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달소’보다 더 나을 지도 모를, 호소다 마모루의 ‘썸머 워즈’

호소다 마모루의 2006년작 '시간을 달리는 소녀'는 일본은 물론 국내에서도 큰 인기를 끌었던 인상 깊은 작품이었다. 시간 여행이라는 SF적인 소재를 가져왔음에도 10대 소녀의 감성으로 이끌어낸 이 애니메이션 - 물론 이 작품은 1965년 작가 쓰쓰이 야스타카의 소설을 원작으로 하고 있다 - 을 통해 호소다 마모루 감독은 미야자키 하야오를 잇는 일본 애니메이션 계에 차세대 감독으로까지 단번에 주목을 받게 되었다. '시간을 달리는 소녀' - 이하 시달소 -의 기억이 아련해질 때쯤 그는, 2009년 신작 '썸머 워즈'를 통해 다시 한번 팬들의 주목을 받게 되었다. 포스터나 제목에서부터 벌써 스케일을 예상하게 만들었던 이 작품은 '시달소'로 익숙해진 팬들은 물론, '시달소'에 큰 재미를 느끼지 못했던 이들도 팬들로 만든 한편, 반대로 '시달소'로 잔뜩 기대하게 만든 팬들 가운데 적지 않게 실망을 주기도 했던 작품이었다. 아마도 호불호가 나뉘는 가장 큰 이유 중 하나는 이 작품의 배경이 되는 세계관인 'OZ' 때문이라고 할 수 있겠다.






'시달소'의 '타임리프'보다도 '썸머 워즈' 속 'OZ'는 더 깊게 영화에 관여하고 있다. 아주 새로운 개념은 아니지만 사이버 세상이 오프라인의 진짜 세상의 대부분도 컨트롤 하게 된다는 이 OZ의 세계관은, 아주 치밀하다기보다는 그냥 설정 상의 것 정도로 이해하는 편이 좋을 듯 하다 - 만약 '썸머 워즈'가 이 OZ세계관을 깊게 파고든 작품이 되었다면 아마 나카무라 류타로의 1998년 작 '레인 (Serial Experiments Lain)'처럼 심오해졌을 것이다 - . 즉, 이 작품에서 OZ라는 설정은 영화의 기본 메시지가 되는 대가족과 그 안에서의 관계 설정 등을 더 효과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도구로 사용되고 있음을 받아들인다면, '엇, 이런 도구치고는 매우 흥미로운데'라며 오히려 이 작품에 더 깊은 애정을 갖게 될지도 모르겠다는 말이다.





물론 도구 이상의 기능을 하는 것 또한 분명하다. 결국 호소다 마모루가 이 전지구적 위기 극복 과정이라는 ‘드래곤 볼’과도 같은 스케일을 - 극중 ‘모두들 내게 힘을 모아줘’라는 식의 대사가 등장해 더더욱 드래곤 볼 생각이 났다 - 통해 이야기하고자 했던 것은 네트워크에 관한 것이 아니었나 생각된다. 모든 것이 가능하다고 생각했던 인터넷 세상 속의 네트워크가 마비가 되었을 때가 되어서야, 우리가 중요치 않게 혹은 있는지 조차 인식하지 못했던 주변의 네트워크가 도움이 된다는 것, 그 가운데서도 가족이라는 네트워크가 결국 세상을 구하는 가장 큰 동력이 된다는 것을 이야기하기 위해, OZ라는 거창한 세계관을 불러왔고 결국 가족이라는 이야기를 하고 싶었던 것이다.





전작 ‘시달소’도 그랬지만 호소다 마모루 감독의 작품이 깊은 인상을 주는 것은 이야기도 이야기지만, 그 이야기를 전달하는 작화에 있다. 단순한 듯 하면서도 굉장히 디테일한 호소다 마모루의 캐릭터들은 다른 작가의 캐릭터에 비해 굉장히 ‘절실함’ 혹은 ‘절박함’이 느껴진다. ‘에반게리온 : 파’의 신지에게 공감하게 되는 그 순간과 살짝 비슷한데, 기존의 작화에서 한 발 더 나아가면서 거칠어지는 절박한 순간의 묘사는 보는 이로 하여금 절로 두 주먹을 꼭 움켜쥐며 함께 무언가를 간절히 바라게 된다.



(호소다 마모루의 캐릭터들에겐 항상 ‘절박함’이 엿보이는 순간이 있다)

이 작품의 공감대를 좌지우지하는 가장 큰 지점이라면 ‘게임’에 대해 얼마나 너그러운가 혹은 익숙한가를 이야기할 수 있을 것이다. ‘썸머 워즈’는 OZ라는 사이버 세상과 맞물려 게임 - 혹은 게임기 - 이라는 도구가 극에 적극적으로 도입된다. 닌텐도와 같은 게임기부터 시작해 고스톱 같은 게임이 세상을 구하는 도구로 사용된다. 이런 문화에 익숙한 일본인들이라거나 국내에서도 이런 게임 관련하여 익숙한 이들에게는 이런 설정이 ‘그래, 그럴 수도 있겠네’라고 쉽게 받아들여질 테지만, 그렇지 않은 이들에게는 절로 코웃음 치게 만드는 유치한 구성으로 받아들여질 테니 말이다. 유치하다고 받아들인 다면 위와 같은 절박함도 느껴지지 않을 터. 결국 ‘썸머 워즈’는 거부감 없이 즐길 수 있는 이들에게만 허락된 호소다 마모루의 가족 이야기일지도 모르겠다.




DVD Menu





DVD Quality

16:9 와이드스크린의 화질은 DVD로서는 그럭저럭 나쁘지는 않은 편이다. 사실 블루레이를 감안하지 않더라도 애니메이션이라는 특성을 고려했을 때, 평균적이기는 하지만 좀 더 좋을 수도 있지 않았을까 하는 아쉬움이 조금 들기도 한다. 현재 국내는 블루레이 출시가 확정되지는 않은 상태임으로 일단은 DVD화질에 만족해야 할 것 같다.





돌비디지털 5.1채널을 수록한 사운드는 좀 더 만족스러운 편이다. ‘썸머 워즈’는 의외로 액션 및 다양한 효과음들을 확인할 수 있는 장면들이 많은 편인데, 사운드 측면에서 별 기대하지 않고 보았다가는 중간중간 ‘어랏?’하는 느낌을 받게 될지도 모르겠다. 워낙 등장인물들이 많은 터라 대사 전달이 어쩌면 가장 핵심적인 사운드 체크 포인트라고 할 수 있을 텐데, 많은 인물들 만큼 넓은 공간에 넓게 퍼져 있는 경우가 많아 대화 장면에서도 멀티 채널의 효용을 확인할 수 있다.

DVD Special Features

2장의 디스크로 발매된 ‘썸머 워즈’DVD의 첫 번째 장에는 남녀 주인공을 맡은 카미키 류노스케와 사쿠라바 나나미, 그리고 사쿠마 타카시 역을 맡은 요코카와 타카히로 그리고 연출을 맡은 호소다 마모루 감독이 참여한 음성해설 트랙이 수록되어 있다. 조금 특이한 점이라면 이들 외에 음성해설을 진행하는 진행자가 따로 있다는 점인데, 일본 영화 타이틀의 경우 이런 경우가 간혹 있었던 것으로 기억한다. 음성해설은 ‘썸머 워즈 - 방과후 토크’라는 부제목으로 진행되는데, 영상을 보며 하나하나 코멘트를 하는 것은 물론 더빙 현장에서 있었던 뒷이야기도 만나볼 수 있다. 아무래도 혼자서 녹음하는 일반적인 방식과는 다르게 마치 라디오 생방송 녹음처럼 - 영화 ‘웰컴 미스터 맥도날드’의 경우를 떠올려보면 되겠다 - 여럿이서 함께 부스 안에 들어가 녹음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 경우라, 이에 따른 에피소드들을 만나볼 수 있다





2번째 디스크에는 일단 극장 예고편과 TV스팟 모음집을 만나볼 수 있는데, 거의 모든 버전의 예고편을 - 스팟, 특보 포함 -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한 번씩 가볍게 즐겨볼 필요가 있다.




‘캐스트 인터뷰’에서는 2009년 4월 15일부터 20일까지 실시했던 후시 녹음 중 진행 된 인터뷰 영상을 만나볼 수 있는데, 두 주연 배우를 비롯해 사카에 역의 후지 스미코, 카즈마 역의 타니무라 미츠키 그리고 와비스케 역의 사이토 아유무의 인터뷰가 수록되었다. 각각 이 작품에 참여하게 된 소감과 더불어 애니메이션 더빙 작업에 대한 느낌들과 자신이 맡은 캐릭터에 대한 짧은 감상을 들려준다.






’제작보고 무대인사 in 도쿄 신주쿠 발트9’은 2009년 7월7일 신주쿠 발트9에서 있었던 제작보고 무대인사 영상을 담고 있는데, 칠석이자 처음 선보이는 이 자리를 맞아 화려하게 진행된 이 무대인사를 통해 역시 작품에 임하게 된 소감과 에피소드 등의 대화가 오고 간다. 이 무대 인사에는 두 주연 배우와 감독 외에 일본의 베테랑 여배우이자 사카에의 목소리 연기를 맡은 후지 스미코도 참석하고 있어, 어린 배우들과 함께 하게 된 소감과 처음 애니메이션 더빙 작업에 참여하게 된 소감을 들려준다.




마지막으로 ‘호소다 마모루 감독 인터뷰 in 로카르노 국제영화제’에서는 2009년 8월 5일~15일에 스위스에서 개최된 로카르노 국제영화제에 참석하여 수상한 호소다 마모루 감독의 인터뷰를 수록하고 있다. 인터뷰의 전반부는 작품 자체에 대한 이야기보다는 해외 영화제에 참여하게 된 소감과 로카르노 영화제에 대한 소감과 현장의 분위기 등에 관한 이야기가 이어지고, 후반부에는 전작 ‘시달소’와의 공통점과 차이점 그리고 이 작품을 통해 전하려 했던 메시지가 무엇인지 좀 더 자세하게 들려준다.




[총평] 사실 ‘썸머 워즈’라는 단번에 알아차리기 어려운 약간 모호한 제목과 전작 ‘시간을 달리는 소녀’의 깊은 인상 때문에, 오히려 조금 관심에서 멀어질 뻔 했던 작품이 바로 ‘썸머 워즈’였다. 하지만 막상 뚜껑을 열고 보니 어떤 면에서는, 그리고 어떤 이들에게는 ‘시달소’보다도 더 오래 기억에 남고 아련함을 마음 깊이 전해줄 작품 또한 이 작품이 아닐까 싶다. ‘시달소’가 한 소녀의 생명력에 관한 이야기였다면 ‘썸머 워즈’는 한 가족에 대한 생명력에 관한 이야기라는 호소다 마모루 감독의 인터뷰를 마지막으로, 이 타이틀을 조심스럽게 추천하고 싶다.



