote)' 일 것이다. 그는 이 작품을 통해 골든글로브와 아카데미 남우주연상을 모두 석권하면서 명실공히 명배우의 반열에 오르게 되었는데, 그의 연기를 계속 보아왔던 영화 팬들 입장에서는 특별히 놀랄 일은 아니었을 정도로, 그는 이미 준비된 배우였다. 실존 인물 트루먼 카포티를 연기한 필립 시모어 호프만은 메소드 연기의 정점을 보여주며, 영화 자체보다도 이를 연기한 배우인 그가 더 주목 받는 계기가 되기도 했다.




악마가 너의 죽음을 알기 전에 _ 외로운 시대, 외로운 가족의 초상

http://realfolkblues.co.kr/961


이후 헐리웃의 주목 받는 연기파 배우로 당당히 이름을 올린 그는 시드니 루멧 감독의 유작 '악마가 너의 죽음을 알기 전에 (Before the Devil Knows You're Dead, 2007)'에서 또 한 번 무게감 있는 캐릭터를 연기하였으며, 2008년 메릴 스트립, 에이미 아담스와 함께 연기한 '다우트 (Doubt)'를 통해 다시 한 번 그의 진가를 유감없이 발휘했다. 특히 '다우트'는 캐스팅 소식이 알려진 순간부터 엄청난 기대를 모았던 작품이었는데, 메소드 연기에 둘째가라면 서러울 메릴 스트립과 필립 세이모어 호프만이 함께 출연한다면 어떤 연기를 펼칠지 두려움이 들 정도였기 때문이다. 실제로 '다우트'를 보고 나서 썼던 글을 보면 이 두 배우가 함께 등장해 연기를 펼치는 장면을 두고 액션 영화의 '결투 (Duel)' 장면 못지 않은 긴장감과 치열함, 압도됨을 느낄 수 있었다는 표현을 하기도 했었는데, '다우트'는 연기라는 것의 맛을 최대한으로 느낄 수 있는, 그여서 가능한 작품이었다.




시네도키, 뉴욕 _ 외로운, 위로의 일기

http://realfolkblues.co.kr/1181


찰리 카우프만의 감독작 '시네도키, 뉴욕 (Synecdoche, New York, 2008)'도 빼놓을 수 없는 작품이다. 개인적으로 그 해 가장 좋은 작품 중 하나였던 이 작품에서 호프만은 노인 역까지 소화해 내는 등 카우프만의 복잡한 각본을 연기력을 통해 비교적 자연스럽게 소화해 냈다. 이 후 한 동안 그의 작품을 보지 못하다가 2011년 브래드 피트의 주연작으로 좋은 평가를 받았던 '머니볼 (Moneyball)'에서 비교적 적은 분량인 오클랜드 팀 감독 역할을 맡았는데, 사실 생각보다 분량이 적어 놀라기도 했었다. 솔직히 '머니볼'에서 그가 연기한 캐릭터는 반드시 그여야 할 만한 이유가 있는 캐릭터는 아니었지만, 그래도 팬으로서 오랜만에 그의 모습을 짧게 나마 볼 수 있어 반가웠던 작품이었다. 그리고 2006년 작 '미션 임파서블 3'를 비롯해 '헝거게임 : 캐칭파이어'에도 출연 하는 등 액션 블록버스터에도 출연하는 조금은 의외의 모습도 만나볼 수 있었다. 이번 그의 사망 기사에도 많은 대중들이 그를 '헝거게임'으로 기억하는 것도 개인적으론 조금 이색적인 풍경이었다.





개인적으로 그의 작품을 마지막으로 극장에서 본 건 폴 토마스 앤더슨의 무시무시한 영화 '마스터 (The Master, 2013)'였다. 메릴 스트립과 호흡을 맞췄던 '다우트'와는 조금 다른 의미로 호아킨 피닉스와 함께 연기한 '마스터'는 영화도 배우도 연기도 실로 무서운 작품이었다. 역시 표면적으로 강렬하고 압도하는 것은 호아킨 피닉스가 연기한 캐릭터였지만, 이를 받쳐주는 것 이상으로 더 큰 아우라를 발산한 것은 다름아닌 호프만이 연기한 마스터였다.