글 | 아쉬타카 (www.realfolkblues.co.kr)



※ 주의 : 본 컨텐츠의 저작권은 'dvdprime.com'에 있으며 저작권자의 동의 없는 무단 전재나 재가공은 실정법에 의해 처벌 받을 수 있습니다. 단, 컨텐츠 중 캡쳐 이미지에 대한 권리는 해당 저작권사에게 있음을 알립니다.




언제부턴가 신촌 언저리에만 가도 반드시 가야할 곳이 되어버린 '북오프'에 어제도 예정없이 다녀오게 되었습니다(예정이 없었다는 건 들어가는 찰나까지도 '그냥 구경만 하자' 였다는 것이죠;). 진짜 구경만 하려고 갔던 북오프. 진짜 갈 때마다 신기한 저의 매의 눈은 어쩌면 그렇게 제가 좋아하는 작품들만 쏙쏙 골라내는지, 이번에도 몇몇 작품들을 쏙쏙. '카우보이 비밥 설정집'이나 '이누야샤 극장판 화보집' 등 찾고도 눈물을 머금고 선택하지 않은 아이템이 있는 반면, '바람의 검심' 올컬러 화보집 만큼은 그냥 올 수가 없더군요. 가격도 9,000원 정도 밖에 안하는 터라 바로 구입!




일단 표지 이미지부터 확 눈길을 끌었던 화보집은 아주 다양한 정보와 이미지들을 담고 있습니다. 위의 그림처럼 등장인물들의 관계도도 만나볼 수 있고.





캐릭터들의 목소리 연기를 맡은 성우분들의 '멀쩡한(?)' 모습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켄신을 본 분들이라면 화보집에 담긴 컷 하나하나를 그냥 넘기기 어려울 정도로, 올컬러라서인지 더더욱 몰입되고 추억되는 장면들이 가득했습니다.





화보집이 보면 볼 수록 마음에 드네요. 사실 몇년 간 잊고 있던 켄신이었는데 이 화보집을 보니 오랜만에 다시 보고 싶어지네요 ㅠ DVD출시 당시에도 한정판 구하기가 상당히 어려웠던 타이틀이었는데, 어디 중고라도 찾아봐야 겠어요 (아, 중고 찾기가 더 어려웠던 켄신이었지 ㅠㅠ)



* 본문에 사용된 이미지에 대한 권리는 제작사인 Nobuhiro Watsuki 1998 에 있습니다.


글 / 사진 아쉬타카 (www.realfolkblues.co.kr)





이누야샤 (犬夜叉, 2000~2010)
대단원의 막을 내리다

일본 애니메이션 '이누야샤 (犬夜叉)'가 지난 달 드디어 대단원의 막을 내렸다. 이누야샤를 방영 때 부터 바로 챙겨본 것은 아니었지만 그래도 이 작품과 함께한 시간은 어느덧 수년이 되었다. 물론 이 수년 가운데는 이누야샤 없는 기간이 제법 길었는데, 그렇기 때문에 사실 이렇게 제대로 된 마지막을 볼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를 하지 못했던 것도 있었다. 잘 아다시피 완결편 이전에 이누야샤의 마지막은 오랫동안 함께 해온 팬의 입장에서는 매우 힘빠지는 엔딩이었다. 무언가 아직 결말도 짓지 못한채 그저 '자, 이제부터 다시 시작이다!' 라고 하며 마무리해버리는 TV판의 엔딩은 '이걸 기다려 말어'를  고민하게 하는 동시에, 진짜 이렇게 끝나버리는가 하는 아쉬움이 컸었다. 물론 여기에는 애니메이션이 아닌 코믹스에 진행과도 연관이 있었던 듯 하지만, 개인적으로는 이누야샤를 오로지 애니메이션으로만 접해왔었기 때문에 이렇게 마무리 되어버리는 방식에는 더더욱 아쉬움이 많았었다. 그리고 나서 수년 뒤에 다시 시작된 '이누야샤 완결편'은 이번에는 제대로 완결을 내주려나보다 라는 기대에서 시작되었고, 빠른 전개와 마치 극장판과 같은 전개들로 그 대단원의 마지막을 장식했다.


(이누야샤 완결편과 마지막 회에 관한 스포일러가 있습니다)




사혼의 구슬과 함께 시작한 이야기는 결국 사혼의 구슬로 마무리 되었다. 사실 따지고 보면 이누야샤가 인간이 되길 소원으로 빈다거나 아니면 본래 계획대로 대요괴가 되도록 바란다건가 그렇지 않다면 카고메가 자신만의 소원을 빌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너무 단순했던 것 같다. 논리적으로 따져보면 저 중 하나를 택하는 결말은 뭘 택해도 좀 뻔할 수 있기에 어느 정도 예상된 결말이긴 했으나, 그 과정을 그린 방식은 역시나 절절했다. 애니메이션을 보면서 울컥하는 경우는 매우 잦은 편인데(본래 이런 식의 문장이라면 '별로 없는 편인데' 가 되어야 맞다만;;), 이누야샤 완결편의 경우 이야기가 마지막으로 치닫다 보니 이런 장면이 더 많았던 것 같다. 특히 카고메가 기쿄우에게 '내게도 이누야샤와의 소중한 추억이 있어'라는 식으로 감정이 폭발할 때는 마치 <에반게리온 : 파>의 신지의 그것처럼, 끓어오르는 무언가가 느껴져서 찡했었고, 카구라가 바람처럼 산화할 때도 정말 찡했다. 생각해보면 카구라는 참 묘한 캐릭터였다. 무언가 자신의 이야기를 본격적으로 풀어내지 못한 부분이 있음에도 그녀의 마지막이 왜 그렇게 슬펐는지 모르겠다.

결국 카고메는 이누야샤와 함께하는 것 대신 사혼의 구슬 자체가 사라지는 것을 소원으로 빌었고, 이것은 이누야샤가 소원을 빌지 않아도 함께 할 것이라는 굳은 믿음이 있기에 가능했다. 이것 외에 이누야샤는 동료, 즉 믿을 수 있는 자의 존재를 매우 중요하게 그리고 있다. 희망이 보일 것 같지 않은 암흑 속에서도 항상 동료가 반드시 구하러 올 것이라는 믿음, 그리고 내가 아니어도 동료가 나의 일을 이어갈 것이라는 믿음, 모든 것을 이룰 수 있는 사혼의 구슬이 없어도 원하는 바를 스스로의 힘으로 이뤄낼 수 있다는 믿음. 결국 믿음에 관한 이야기가 아니었나 싶다.




에필로그 격으로 소개한 이야기를 보면, 결국 카고메는 무녀의 옷 (기쿄우의 옷)을 입고 이누야샤 곁에 남기로 하였으며, 미륵과 산고는 결혼해서 무려 아이를 셋 씩이나 나아 기르는 모습이 연출되었고, 싯포는 여우요술시험 연습으로 승급을 노리고 있으며, 코하쿠는 토우토우사이에게 무기를 받아 퇴치사로서 수행을 떠났고, 한동안 모습을 볼 수 없었던 코우가는 아야메와 결혼을!! 그리고 가장 중요한 셋쇼마루는 카고메에게 '아주버님' 소리를 듣는 동시에 링과의 묘한 관계도 계속 이어가고 있는 것으로! 사실 원작 만화를 읽지 않은 입장으로서는 셋쇼마루와 링의 관계가 살짝 모호한 부분이 있었는데, 마지막 장면에 기모노를 또 선물했다는 대사를 보면 (물어보니 일본에서 기모노를 선물하는 경우는 정인에게 선물하는 경우라고 한다) 결국 링을 좋아하는 것으로 '확정' 되었다고 볼 수 있는데, 이미 이곳저곳 커뮤니티의 반응을 보면 '역시, 셋쇼마루는 아무리 폼을 잡아도 결국은 로리였다'로 결론지어지고 있는데, 셋쇼마루를 가끔씩 이누야샤보다 더 응원했던 나로서는 좀 실망인걸 ㅎ




최근 종영한 <추노>의 경우도 그랬지만, 악한 캐릭터에게 여지를 주는 경우는 이누야샤의 경우도 마찬가지였다. 이누야샤는 극 내내 이런 분위기를 내지는 않았었지만, 사실 그 태생을 살펴보자면 나라쿠의 목적이란 것은 단순히 기쿄우의 마음을 얻기 위한 것 정도였으며 그것이 나중에는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사혼의 구슬에 힘에 이끌려 오히려 조금 이용당한 부분도 있었기 때문이다. 완결판 마지막회와 그 전회의 나라쿠의 모습은 참 안스럽게까지 느껴지는 부분이었다. 카고메가 '결국 소원을 들어주지 않았구나'라는 말을 했을 때 주저하는 나라쿠의 모습이나, 마지막에 평온함과 구원을 얻게 되는 마지막은, 이누야샤 이야기의 종결 중 가장 인상적인 부분이라고 할 수 있겠다.




어쨋든 오랜 시간 함께 해왔던 이누야샤가 완결편을 끝으로 정말 대단원의 막을 내렸다. 최근 애니메이션은 짧은 경우가 많아 종영이 되더라도 이 정도의 아쉬움은 들지 않았었는데, 이누야샤는 워낙 오랜 시간을 함께 끌고 오다보니(분명 끌고 온 뉘앙스가 있다) 막상 끝난 뒤의 허전함이란 이루 말할 수가 없다. 그 동안 TV판은 물론이고 국내에 어렵게 어린이 영화제에서만 한정 개봉했던 '홍련의 봉래도'를 보려고 수많은 어린이 속에서 관람한 추억도 있고, 극장판 DVD들도 별로 좋지 않은 사양이지만 모두 소장하고 있기도 하고, 일본가서 작은 피규어도 사왔었고, 이누야샤 덕에 Do As Infinity도 더더욱 좋아지게 되었는데, 이런 여러가지를 안겨준 이누야샤가 진짜 끝나버렸다니 아쉬움 뿐이다.

그 동안 이누야샤와 함께 할 수 있었던 시간이 벌써 그리워진다~

1. 이누야샤의 수록곡들 중에서 가장 마음에 들었던 두 곡.



Do As Infinity - 深い森




Do As Infinity - 真実の詩

2. 그리고 지난해 일본에 가서 사왔던 이누야샤 피규어도 보너스로.