편히 잠들길...



너무 급작스러운 죽음이고 이별이라 아직 잘 실감이 나지 않는다. 아마도 그의 죽음이 가장 슬픈 사람 중 한 명은 폴 토마스 앤더슨이 아닐까 싶다. 아직도 보고 싶은 그의 연기와 영화들이 많은데 너무 일찍 우리 곁을 떠나버렸다.


Rest in Peace.




글 / 아쉬타카 (www.realfolkblues.co.kr) 

  

본문에 사용된 모든 스틸컷/포스터 이미지는 인용의 목적으로만 사용되었으며,
모든 이미지의 권리는 각 영화사 에 있습니다.


 


ⓒ In-Gear Film. All rights reserved


내게 있어 만우절이라는 날이 별다른 이벤트로 느껴졌던 적도 없었지만, 2003년 4월 1일 이후로 나에게 만우절은 오로지 한 사람을 떠올리게 하는 날이 되었다. 바로 그 장국영.

사실 되돌아보면 좋아하는 정도의 차이는 있었지만 내 곁을 훌훌 떠나갔던 사람들은 많았었는데, 누군가의 기일을 매년 떠올리게 되는 것은 장국영 외에 손가락으로 꼽을 정도인 것 같다. 죽음과 거짓말, 만우절과 충격, 이런 것들로 인해 그의 죽음은 아직까지도 실감나지 않고 매년 맴돌게 되는지도 모르겠다.

올해도 4월 1일이 되어 다들 만우절로 떠들석 할 때, 나는 자연스레 장국영만을 떠올렸다. 그리고 거짓말이라는 것에 대해 그리고 영화 속에 영원히 살아있는 배우와의 이별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해보게 되었다. 그와의 추억에 대한 글은 예전에 썼던 적도 있었고, 오늘은 그냥 그와 함께 했던 시간의 소중함을 새삼 되새겨 보는 것으로 짧게 마무리 할까 한다.



ⓒ In-Gear Film. All rights reserved

장국영과 함께 했던 시간들. <아비정전>의 한 장면 처럼, 길고도 짧은 아니 찰나로 느껴지는 시간이었다.


I Miss You, Leslie.
2010.04.01





p.s - '월량대표아적심 (月亮代表我的心)'은 물론 등려군이 부른 것도 좋지만, 난 특히 장국영이 불렀던 1997년도 이 버전을 좋아했었다.




R.I.P Nujabes
너무 일찍 가버린 천재 프로듀서


누자베스 (Nujabes)를 처음 알게 된 것도 따져보니 벌써 수년이 흘렀다. 한창 언더그라운드 힙합, 인스트루멘탈 음악에 빠져있을 때 Madlib과 그의 여러 프로젝트 앨범들과 함께 자연스럽게 알게 된 것이 바로 누자베스의 음악이었다. 누자베스의 음악을 처음 들었을 때의 감동은 아직도 생생히 기억하는 편이다. 그 당시 처음 접했던 그 장르의 음악들이 대부분 그런 경향을 띄고 있기도 했지만, 누자베스의 음악은 단연 그 중 최고의 선율이었으며 범접하기 어려운 선구적인 완성도를 지니고 있었다. 힙합 음악이라는 것이 이렇게 감성적일 수도 있고, 다양한 음악들과 어울려 크로스오버를 넘어서, 완전히 새로운 장르로 태어날 수 있다는 것을 그를 통해 알게 되었다. 단순히 그의 음악을 적절한 샘플링과 다양한 장르의 이해 정도로 설명하기에는 턱 없이 부족하다 하겠다.