글 /  아쉬타카 (www.realfolkblues.co.kr)






이바라드 시간 - 이노우에 나오히사
마음을 정화하는 세계


이노우에 나오히사의 그림을 보게 된 것은 우연한 기회였다. 사실 첫 만남은 우연한 기회에 이뤄졌지만 지브리 스튜디오에 작품을 무엇보다 사랑하는 나로서는 이노우에의 작품을 언젠가는 만났을 터. 그 우연한 기회란, 지브리 관련 이야기를 듣던 중 누군가가 많은 영향을 준 그림 작품이 있다는 얘기를 했고, 바로 찾아서 이노우에의 그림을 보게 된 나는 그의 환상적이고도 고요한 세계관에 단숨에 빠져들게 되었다. '이바라드'란 현실과는 원근이 표현이 반대로 된 세계를 이야기하는데(고대 히랍의 공중도시 '라퓨타'로 연결되는 거리를 일컫기도 한다), 사실 이것만으로 '이바라드'의 세계를 설명하기는 매우 부족할 뿐더러, '이바라드 시간'은 이것과는 또 다른 확장된 세계라 볼 수 있겠다.



2007 INOUE Naohisa. Studio Ghibli. All rights reserved

그의 작품에 대한 갈증으로 애가 탈 때쯤 그의 그림과 지브리 스튜디오가 함께한 특별한 영상인 '이바라드 시간'이란 작품을 알게 되었고, 곧 이 작품이 블루레이로 출시되었다는 소식을 듣게 되었다(참고로 이 타이틀은 지브리 스튜디오 작품 가운데 블루레이로 출시된 최초의 작품이다). 국내 출시야 어차피 기대조차 하지 않았던 타이틀이지만 그리 만만치 않은 가격 탓에 쉽게 구매를 생각지 못하다가 지난 10월 도쿄 여행길에 아키하바라의 어느 가게에서 덥썩 집어들고야 말았다.

처음엔 이 작품에 대해 별다른 정보가 없었기 때문에 정확히 어떤 영상인지, 그러니까 예전 출시되었던 <이노센스의 정경>처럼 영상이 가미된 사운드트랙에 가까운 것인지 아니면 지브리에서 이노우에의 그림들을 배경으로 새로운 애니메이션을 만든 것인지, 이렇다할 정보가 없는 상태에서 '이바라드 시간'을 접하게 되었다.



2007 INOUE Naohisa. Studio Ghibli. All rights reserved

간단하게 '이바라드 시간'을 설명해보자면 기존 화가인 이노우에 나오히사가 그린 작품들에 지브리의 기술과 상상력이 더해져 움직이는 애니메이션으로 탄생한 작품이라고 볼 수 있겠다. 하지만 그렇다고해서 본격적인 애니메이션으로 볼 정도로 움직임이 많은 것은 아니다. 화면 상에 줌인과 아웃, 그리고 포커스의 이동이 주가 되고, 새롭게 추가된 캐릭터들이 움직임을 맡고 있다. 다시 말해서 애니메이션 적인 성격보다는 여전히 회화적인 느낌이 더욱 강한 작품이다.


스크린 샷 들을 통해 엿볼 수 있지만 이노우에 나오히사의 작품들은 상당히 화려한 파스텔 색감으로 이뤄진 상상력의 세계다. 하지만 이 판타지에 가까운 세계 속에는 '따듯함'을 베이스로 깔고 있는 것이 이노우에 작품의 특징이라 할 수 있겠다. 물론 파스텔 색감이 따듯한 느낌을 주는 부분도 분명히 있지만, 그가 창조해낸 세계는 현실에서 접할 수 없는 것들의 모습을 하고 있음에도 어딘가 모르게 아련함과 추억을 연상시키게 하는 매력이 있다. 뭐랄까, 분명 단 한 번도 가본 적이 없는 곳인데 작품을 보고 있노라면 나도 언젠가 한 번쯤은 거닐었던 추억이 연상될 듯한 느낌이랄까. 말로 표현하긴 어려운 부분이지만 이노우에 나오히사의 작품에는 분명 이런 독특한 감성이 있다.



2007 INOUE Naohisa. Studio Ghibli. All rights reserved

위의 스크린 샷을 보면 배경이 되는 그림과 움직이는 캐릭터 간의 작화 차이(혹은 뚜렷한 경계선)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얘기하고보면 이 차이가 이질감으로 바로 연결되는 것으로 생각될 수도 있는데, 그렇게 불편한 부분은 아니다. 기존 작화를 거의 건드리지 않는 수준에서 움직이는 애니메이션 작업을 진행하다보니 발생할 수 밖에는 없는 부분이라 여겨지는데, 여기서 느껴지는 약간의 이질감은 이노우에의 작품과 이 타이틀 '이바라드 시간'과의 가장 큰 차이점 중 하나이기도 하다. 지브리의 생각은 아마도 이랬던 것 같다. 보기만 해도 황홀한 이노우에의 작품 속에서 인물들이 뛰어놀면 어떨까. 저 신비스러워 보이는 집의 문이 열리고 그 안에서 사람이 나오면 어떨까. 저 아름다운 길을 전차가 지나가면 어떨까 식의 생각. '이바라드 시간'은 이런 식으로 진행이 되었고 멈춰 있던 풍경은 기존 애니메이션과는 또 다른 새로운 영상(혹은 정경)을 만들어냈다.



2007 INOUE Naohisa. Studio Ghibli. All rights reserved

(이 장면은 마치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에 등장하는 온천장 아래의 모습을 연상시킨다. 특히 열차가 터널 형식을 지나는 구조는 매우 닮아있다.)

2007 INOUE Naohisa. Studio Ghibli. All rights reserved

대원 C&A 홀딩스. Studio Ghibli. All rights reserved

(이 장면 역시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 중 한 장면이 떠오른다. 센이 가오나시와 함께 제니바를 찾아 떠나는 장면은 '센과 치히로'의 최고의 명장면 중 하나였는데, '이바라드 시간'에 등장하는 이 장면은 정류장도, 전차도 이를 떠올리게 한다. '마녀 배달부 키키'의 전차씬 역시 연상된다).

사실 이노우에 나오히사의 작품 '이바라드'가 더 많은 이들에게 (저를 포함한) 알려지게 된 가장 큰 이슈는, 콘도 요시후미 감독의 1995년작 '귀를 기울이면 (耳をすませば)'에 본격적으로 사용되면서 부터가 아닐까 싶다. '귀를 기울이면'의 후반부를 보면 극중 시즈쿠가 쓴 소설 속의 세계가 표현되는데, 이 부분을 이노우에 나오히사가 직접 맡아 기존 지브리 작품과는 다른 영상을 보여주면서 많은 팬들에게 관심을 끌게 되었다.




대원 C&A 홀딩스. Studio Ghibli. All rights reserved

(이노우에 나오히사가 맡은 '귀를 기울이면' 속 장면들)

 '귀를 기울이면' 속 이바라드의 세계는 소설 속 이야기라는 구조를 빌려 자연스럽게 극에 녹아들고 있는데, 확실히 '귀를 기울이면'의 전체적인 정서와 동 떨어져 있는 듯 하면서도 이 작품을 떠올려 보았을 때 그 정겨운 '컨트리 로드'와 함께 환상적인 이 세계는 두고두고 기억에 남게 되었다. '이바라드 시간'을 보고 나서 다시 한번 '귀를 기울이면'을 보게 된다면 아마 더 색다른 경험이 되지 않을까 싶다.


2007 INOUE Naohisa. Studio Ghibli. All rights reserved

대원 C&A 홀딩스. Studio Ghibli. All rights reserved

(위의 장면은 '하울의 움직이는 성'에서 하울이 처음 켈시퍼를 만나던 그 시퀀스(이건 하울을 통틀어 제가 가장 좋아하는 시퀀스죠 ㅠ)에 등장하는 하울의 집과 매우 닮아있다. 특히 넓은 들판에 집 한 채만 덩그러니 있는 모습이 더욱).

미야자키 하야오가 이노우에의 일러스트를 처음 보고 매우 감명을 받았다는 것은 널리 알려진 사실인데, 아예 본격적으로 그에게 맡겨버린 '귀를 기울이면'을 제외하더라도 그의 작품에서는 이노우에에게 영향을 받은 것으로 여겨지는 장면들을 여럿 발견할 수 있었다. 사실 이노우에의 작품을 보기 전에는 느끼지 못했던 부분들인데, '이바라드 시간'을 보고 있노라니 많은 장면에서 지브리의 장면들이 겹쳐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2007 INOUE Naohisa. Studio Ghibli. All rights reserved

Blu-ray Menu


2007 INOUE Naohisa. Studio Ghibli. All rights reserved

블루레이 메뉴 디자인은 기존 지브리 DVD 타이틀과 동일한 컨셉으로 구성되어 있다. 사실 지브리의 이런 구성이 조금 심심하게 느껴지는 것도 사실인데, 지금까지 계속 고수해온 만큼 통일성은 단번에 느낄 수 있다.




2007 INOUE Naohisa. Studio Ghibli. All rights reserved

Blu-ray : Picture Quality

MPEG-2 코덱의 1080p 풀HD 화질의 영상은 2007년 작임을 감안하다면 만족스러운 편이다. 사실 영상 자체가 그리 고화질을 요하는 스타일이 아니기 때문에 화질의 좋고 나쁨을 따져보는 것이 큰 의미가 없는 경우다. 영상이 주는 회화적인 느낌 때문에 블루레이의 칼 같은 화질의 장점을 잘 살리지 못하고 있기도 하지만, 그래도 애니메이션이라는 점은 분명 장점으로 작용한다. 특히 움직이는 애니메이션 캐릭터가 등장하는 장면에서는 좀 더 이 장점이 도드라지는 편이다. 너무 당연한 이야기지만 이 기회에 한 번 더 이야기해보자면, 아무리 블루레이의 장점을 잘 못살린다는 이야기를 덧붙이더라도 이건 '블루레이'다.



2007 INOUE Naohisa. Studio Ghibli. All rights reserved

Blu-ray : Sound Quality

일본어 LPCM 5.1과 2.0 채널을 지원하고 있는 블루레이의 사운드 역시 퀄리티 자체를 논하는 것이 큰 의미는 없겠다. 하지만 '이노센스의 정경'처럼 이 작품 역시 배경음악이 제법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고 있음을 감안한다면 돌비가 아닌 PCM 사운드로 전달되는 배경음악에 '귀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참고로 '이바라드 시간' 블루레이 타이틀은 본편 외에 한 장의 디스크가 더 들어 있는데, 다름 아닌 사운드트랙 CD다. '이바라드 시간'에 수록된 음악들은 물론 그 자체로도 괜찮은 음악들이지만 '이노센스의 정경'과는 달리 영상과 함께 하지 않았을 때의 매력은 분명히 떨어지는 편이다. 작품 자체가 고요하기는 하지만 어찌되었든 '판타지'이기 때문에, 이를 반영하고 있는 음악 역시 영상과 함께 감상하는 쪽이 훨씬 더 만족스러운 편이다.



2007 INOUE Naohisa. Studio Ghibli. All rights reserved

Blu-ray : Special Features

스페셜 피처는 초기 블루레이 타이틀이다보니 대부분 SD소스의 영상이 수록되었다. 그럼에도 반가운 건 음성해설 트랙이 무려 2개나 수록이 되었다는 점인데, 첫 번째는 감독인 이노우에 나오히사의 단독 코멘터리가 담겨있고 두 번째는 이노우에와 더불어 CG작업을 맡은 지브리의 스텝이 참여하고 있다 (물론 우리말 자막은 지원되지 않는다). 주변에 도움을 받아 두 음성해설의 대략적인 내용을 확인한 결과, 이노우에의 단독 코멘터리는 '이바라드'에 관한 기초적인 내용들부터 시작해 어떻게 이런 작품들을 만들게 되었는지에 대한 총체적인 이야기를 들려주고, 두 번째 트랙에서는 좀 더 지브리와 함께한 '이바라드 시간'에 대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다. 일본어가 가능한 이들에게는 두 트랙이 담긴 음성해설이 반갑지 않을 수 없겠다.



2007 INOUE Naohisa. Studio Ghibli. All rights reserved

메이킹 영상에서는 이노우에 감독이 지브리 스튜디오를 방문하여 자신의 작품을 애니메이션 '이바라드 시간'으로 완성시키는 과정이 담겨있는데, 단순히 원작자로서 혹은 연출자로서 참여하는 것 뿐만 아니라 간단한 음향효과 작업에까지 직접 나서는 모습이 인상적이었다.



2007 INOUE Naohisa. Studio Ghibli. All rights reserved

그리고 그가 그의 작품 전시회와 함께 연주회를 함께 연 장면도 엿볼 수 있었는데, 조그마한 전시회에 팬들을 옹기종기 모아놓고 자신의 작품과 더불어 직접 연주하는 음악을 들려주는 모습에서 (앞서 음향효과를 내는 장면을 더해), 참 재주 많고 의외로 열정적인 인물로 느껴졌다.



2007 INOUE Naohisa. Studio Ghibli. All rights reserved

'이라바드 시간'은 지브리에서 발매된 타이틀이라는 사실만으로 구매하기에는 조금 무리가 있는 타이틀일듯 싶다. 지브리 스튜디오에서 만들고 출시하기는 했지만, 어디까지나 '이바라드 시간'은 지브리 보다는 이노우에 나오히사의 작품이기 때문이다. 평소 그의 작품에 관심이 있었던 이들이라면 그의 작품을 멋진 음악과 함께 블루레이로 소장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고, 지브리의 팬들이라면 미야자키 하야오와 지브리 작품 세계에 영향을 준 작품을 슬쩍 엿볼 수 있다는 점에서 추천할 만한 타이틀이 아닐까 싶다. 30분 분량의 길지 않은 러닝타임은 가끔씩 마음이 복잡할 때, 정화용으로 탁월한 선택이 될 것 같다.




글 / 아쉬타카 (www.realfolkblues.co.kr)


본문에 사용된 모든 블루레이/DVD캡쳐 이미지는 인용의 목적으로만 사용되었으며,
모든 이미지의 권리는 2007 INOUE Naohisa. Studio Ghibli/대원 C&A 홀딩스에 있습니다.





[추가 스크린샷]






2007 INOUE Naohisa. Studio Ghibli. All rights reserved



에반게리온 : 파 (破) (Evangelion: 2.0 You Can (Not) Advance, 2009)
전율의 미완성


아....에반게리온.
일찍이 TV시리즈는 남들보다 조금 늦게 접한 탓에 오히려 더 열심히 그리고 깊이 빠져들어, 그 속에 담겨 있는 안노 히데아키의 그 수많은 떡밥들을 죄다 물어늘어지며 인류보완계획에 대해 알아내려 했었고, 극중 신지의 절규와 해체로 이어지는 갈등과 고민은 나로 하여금 '그래 누구나 이런 고민들은 가슴 속에 하나씩 안고 있는 거였어'라며 그 심오함에 찌질함을 더해 신지의 독백, 나아가 레이와 아스카, 미사토의 독백에 이르기까지 모두 120% 흠뻑 받아들인 나머지 어느 덧 <에반게리온>이란 작품은 수많은 명작들이 존재하는 아니메들 사이에서도 독보적인 존재로 받아들여지게 되었다. 안노 히데아키의 <에반게리온>은 비단 위와 같은 내 경우가 아니더라도, 오타쿠와 일반인을 나누는 척도로 사용될 만큼 하나의 커다란 센세이션을 일으켰으며, 최근들어 미드에서 주로 자주 언급되곤 하는 '떡밥'이란 것에 대표적인 케이스인 동시에 작품 그 이상의 토론과 해석을 자아낸 일종의 '퍼스트 임팩트(First Impact)'였다하겠다.

수 많은 화제를 불러 왔던 TV시리즈와 이를 보완하려 등장한 두 편의 극장판 <앤드 오브 에반게리온 (The End of Evangelion, 1997)>와 <데스 앤 리버스 (Death & Rebirth, 1997)>가 공개된지 10년 만에 새롭게 공개된 <에반게리온 : 서 (序)>는 기존 TV시리즈의 줄거리를 그대로 따라가 되 디자인 적인 측면이나 기술적인 면에서 많은 부분 보강된 '리빌드(Rebuild)'의 개념이었다. <서>는 TV시리즈를 충실히 즐기지 않은 처음 접하는 이들에게도 크게 부담감을 주지 않을 정도로 극의 흐름이나 캐릭터의 설명이나, 새로운 하나의 시작으로 손색이 없는 작품이었다. 기존 TV시리즈의 이야기를 압축하되 장면은 더욱 극장판스러워졌고, 이야기의 흐름은 더욱 매끄러워진 편이었다. 이런 <서>는 이렇듯 새롭게 시작하는 극장판 시리즈의 첫 번째 작품으로서 괜찮은 스타트로 여겨지기도 했지만, 다른 한편으론 새롭게 선보일 극장판 시리즈가 그저 기존 TV판을 보완하고 다듬는 정도의 작업이 되는건 아닐까 하는 우려를 낳기도 했다(물론 그렇다고 '서'가 그저 리빌드만 한 것은 아니었다. 에바의 팬들이라면 무언가 이상 징후를 느낄 만한 몇가지 장면들이 존재했다).



GAINAX. All rights reserved

그렇기 때문에 두 번째 극장판 <파>를 기다리는 마음은 오히려 담담했었다. 시간상으로 <서>이후의 TV시리즈 이야기를 떠올리면서 어떻게 그려질까를 슬쩍 예상하며 감상하기만 하면 되었었기 때문이다(물론 여기에는 '루프설'이라는 강력한 떡밥이 있다!!!). 그런데 <파>는 시작부터 이런 예상을 완전히 뒤엎어 버린다. 새로운 캐릭터 '마리'의 등장 씬부터 무언가 이상한 점이 감지된다. 그것은 단순히 마리라는 정체 모를 캐릭터 때문도 그녀가 입고 있는 새로운 디자인의 플러그 슈트 때문만은 아닐 것이다. <파>의 대부분의 장면은 분명 에바 팬들이 기존에 보았었던 장면이지만, 동시에 전혀 새로운 장면이기도 한데, 이것이 이번 극장판의 가장 큰 장점이자 흥미로운 점이다.

<서>가 기존 줄거리를 보완하고 다듬는 리빌드였다면 <파>는 마치 타임머신이 등장하는 <백 투더 퓨처>의 지워지는 마티의 사진마냥, 존재하는 과거가 지워지고 새로 쓰여지는 느낌이다. 이런 징조는 아스카의 첫 등장 시퀀스의 다른 구성부터 시작하여, 신지의 나체를 교묘하게 가리는 코믹 씬을 더욱 코믹하게 아스카로 바꾸어 보여주는 것에서 본격적으로 드러낸다. 이 장면을 처음 보았을 때는 그 속타는 빨대의 몹쓸 위치 때문에 재미있기도 하지만 한편으론 '어랏, 이것보게, 무언가 계속 바뀌기 시작하잖아' 라는 생각을 들게 한다. 그 이후로 이런 장면들은 예고도 없이 쉴세 없이 등장한다. 분명 센트럴 도그마에 있어야할 롱기누스의 창은 달 표면 위 우주에 고이 싸서 모셔져 있으며, 플러그 슈트를 입고 있는 카오루는 이카리와 조우하여 '아버지'라고 부르질 않나, 카지가 가져온 가방 속엔 아담 대신 '느부갓네살의 열쇠'라는 것이 들어있고 사도의 모습들도 처음 보는 낯선 모습들이다.

<에반게리온 : 파>가 <서>와는 달리 기존 TV시리즈를 보지 않은 이들에게 더 높은 싱크로율을 허락하지 않는 것은 바로 여기에 있다. 기존 내용에 익숙한 팬들이라면 위와 같은 바뀐 장면들에서 이상함과 의아함을 느낄 수 있지만, <서>를 보고 바로 <파>를 감상한 이들이라면 이런 장면들이 어색하게 느껴질리 없기 때문이다. <파>는 철저히 에바 팬들을 위한 작품이다. 에바 TV시리즈와 극장판들을 모두 섭렵한 이들에게만 허락한 세계랄까. 그렇기 때문에 이 작품 관람 전에는 반드시 TV시리즈를 봐야만 한다. 그래서 무엇이 바뀌었는지를 확인해야만 '왜?'라는 물음을 던질 수 있고, 그 '왜?'라는 물음이 <파>를 넘어서서 다음 극장판에서 어떤 대답으로 돌아올지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GAINAX. All rights reserved

(이후부터는 내용에 대한 스포일러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 작품에서 팬들을 궁금케한 떡밥들을 분석하자면 사실 보통일이 아닌데, 영화를 처음 다 보고 난 첫 느낌은 '아, 이거 내가 만만히 다룰 수 있는 정도의 것이 아니구나'하는 것이었다. 예전에 써두었던 에바 관련 시리즈 글들이 갑자기 초라하게 느껴질 만큼, 아니 어쩌면 전부 틀린 말이 될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 정도로 이번 <파>의 충격은 대단했다. 영화가 다 끝나고 자리에서 쉽게 일어나지 못한 것은 정말로 일어나기 힘들 정도로 영화를 보는 내내 온몸에 힘을 쏟은 탓이었다. 아, 떡밥 얘기를 하려다가 말았는데, 그리하여 떡밥 이야기를 지금 이 시점에서 하는 것은 개인적으로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게 되었다(아, 그렇다고 해서 떡밥을 열심히 분석하신 분들의 글들을 부정하는 것은 아니에요. 그런 분석 글들이 저를 또 한 걸음 에바의 세계로 다가서게 하니까요 ^^;).