물론 누자베스가 당시에도 그랬고 지금에도 가장 타 뮤지션들보다 잘했던 것은 이런 샘플링과 타 장르(특히 재즈)와의 결합을 들 수 있겠다. 그의 예전 앨범들은 지금와 들어도 굉장히 선구적인 것인 물론, 최근 나오는 비슷한 장르의 프로듀서들에게서도 좀 처럼 찾아보기 어려운 결과물들이다. 그의 음악은 흑인 음악(힙합)이 꺼려지는 재즈 팬들에게 '아, 힙합이라는 음악이 단순히 과격한 랩만 있는 것은 아니었구나'라는 것을 일깨워 주었으며, 재즈를 단순히 어렵게만 생각했던 힙합 팬들에게 '아, 재즈라는 것과 힙합이라는 것이 이렇게 잘 어울리는 음악이었구나'라는 것을 알려준 가교 역할을 한 음악이었다(하긴 따지고보면 힙합계에서 재즈라는 장르가 가까운 하나의 울타리로 여겨진 것은 오래 되었다 할 수 있겠다).

재즈 이야기가 나온 김에 나 스스로가 범한 우를 지적하고 넘어가자면, 사실 흑인 음악은 들으면 들을 수록 힙합, 재즈, 블루스 등으로 구분하기가 매우 애매해지는 것이 사실이다. 그 근원을 따지자면 이들 모두가 하나의 뿌리라는 것을 알게 되고, 각 장르마다 음악에 대한 깊이있는 이해가 동반된 뮤지션들의 앨범을 듣다보면, 결국 다 '흑인 음악'이라는 하나의 대장르로 귀결되기 때문이다. 그런 깊은 이해를 동반한 음반 가운데 최근 몇 년간 가장 뛰어난 앨범 중 하나가 바로 누자베스의 앨범들이었다. 그의 음악을 듣고 있노라면 흑인음악은 물론 다양한 뮤지션들과 장르에 대한 해박한 지식과 이해력에 놀라지 않을 수 없었다. 하지만 누자베스의 음악은 그냥 어렵기만한 음악은 결코 아니었다. 자신이 아는 음악적 지식의 최고 수준을 가르치듯 펼쳐놓은 음악이 아니라, 마술 같은 비트 위에 리스너들이 쉽게 물들 수 있도록 비교적 친절하게 풀어놓은 선구자의 음악이었다.

개인적으로 힙합 음악을 들으며 눈물을 찔끔거린 것은 그의 음악이 아마 처음이 아니었나 싶다. 뭐랄까, 누자베스의 음악은 따스함으로 감동 받게 하는 그런 음악이었다. 여러 음악적 기교 역시 훌륭했지만 그런 음악적 퀄리티를 담아낸 그릇은 참으로 따스한 감수성이었다. 빠른 비트와 랩 플로우로 진행되는 곡들도 베이스에는 따스함이 존재한다. 그래서 누자베스의 음악을 떠올리면 항상 가장 먼저 떠오르는 이미지는 '볕 좋은 오후' 같은 평화로운 그림이었던 것 같다.

그런 누자베스의 사고 소식이 오늘 들려왔다. 교통사고라길래 처음에는 그냥 사고 소식인줄로만 알았다. 그런데 사망이란다. 며칠 전 에픽하이의 새 앨범을 이야기하면서 누자베스에 관한 이야기를 했었는데, 이렇게 빨리 또 그에 대한 글을 쓰게 될지는 몰랐다. 그의 사고 소식에 혼란스러워하다, 집으로 돌아오자마자 CD장의 그의 앨범을 찾아보았는데, 제법 많이 있다고 생각했던 그의 앨범을 딱 두 장밖에는 소장하고 있지 않았다는 사실에, 왠지 떠난 그에게 미안함이 들었다. 그의 음악을 그렇게 좋아했는데 이제 내 손에 남은 건 저 두 장의 앨범 뿐이라는 사실이 왠지 쓸쓸하다.

정말 보석같은 많은 곡들이 있지만, 슬픈 곡 보다는 무한한 희망을 느낄 수 있었던 'Modal Soul' 앨범의 마지막 수록록 'Horizon'을 남겨본다. 이제 이곳이 아니라 지평선 저 너머에서 편히 쉴 그를 추억하며.


Rest In Peace.
Nujabes





글 / 아쉬타카 (www.realfolkblues.co.kr)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