사실 팬들이 <에반게리온>에 열광하는 이유에는 여러가지가 있는데, 앞서 여러 번 언급한 이른바 '떡밥'에 관한 흥미가 그 대표적인 이유 중 하나일 것이고, 메카닉에 열광하는 것도 있을 것이며 아스카나 레이, 미사토 등 여성 캐릭터들에게서 느껴지는 강한 매력과 애착도 있을 것이다(다음 극장판인 'Q'의 예고편이 극장에 공개되었을 때 애꾸눈이 된 아스카를 바라보며 항의 섞인 탄성을 내뱉던 아스카 팬들의 마음을 해아려보라!). 이것들 외에 (혹은 보다도) 개인적으로 에반게리온에 흠뻑 빠지게 된 이유는 캐릭터들이 독백으로 풀어내는 수 많은 고민들과 관계 맺음의 어려움에서 오는 갈등에 있었다. 예전 이카리 신지의 관한 글에도 썼던 표현이지만, 신지의 독백은 곧 에반게리온의 주제라고 봐야할 정도로 핵심적인 내용이라고 할 수 있는데, 많은 이들이 이를 두고 '찌질하다'라고 하지만 개인적으로는 사실 이런 신지를 보고 단 한번도 진심으로 찌질하다고 생각해 본 적이 없었다(내가 찌질해서인가 -_-;;). 신지의 독백은 당시 내가 겪던 고민들과 상황은 같지 않지만 충분히 진심으로 공감할 수 있는 것으로서, 나 또한 쉽게 이겨내지 못했던 것들과 싸우는 과정이었기 때문이었다.


GAINAX. All rights reserved

<파>가 파괴하고 건축하는 것은 비단 사도와 에바, 제3동경시 만은 아닐 것이다. 기존의 신지, 기존의 레이에서는 찾아볼 수 없었던 모습을 매우 자주 발견할 수 있는데 그것은 바로 '적극성'이다. 먼저 레이의 변화는 놀라움을 넘어서 어색하기까지 할 정도다. 시리즈를 통틀어 딱 한 번 웃었나? 싶을 정도로 표현에 인색했던 레이는, 이번 작품에서는 자신의 마음을 수줍게 표현하는 것은 물론 그 감정을 신지에게 전하기 위해 굉장히 적극적인 행동들마저 보여주게 되는데, 사실 이런 레이의 변화는 기존 TV시리즈의 팬들이라면 쉽게 받아들이기 어려울 정도다(기존 팬들의 반응은 극중 토우지의 대사인 '저 레이가 인사를 했어'와 딱 맞아 떨어진다고 할 수 있겠다). 레이가 변하면서 아스카 마저 캐릭터에 많은 변화를 가져오게 됬다. 레이가 신지에게 자신의 마음을 적극적으로(이건 분명 적극적이다) 표현하게 되면서 은근히 신지에게 마음이 있었던 아스카 역시 레이에게 지지 않기 위해 일부러라도 자신을 표현하게 되어버린다(신지에게 줄 도시락을 요리하며 다친 손가락의 반창고 숫자에서 레이에게 뒤진 아스카의 심정은 사도를 혼자 무찌르지 못한 것과 거의 동일한 것일거다).

신지의 변화 역시 여러 장면에서 확인할 수 있다. 레이에게 직접 도시락을 싸주거나 된장국을 건내는 것도 그렇고, 아스카가 밤중에 불쑥 자신의 방에 들어와 옆에 등을 맞대고 누웠을 때에도, 놀라기는 하지만 예전보다는 훨씬 자신을 컨트롤 하는 모습이다(TV판에서 신지가 비슷한 장면에서 자신을 이보다 컨트롤 하지 못한 건 다들 잘 아실듯 ;;). 이런 것들 외에도 신지의 목소리에는 확실히 힘이 실렸다. 네르프를 떠나기로 결정한 뒤 이카리와 대화를 나누는 장면에서도, 기존에는 그저 피곤하고 비꼬는 듯한 뉘앙스가 더 컸었다면, 이번에는 비꼬는 투는 여전하지만 분명 자신의 의지를 좀 더 확고히 밝히는, 목소리에 힘이 제대로 담겨있었다. 이런 신지의 작다면 작다고 할 수 있는 변화들을 간과할 수 없는 것은, 이렇게 신지가 흔히 말하는 '찌질 신지'를 벗어나 각성하면서 <에반게리온 : 파>의 주제가 본격적으로 드러났다고 볼 수 있기 때문이다.


GAINAX. All rights reserved

TV판 인트로에 항상 귀를 즐겁게 해주던 삽입곡을 기억할 것이다. '잔혹한 천사의 테제 (残酷な天使のテーゼ )'의 주제는 역시 '소년이여 신화가 되어라'였다고 할 수 있는데, TV시리즈를 감싸고 있는 전체적인 분위기는 '신화가 되어라'라기 보다는 그 이전에 '너 스스로를 너무 미워하지 마라' '너는 칭찬 받아 마땅한 존재야'라는 위로와 토닥임에 가까운 것이었다. 하지만 이 작품 <파>는 분명히 '신화가 되어라'라고 이야기하고 있다. 폭주를 넘어서서 인간의 한계를 넘어서려는 신지를 바라보며 미사토는 '그래, 신지 나아가라! 네가 원하는 대로 해'라는 식으로 이야기한다. 기존의 신지였다면 이 같은 상황에서 신화가 되기 보다는 그저 잠식되어버릴 확률이 높지만 <파>에서의 신지는 그야말로 신화다.

이번 작품이 그 어느 영화보다 절절하고 온몸에 힘을 쏟아 내게 만들었던 것은 바로 신지의 절실함 때문이었다. 신지가 사도에게 흡수되어버린 레이를 구해내려 인간의 한계를 넘나들며 사투를 벌이는 장면에서는, 신지의 절실함에 눈물마저 주르륵 흐를 정도였다(작품이 끝나고 쉽사리 자리에서 일어나지 못한 가장 큰 이유도, 이 장면에서 신지와 함께 거의 동일한 에너지를 극장에서 써버렸기 때문이었다;;). 당연하지만 여기서 신지가 레이를 이렇게까지 구해내려고 하는 것은, 단순히 레이라는 존재를 좋아해서도 아니고, 레이에게서 어머니가 느껴져서만도 아니다. 이것은 대상이 레이여서인 동시에 무엇보다 (진부하지만) 나 자신과의 싸움이기 때문이다. 신지가 여기서 레이를 그냥 놓아주게 된다면 신지는 또 다시 기존의 신지로 남게 된다.

이것은 TV판의 마지막에 모두에게 둘러쌓여 박수를 받으며 축하 받던 신지와는 또 다르다. 그 신지는 자신 내면의 고민과 갈등을 주변 사람들의 위로를 통해 내면에서 극복해낸 경우였다면, 이번 신지는 스스로의 의지에 의해 스스로가 하고 싶은 것을 능동적으로 이뤄내는 새로운 신지이기 때문이다. 이번 극장판을 본 이들이라면 누구도 신지를 더 이상 찌질하다고 말할 수 없을 것이다. 그 어떤 영화의 주인공이 이런 절절한 절실함이 보여준 적이 있는가를 생각해 본다면 말이다.


GAINAX. All rights reserved

이런 연장선 상에서 보았을 때 단지 버전을 어쿠스틱으로 달리하여 다시 한번 엔딩곡으로 등장한 우타다 히카루의 'Beautiful World'는 <서>에서와는 달리 상당히 인상적으로 다가왔다. 이 곡의 가사를 보자면 앞서 언급한 미사토의 그 외침과 동일한 성격을 띄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서>의 엔딩에서는 그저 '자신의 아름다움을 모르는거니?'라는 가사만이 와닿았었는데, 이번 <파>의 엔딩에서는 이보다는 오히려 '나의 세계가 끝날 때까지 만날 수 없다면, 너의 곁에 잠들게 해줘, 어디라도 상관없어'라는 가사가 더욱 와닿는다. 전자가 신지의 주변에서 신지에게 해주고 싶은 말이라면 후자는, 신지 자신이 본인에게 하고 있는 다짐에 가깝다. 극의 후반에 정말 치열하게 자신을 표현한 신지에게 너무나도 동화되었던 탓인지, 엔딩 크래딧에서 흐르던 'Beautiful World'의 가사 한 소절, 한 소절은 정말 절실하게 다가왔다.

음악 얘기가 나온 김에 이번 작품에 쓰인 음악에 대한 이야기를 조금만 해보자면, 사실 조금은 만족스럽지 못한 부분이 있었다. <파>에 쓰인 음악의 포인트라면 가장 강렬한 순간에 가장 반대되는 서정적인 음악을 배치함으로서 오히려 장면의 파급력을 극대화시키려던 것이었는데, 이런 안노의 의도는 100% 이해되었지만 그 이질감이 조금은 지나친 감도 없지 않았다. 물론 후반부로 갈수록 그 이질감은 덜해져 '날개를 주세요 (
翼をください)'가 나올 때에는 완벽히 동화될 수 있었다. 하지만 서두의 동요에 가까운 음악이 사용된 것은 좋은 점도 있지만 한편으론 반비례가 아닌 비례하는 음악이 사용되었더라도 더 좋지 않았을까 하는 아쉬움도 남겼다(에바의 음악 얘기가 나올 때마다 하는 이야기지만 언젠가는 에바 팬들만이 모인 프리미엄 시사회 같은 곳에서, TV판의 오프닝인 '잔혹한 천사의 테제'를 다같이 합창하는 순간을 꿈꿔본다 ㅎ).


GAINAX. All rights reserved

다시 맨 처음으로 돌아가서, 사실 <에반게리온 : 파>를 처음 보았을 때 '과연 내가 이 영화에 대한 글을 내가 만족할 수 있는 만큼 쓸 수 있을까'라는 생각과 '어떤 의미가 있을까'라고 생각하게 된 이유는 이 작품이 아직은 하려는 이야기를 다 꺼내어 놓지 조차 않은 '미완성' 작품이기 때문이었다. 신 극장판에서는 등장하지 않을 수도 있지만 어쨋든 미사토의 이야기, 그리고 신지와의 관계에 대한 이야기는 아직 시작도 하지 않았고, 마기와 리츠코의 이야기, 이카리 사령관과 유이의 이야기, 아스카의 개인적인 이야기 등은 아직 제대로 설을 풀지도 않았다. 그리고 에바 최고의 떡밥 캐릭터(아니 아니메 최고의 떡밥 캐릭터)라고 할 수 있을 카오루는 이번 <파>에도 무언가 보여줄 듯 했지만 그 이야기를 'Q'로 미뤄둔 상태이다.

<파>는 이야기의 임팩트만 보자면 거의 보통 시리즈 물의 마지막 작품이라고 해도 좋을 만큼 가공할 만한 먹먹함과 무력함을 안겨준다(글 속에서 여러번 언급한 듯 하지만 굳이 한 번 더 언급하고 싶을 정도로, Q의 예고편까지 감상하고 난 다음의 몸상태는 정말 '무력함' 그 자체였다). 그런데 새삼스럽지만 이 작품은 시리즈의 두 번째 작품일 뿐(?)이다. 과연 나머지 시리즈에서는 어떤 얘기를 또 어떻게 풀어가려고 <파>에서 이미 이런 무력함을 주는지 걱정이 될 정도다. 과연 이 이야기가 완전하게 종결이 될지도 의문이다. 또 다른 숙제만을 남긴 채 떠나려는 것은 아닌지 모르겠다. 그런데 지금 시점에서 이런 고민은 사실 하나도 중요스런 것이 아닐 것이다. 우린 그저 안노 히데아키가 앞으로도 더 선사할 이 시대 최고의 이야기와 세계관에 그저 빠져들기만 하면 된다. 기다림은 그 어느 때보다 고되겠지만, 어쩌면 아니 반드시 훗날 내 아이들에게 '난 에반게리온 극장판을 모두 극장에서 보았단다'하며 자랑하게 될터이니 이 정도는 기다려야 하지 않을까.



GAINAX. All rights reserved


1. 예전엔 에바 관련 글엔 예전에 써두었던 관련 글들을 링크 걸었었는데 이젠 부끄러워서 못 걸겠네요 ^^;
그나마 함께 소개할 수 있는 글이라면 신지에 관한 글 정도일듯 (http://www.realfolkblues.co.kr/48)
2. <파>에 등장한 이야기를 가지고 TV판과 비교를 해본다던가 다음 극장판을 유추해 보는 것은 아마도 <파> DVD나 블루레이를 보고나서야 가능할 것 같네요;;
3. 사실 개인적으로 수록곡을 블로그 주소로 사용했을 만큼 <카우보이 비밥>을 에바와 거의 동급으로 좋아했었는데, 이미 <파>로서 정해졌네요. 에바가 진리입니다 --v
4. 보통은 오타쿠가 아니라고 하려는 것이 보통인데 (오해가 있을실지 몰라 말씀드리자면 전 오타쿠라는 단어에 반감은 커녕 좋아하는 것에 몰두하는 자라는 점에서 호감을 갖고 있는 편입니다), 에반게리온은 없는 오덕력을 죄다 모아서라도 '나 오타쿠야!'라고 외치고 싶은 작품입니다 ㅠ
5. 과연 이 이야기는 어떻게 끝이 날까요. 신지는 또 다시 박수를 받게 될까요. 아니면 박수는 이미 중요하지 않은 것이 되어버린 뒤일까요.



글 / 아쉬타카 (www.realfolkblues.co.kr)


본문에 사용된 모든 스틸컷/포스터 이미지는 인용의 목적으로만 사용되었으며,
모든 이미지의 권리는 GAINAX에 있습니다.




ⓒ Pixar Animation Studios. All rights reserved


업 (Up, Digital 3D, 2009)
놓아주어야 하는 것들에 대한 배려깊은 이야기


아..픽사 (Pixar). 이젠 굳이 이 애니메이션 스튜디오에 대한 구구절절 설명을 더하지 않아도 <니모를 찾아서> <월-E> <라따뚜이> 등 작품 이름만 대면 깔끔하게 정리될 정도로, 픽사라는 이름의 애니메이션 스튜디오가 거둔 대중적, 예술적 가치는 실로 대단하다고 감히 이야기 할 수 있겠다. 그 렇기 때문에 최대한 서론을 줄이고 바로 본론으로 들어가자면, 픽사의 2009년 신작 <업>은 그런 의미에서 상당한 기대감을 갖을 수 밖에는 없었던 작품이었다. 이미 <월-E>를 통해 애니메이션으로서 아카데미 작품상을 넘볼 정도의 작품성을 보여주었던 그들의 신작이라 이보다 더 재미있는 작품이 나올 수 있을까 하는 걱정이 앞선던 것도 사실이었는데, 역시 이런 점은 불필요한 기우에 불과했다(그렇다고 <업>이 반드시 <월-E>를 비롯한 픽사의 전작들 보다 훨씬 재미있다는 것은 아니다). <월-E>의 오리지널 스토리를 집필하고 <몬스터 주식회사>를 연출하기도 했던 피트 닥터 감독은 마치 이누도 잇신 감독이 생활 속 평범한 것들로 부터 진리와 따듯함을 이끌어내는 것처럼, 여러 영화들을 통해 굉장히 익숙해진 클리셰들을 담고 있음에도 또 한 번의 감동과 또 한 번의 깨달음을 전달해주는 놀라운 결과물을 선보였다. 역시 누군가의 말처럼, '픽사는 항상 옳아요' 인 것일까? ^^


(이후부터는 영화에 대한 스포일러가 있습니다. 원치 않는 분들께서는 참고해주세요~)


ⓒ Pixar Animation Studios. All rights reserved


사실 영화 초반 5분여, 그러니까 주인공인 칼 프레드릭슨이 홀로되기 전까지의 이야기 전개는 조금은 의외였다. 의외라는 것은 전개가 갑작스러워서라기 보단, 과연 이런 어른 취향의 이야기를 아이들이 따라올 수 있을까 하는 점 때문이었는데, 실제로 극장 내에서 이 부분이 마무리 될 때까지는 극장내 아이들이 모두 숨죽이듯 조용했던 것 같다. 모험을 꿈꾸는 칼이라는 소년이 엘리라는 소녀를 만나 결혼하고 삶의 행복과 아픔을 모두 함께 겪고 결국 엘리가 먼저 세상을 떠나게 되는 이 오프닝 시퀀스는 굉장히 짧고 빠른 전개였음에도 불구하고 너무 슬퍼서 견디기 어려울 정도였다. 특히 이상하게 처음 관람했을 때보다 내용을 이미 다 알고 본 두 번째 관람시에 더 눈물을 참기 어려웠는데, 단 5분 간의 오프닝 시퀀스 만으로 '칼'이라는 주인공에게 공감하도록 만드는 이 작품의 위력은 정말 당하고도 믿기 어려울 정도다.

이 오프닝 시퀀스가 끝나고 영화는 홀로 남은 칼을 조명한다. 모든 것을 함께 했던 그 집에 이제는 홀로 앉아 밥을 먹고 차를 마시고, 유리창을 닦는 칼의 모습은 그가 얼마나 엘리의 빈자리를 크게 느끼고 있는지 단숨에 알 수 있게 해준다. 나중에 다시 언급하겠지만 칼에게 이 집의 의미는 단순히 엘리와 함께 한 인생이 담긴 것이 아니라 '엘리' 그 자체라고 할 수 있기 때문에 고집을 부려가며 이 집을 지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던 칼은 점점 이 집을 지키려는 자신의 행동에서 집착을 발견하는 동시에 현실적인 어려움 역시 인정하고서는, 예전부터 엘리와 함께 떠나기로 했지만 여러가지 이유들로 실행에 옮기지 못했던 남미의 '파라다이스 폭포'로 엘리(=집)와 함께 떠나기로 맘을 먹는다.



ⓒ Pixar Animation Studios. All rights reserved


얼핏보면 이 여정의 의미가 단순히 엘리가 평생 이루지 못한 꿈을 이제라도 이루어줘야겠다 라는 결심만으로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분명 이 여정에는 이것 이상의 결심이 포함되어 있다. 앞서 얘기했던 것처럼 칼은 더 이상 엘리 없는 삶과 엘리의 분신과도 같은 이 집을 현실로부터 지킬 수 없음을 인정하고는, 엘리와 함께 꿈꾸던 파라다이스 폭포로의 여정을 자신의 삶의 '마지막'으로 삼고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해 칼은 파라다이스 폭포로 가서 엘리와 함께 하려고(삶의 마지막을 맞으려고) 이 여정을 결심하게 되었다는 말이다. 그런데 이 마지막 여정에 '러셀'이라는 소년이 불쑥 끼어들게 되면서 이야기의 양상은 180도 틀려지게, 아니 칼의 계획은 전혀 다른 방향으로 전개되게 된다.

칼이 러셀에게 그리 따듯하게 대하지 않는 것은 물론 러셀이 필요 이상으로 성가시기 때문이기도 하지만(ㅎ), 반드시 그것 때문만이라고 보긴 어려울 듯 하다. 앞서 이야기 한 것처럼 칼은 이 여정을 '마지막'으로 여기고 있기 때문에 더이상의 새로운 인연을 만들기를 애써 거부하고 있는 것이며 이는 이후 등장하는 강아지 '더그' 역시 마찬가지다. 하지만 칼이 본래 계획했던 것과는 달리 파라다이스 폭포의 반대 쪽에 불시착하는 바람에, 칼은 어쩔 수 없이 러셀과 동행하게 되고 러셀로 인해 도요새 '케빈'과 말하는 강아지 '더그'와도 일행을 이루게 된다. 칼이라는 캐릭터를 떠올려보았을 때 이렇게 둘 이상의 누군가와 일행을 이루게 된다는 점 역시 큰 변화라고 할 수 있을텐데, 평소 내성적이고 말하는 걸 좋아하지 않는 칼의 성격을 미뤄봤을 때(이런 말 없는 성격은 집안 내력임을 그의 결혼식 장면에서 알 수 있다), 칼에게 엘리는 전부였고 그 외에 인간관계는 그리 많지 않았을 것이라는걸 조심스레 예측할 수 있다. 서로에게 서로 밖에는 없었던 칼과 엘리의 관계는 엘리가 먼저 이별을 고하게 되면서 칼은 혼자 남는 방법을 배우지도 못한채 홀로 남게 되어버린 것이다. 칼이 지속적으로 무리를 짓게 되는 것을 거부하는 이유는 바로 이런 익숙하지 않은 불편함과 앞서 언급한 '마지막'의 의미가 더해진 것이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 Pixar Animation Studios. All rights reserved


그런데 이 '러셀'이라는 캐릭터가 '칼'이라는 캐릭터의 들러리를 서기 위해 등장한 캐릭터라고는 볼 수 없는 것이, 중간중간 언급되지만 러셀에게는 불우한 가정 환경이라는 아픔이 있다. 러셀은 시간이 날 때마다 칼에게 자신이 아버지와 함께 했던 일들, 아버지가 해주었던 것들을 이야기하는데, 나중에 '그냥 그 때가 좋았던 것 같아요'라고 우울하게 추억하는 걸 보면 현재는 아버지가 없다는 것을 눈치챌 수 있다(마지막 우수대원으로 표창을 받는 자리에 보면 결국 새엄마 만이 자리를 지키고 있는 것을 통해서도 알 수 있다). 러셀이 그렇게 우수 대원으로 인정받기 위해 버튼을 모으는데에 목숨을 거는 것은 이런 불우한 가정환경을 극복하기 위한 대견한 (하지만 한편으론 안타까운) 행동으로 볼 수도 있을 것이다. 칼 역시 처음에는 그냥 성가신 꼬마로만 알았지만 러셀의 이야기를 조금씩 듣게 되면서 가슴 한 켠에서 안타까운 마음을 키워가게 된다.

처음에는 <월-E>가 그랬던 것처럼 칼과 엘리의 러브스토리에 촛점이 맞춰져 있는 것은 아닐까도 했었는데, 보면 볼 수록 이 영화의 주된 주제는, 가슴 한 켠에 자리 잡고 있지만 결국은 놓아주어야 할 것들을 떠나보내는 것에 대해, 아주 배려깊게 다루고 있는 이야기임을 느끼게 된다. 여기서 이 '놓아준다'라는 개념은 분명 '버린다'라는 것과는 큰 차이가 있다. '버린다'는 것은 필요 없는 것이나 짐이 되는 것을 떨쳐내는 것이 되겠지만, '놓아준다'라는 것은 이성적으로는 이해하지만 가슴으로는 쉽게 인정하지 못하는 것들에서 자유로워지는 것이랄까, 좀 더 감정적인 개념이라고 할 수 있을텐데, <업>은 바로 이런 '놓아준다'라는 개념에 대한 배려 깊은 이야기다.



ⓒ Pixar Animation Studios. All rights reserved


칼에게 놓아주어야 할 대상은 당연히 엘리다. 영화 속에서 칼과 엘리의 관계는 매우 짧게 묘사되지만 칼이 먼저 간 엘리에게 못해준 것이 많다고 후회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가장 가고 싶어했던 파라다이스 폭포로의 여행을 결국 가지 못했던 점은 칼에게 평생 후회로 남는 일이었는데, 그렇기 때문에 칼은 중간 중간 이 여정을 잠시 멈춰야만 할 일이 발생했을 때 쉽게 이를 택하지 못한다. 칼은 잠시 러셀과 일행들의 뜻을 따랐다가 집이 불타버리는 일에까지 이르자, 러셀과 더그에게 심한 말까지 하며 잠시나마 이들과 함께 했던 여정에 크게 후회하게 된다(나쁜 개야, 하는 부분은 감정적으로 가장 폭발하는 순간이기도 했다).

그리고 나서 다시 집안으로 들어와 엘리의 모험책을 우연히 읽게 된 칼은 그 동안 이어지지 못한 것으로만 알았던 엘리의 모험 이야기가 자신과 함께 했던 시간들로 채워져 있는 것을 알고는 크게 깨우치게 된다(아..이 장면은 정말 신파인데 정말 눈물이 많이 나더군요). 칼이 엘리를 놓아주려고 해도 놓아주지 못했던 것은 엘리가 자신의 모험책을 자신 때문에 채우지 못한 것이 아닐까 하는 자책 때문이었는데, 오히려 엘리의 여정이 자신과 함께 했던 것이었음을 알고는, 드디어 엘리를 놓아줄 수 있는 용기가 생긴 것이다(이런 칼을 너무 잘 알고 모든 것을 준비해 둔 엘리의 애틋한 마음씨에 또 한 번 울컥 ㅠ).

이 순간부터 칼의 행동이나 말투는 완전히 달라진다. 이전까지 마지막 여정을 준비하고 있었던 칼이 이제는 새로운 삶의 방향으로 돌아섰기 때문이다. 앞으로 누구와도 인연을 맺거나 소유하지 않으려던 칼은 더그에게 '내가 니 주인이야, 너는 내 개잖아'하며 180도 바뀐 마음을 전하는 한편, 러셀을 구하기 위해서 어떤 위협에도 주저하지 않는 용기도 보여준다. 칼이 엘리를 완전히 놓아주는 순간은 역시 칼이 절대절명의 순간에서 엘리로 의미되는 집 대신에 러셀과 더그와 케빈을 선택하는 지점이다. 구름 아래로 멀어져가는 집을 바라보는 칼의 심정에서 안타까움만이 느껴지지 않는 이유는, 칼이 엘리와 보낸 시간들로 인해 새로운 인연을 받아들일 수 있는 용기를 얻었기 때문이다(전 아직 이렇게 놓아줄 용기가 없어서인지 구름 아래로 사라져가는 집을 보니 짠한 마음이 더하더라구요).


ⓒ Pixar Animation Studios. All rights reserved


그런데 이 작품에서 또 하나 꼭 언급해야할 인물이 있는데 그는 바로 '찰스 먼츠'다. 영화의 시작 부분에 어린 칼이 동경하는 인물이자 미대륙을 개척한 개척자이며, 사람들의 편견에 부당한 대우를 받고는 스스로 진실을 증명하기 위해 떠났던 인물이 바로 그다. 사실 찰스 먼츠를 일반적인 악당으로 보기는 어려운 것이, 그가 이렇게 그 큰 새에 집착하게 된 것은 사람들의 편견 때문이었고, 이를 사람들의 방식대로 증명하기 위해 아직도 인간 사회에 돌아오지 못한 채 남미 대륙에 홀로 남게 된 사연이 있기 때문이다. 찰스 먼츠는 칼의 또 다른 모습, 즉 놓아주어야 할 것들을 놓아주지 못한 경우의 칼의 모습으로 볼 수도 있을 것이다.

찰스 먼츠는 오로지 자신이 당한 부당함을 증명해야 된다는 그 강박관념 탓에 다른 모든 것을 잃게 되었고, 아이를 비롯한 칼 일행에게 공격을 가하는 등 '악당'같은 일도 서슴치 않는다. 물론 그의 행동이 잘못되었다는 점은 인정하지만 한편으론 칼과 같은 어려움을 겪었으나 칼과는 달리 '러셀'과 같은 주변 환경은 갖지 못했던 불우한 캐릭터라는 점도 생각해볼 수 있었다(초반 칼이 러셀을 줄로 묶는 장면을 상상하면서 '애한테 그럴 수야 없지'하는 부분은 바로 이 목적을 위한 수단이 넘어서는 안될 지점을 알려주는, 그래서 찰스 먼츠와는 대비되는 장면이기도 하다).

그래서 이 영화를 보면서 딱 하나 아쉬운 점을 꼽으라면 바로 '찰스 먼츠'의 퇴장 부분의 묘사를 들 수 있겠다. 찰스 먼츠는 분명 단순한 '악당'이 아니라 집착에서 자유로울 수 있는 용기가 부족했던 이로 볼 수 있는데, 그냥 칼과의 대결 끝에 추락하고마는 것으로 마무리 되는 것이 조금은 아쉬웠다. 다른 곳도 아닌 픽사라면 어떻게든 찰스 먼츠를 더 따듯하게 보듬을 수 있지 않았을까 싶었는데, 결국 본편에서는 이것이 정말 찰스 먼츠의 마지막이라 아쉬웠다(물론 풍선을 달고 떨어졌으니 '번-E'의 경우처럼 나중에 추가 에피소드가 나올런지도 모르겠지만, 어쨋든 본편에서 해결해 주지 않았으니 이건 분명 아쉬운 부분이다). 찰스 먼츠가 칼과의 만남을 통해 집착에서 벗어나 자유로워지는 마무리가 있었다면 더 따듯하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드는 한편, 먼츠는 멀리하고 칼과 러셀만 행복하면 되는 것이 현실인가 하는 씁쓸함도....(그래서 이 작품은 더더욱 어른을 위한 작품이 아닐까 싶다).



ⓒ Pixar Animation Studios. All rights reserved


잘 알려졌다시피 이 작품은 픽사 최초의 3D버전으로 상영되기도 했는데, 3D 자막버전은 상영되지 않아 3D버전을 만끽하려면 반드시 더빙 버전을 볼 수 밖에는 없어 많은 걱정이 되었던 것도 사실인데, 더빙의 만족도는 거의 100%에 가까웠다. 특히 이순재 씨의 더빙의 경우 가장 우려했던 것은 '칼'이 아니라 익숙한 '이순재'가 들리지 않을까 하는 우려였는데, 딱 첫 대사에서만 이순재라는 사실을 인지했다고나 할까. 전혀 묻지도 않고 따지지도 않는 이순재의 모습은 발견할 수 없었을 정도로 '칼'과의 싱크로율은 실로 대단했다. 확실히 수십년 간의 연기 내공이 그냥 나오는 것이 아니구나 라는 새삼스러운 생각도 하게 되었을 정도로 이순재씨의 더빙 연기는 완벽에 가까웠으며, 다른 캐릭터들 역시 김기현, 장광 씨를 비롯해 전문 성우분들이 맡아 평균 이상의 훌륭한 퀄리티를 선보였다.

3D의 경우 확실히 아이맥스가 아니다보니(역시 3D는 아이맥스와 결합해야 훨씬 더 시너지 효과를 낸다!) 화면에 꽉차는 느낌이 없어서 입체감이 좀 덜한 느낌이었고, 그래서인지 전체를 입체안경을 쓰고 관람한 것에 비해 3D효과를 체감할 수 있는 장면이 꼭 전체였던 것만은 아니었다(참고로 이번 <업> 3D버전은 입체 안경을 쓰지 않고 보아도 화면이 두겹으로 보인다거나 하지 않더군요. 모든 장면이 그런 것인지는 모르겠지만 신기하더군요). 혹시나 해서 추가하자면 이런 느낌은 어디까지나 3D영화를 비교적 많이 본 입장에서(그 중 대부분이 아이맥스 3D였다는 점, 그리고 4D마저 체험한 점)의 느낌이라 아쉬운 부분이 발생했다는 것이지, 3D를 처음 접하거나 자주 접하지 않은 관객들은 다들 너무 신기해하고 즐겁게 관람하셨음;;


ⓒ Pixar Animation Studios. All rights reserved

1. 사실 개봉일 관람했을 때는 초반 5분을 보며 그냥 울컥하기만 했었는데, 오히려 두 번째 관람에서 와락 쏟아지더군요. 내용을 다 알고 있는데도 말이죠. 오히려 더 ㅠㅠ

2. 자막 버전을 주중에 꼭 볼 예정이지만, 확실히 이순재씨의 더빙은 정말 만족스러운 편이며 몇몇 장면은 우리말 더빙이어서 더욱 느낌이 사는 것 같아요. 특히 '멈춰라, 이 개들아' 하는 것들은 자막보다는 어감에서 주는 재미가 더 있는 부분일듯. 개가 말한다는 설정을 더 실감나게 체감하기 위해서는 역시 우리말로 얘기해주는게 더욱 실감날 것 같아요.

3. 극 중 등장하는 파라다이스 폭포는 실제로 베네수엘라에 있는 '엔젤 폭포'를 모델로 한 것이라고 하더군요. 그래서인지 극 중 칼이 구매했던 비행기 티켓을 보면 '베네수엘라'라고 써있는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4. 러셀과 칼이 찰스 먼츠에게 식사 대접을 받을 때 나온 요리를 보고는 혹시 '라따뚜이'에 나온 음식이 아닐까 했었는데, 정말 맞군요 ㅎㅎ

5. 픽사의 거의 모든 작품에 까메오로 등장하고 있는 '피자 플래닛 트럭'은 이번 작품에도 여전히 등장합니다.

6.


ⓒ Pixar Animation Studios. All rights reserved

이 장면을 보고는 '스타워즈'를 바로 떠올리긴 했었는데, 개인적으론 루크 일행을 쫓아온 다스 베이더와 타이 파이터를 패러디 한 것으로 생각했는데(그 대형이 너무 흡사했음), 트리비아를 보니 스타워즈는 맞으나 X-Wing 파일럿들과 레드 스쿼드런을 패러디한 것이더군요. 본래는 레드 스쿼드런인데 개들은 색맹이라 그레이 스쿼드런으로 했다는 것이 재밌더군요 ㅎㅎ 참고로 마지막 에필로그에 칼과 러셀이 '스타워즈'를 보러가는 장면도 등장합니다!


7. 전 개인적으로 이 작품을 보면서  <인디아나 존스>를 떠올릴 수 있는 장면이 많더라구요. 탐험대원 러셀은 보이스카웃인 어린 인디를 닮았고, 열기구가 등장하는 것도 그렇고, 개들에게서 도망치다가 절벽을 건너는 장면에서 개들이 절벽아래 강가에 떨어지는 장면은 마치 '인디아나 존스 - Temple Of Doom'의 마지막, 다리 아래로 떨어지는 적들의 이미지가 떠올랐고, 사다리를 위아래로 오르며 발아래로 먼치를 차는 칼의 모습도 그렇고, 심지어 줄에 의지해 사라진 러셀 일행을 칼이 내려다보는 것이나 러셀이 모자가 벗겨진채 올라와 아래를 내려다보는 장면은 '최후의 성전'에서 인디가 아버지 존스와 아래를 내려다보는 장면과 너무 닮았더라구요.


8. 처음 관람했을 때는 찰스 먼츠 씨의 이야기 부분이 조금 아쉬워 별점을 4개 반 줄 작정이었는데, 두 번째 관람하고나서는 어쩔 수 없이 만점을 줄 수 밖에는 없는 나 자신을 발견 ^^;;

9. 개봉날 메가박스 코엑스에서 보았을 때는 없었는데, 어제 용산 CGV에서 관람할 때는 상영전에 토이스토리 3의 예고편이 나오더군요;;




글 / 아쉬타카 (www.realfolkblues.co.kr)


본문에 사용된 모든 스틸컷/포스터 이미지는 인용의 목적으로만 사용되었으며,
모든 이미지의 권리는
Pixar Animation Studios에 있습니다.









히사이시 조 - 지브리 애니메이션과 함께한 25년간
블루레이 리뷰

영화나 음악을 사랑하는 이들이라면 누구나 꿈꾸는 공연들이 한 두가지씩은 있을 것이다. 좋아하는 뮤지션의 공연을 라이브로 직접 볼 수 있었으면 하는 바램은 물론, 영화나 애니메이션의 팬이라면 자신이 좋아하는 영화나 애니의 사운드트랙 공연 실황을 보고 싶다는 바램을 갖게 되기 마련이다. 개인적으로는 영화 만큼이나 애니메이션을 사랑하는터라 내가 좋아하는 애니메이션에 수록된 곡들을 직접 라이브로 만나볼 수 있다면 얼마나 황홀할까 하는 생각을 한 두번 해본 것이 아니었다. 그중 가장 보고 싶은 두 가지 공연을 꼽으라면 첫 번째로는 <카우보이 비밥> <신세기 에반게리온> <천공의 에스카플로네>등 수많은 애니메이션의 음악을 만들었던 칸노 요코의 공연을 들 수 있을텐데, 정말 다행스럽게도 몇 해전 국내에서 가졌던 내한 공연에 참석할 수 있었고, 기대했던 것보다 훨씬 더 황홀한 경험을 만끽할 수 있었다. 이날 공연으로 느낄 수 있었던 건 확실히 그냥 일반 뮤지션의 콘서트와 애니메이션 사운드 트랙 공연은 엄청난 차이가 있다는 것이다. 가수의 노래를 직접 듣는 것과 애니메이션의 수록곡을 직접 듣는 경험은 같은 종류로 비교되기 어려울 정도로 분명 '다른' 체험이었는데, 뭐랄까 꿈을 꾸는 듯한 느낌이었다.


ⓒ2009 NHK Video. All Rights Reserved


칸노 요코의 공연 보다 조금 더 보고 싶었던 공연이 있었다면 바로 스튜디오 지브리와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의 작품에서 항상 만나볼 수 있었던 영화음악가 히사이시 조의 공연을 꼽을 수 있겠다. 헐리웃에 스티븐 스필버그와 존 윌리엄스 콤비가 있다면, 일본에는 미야자키 하야오와 히사이시 조 콤비를 바로 떠올릴 수 있을 정도로,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의 작품에 히사이시 조의 음악이 없는 것은 상상조차 할 수 없을 정도다. 물론 히사이시 조는 지브리의 작품들 외에 여러 극영화들과 개인 음반 등 다양한 프로젝트에 참여했었지만, 가장 빛을 발하고 가장 오랫동안 손발을 맞춰왔던 것은 역시 미야자키 하야오의 작품들이 아닐 수 없을 것이다. 그런 히사이시 조가 미야자키 하야오와 함께한 25년의 세월을 정리하며 기념 공연을 가졌다는 소식은 팬으로서 당장 일본으로 날아가고 싶은 충동을 느낄 정도의 반가운 소식이었으며, 지난해 NHK를 통해 방영했던 공연을 스트리밍 영상으로나마 접한 뒤 하루 빨리 블루레이나 DVD로 출시를 고대했었는데, 드디어 올해 일본 내에서 반갑게도 블루레이 포맷으로 발매가 되어 이 미칠듯한 고환율을 온몸으로 맞아가며 타이틀을 구매하지 않을 수 없었다.



ⓒ2009 NHK Video. All Rights Reserved


2008년 8월 4일과 5일 양일간 무도관에서 열렸던 '히사이시 조 in 무도관 _ 지브리 아니메와 함께 걸어온 25년간' 공연 실황은 지난 해 개봉한 미야자키 하야오의 신작 <벼랑위의 포뇨> 개봉에 촛점이 조금 더 맞춰져 있기는 하지만 '함께 걸어온 25년간'이라는 제목처럼 그 간의 작품들 속에 담긴 주옥같은 곡들을 모두 만나볼 수 있는 공연이었다. 200인조로 이뤄진 뉴 저팬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와 800명에 달하는 합창단으로 이뤄진 이번 공연에서 히사이시 조는 기존 곡들을 조금씩 편곡하여 선보였다.



ⓒ2009 NHK Video. All Rights Reserved


이번 공연에는 미아쟈카 하야오가 감독한 극장용 장편 애니메이션의 모든 음악을 만나볼 수 있는데, 그 서막을 장식하는 것은 1984년작 <바람계곡의 나우시카 (風の谷の ナウシカ)>이다. 오프닝 테마 속 히사이시 조의 피아노 솔로를 듣는 순간 관객은 순식간에 애니메이션 세계 속으로 빠져들게 된다. 대규모 코러스가 함께하는 레퀴엠이 이어진 뒤 공연장 가운데를 가득 채운 스크린에서 나우시카의 한 장면이 나옴과 동시에 'The Battle Between Mehve And Corvette'이 이어진다. 이 공연의 가장 큰 매력이라면 역시 애니메이션의 한 장면과 더불어 삽입곡을 라이브로 들을 수 있다는 것이다. 다음으로는 그 특유의 아이들 코러스가 매력적인 레퀴엠이 이어지며, 나우시카의 엔딩곡 'The Bird Man : Ending'으로 <바람계곡의 나우시카> 섹션은 마무리가 된다.



ⓒ2009 NHK Video. All Rights Reserved


그 다음 만나게 되는 작품은 바로 내가 10년 가까이 쓰고 있는 닉네임인 '아쉬타카'의 어원이 된 '아시타카'가 등장하는 1997년작 <모노노케 히메 (もののけ)>이다. 'The Legend Of Ashitaka'의 웅장한 사운드를 듣는 순간 숨이 멎을 듯 했다. 그 다음은 <모노노케 히메>속 장면들과 함께 합창단과 오케스트라의 웅장한 사운드가 이어지고, 마지막으로는 메인 테마곡 '모노노케 히메'가 하야시 마사코에 의해 불려진다. 하야시 마사코는 <벼랑 위의 포뇨>의 주제곡에도 참여하였는데, 개인적으로는 역시 본래 이 곡을 불렀던 요시카즈 메라가 불렀다면 더 감동적이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도 해보았다.



ⓒ2009 NHK Video. All Rights Reserved


그 다음 섹션은 1989년작 <마녀 배달부 키키 (
魔女の宅急便)>가 이어진다. 이번 공연에서는 좀 더 애잔하고 감성적인 느낌의 편곡으로 이뤄져있는데, 특히 두 번째로 만나볼 수 있는 '마음 아픈 키키' 같은 곡은 '키키가 이렇게 슬펐었나?'하는 생각이 들 정도다. 공연에서 만나볼 수 있는 다른 작품들도 마찬가지겠지만 <마녀 배달부 키키>의 경우 스크린 속 영상과 음악이 더 멋지게 조화를 이루어 감동을 전하고 있다. 그리고 바이올린 솔로 역시 인상적이다.


ⓒ2009 NHK Video. All Rights Reserved


<마녀 배달부 키키>의 섹션이 끝나면 이 공연의 주요 테마라고 할 수 있는 <벼랑 위의 포뇨 (
崖の上のポニョ)> 가 본격적으로 시작된다. 이 때 쯤 되서야 히사이시 조가 처음으로 마이크를 들고 무대 앞에서서 자신과 오케스트라, 합창단을 관객에게 소개한다. <벼랑 위의 포뇨>에는 무려 8곡이 포진되어 있는데 중간 중간 보컬 곡이 포함된 관계로 크게 지루하지 않은 편이다. 첫 번째 보컬 곡은 앞서 '모노노케 히메'의 메인테마 곡을 불렀던 하야시 마사코의 '바다의 엄마 / 海のおかあさん'이다.  '파 도 타는 물고기 포뇨 / 波の魚のポニョ'에서는 브라스의 활약이 돋보이며, 두 번째 보컬 곡은 후지오카후지마키가 등장해 '후지모토 / フジモト'의 테마곡을 들려준다. 세 번째 보컬 곡은 '폭풍 속의 해바라기 집 / 嵐のひまわりの家 '인데 이 곡을 부른 '마이'는 다름 아닌 히사이시 조의 친 딸이기도 하다.


ⓒ2009 NHK Video. All Rights Reserved


그리고 역시 대미를 장식하는 곡은 '포뇨'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포뇨 포뇨 포뇨~'하는 메인테마곡이다. 후지오카후지마키와 어린 소녀 오오하시 오조미가 부르는 이 곡은 한 번 들은 사람들은 입에서 땔 수 없을 정도로 중독성 있는 곡으로 라이브를 많이 본 이들이라면 율동마저 외우게 되는 곡이다(길을 가다 이 곡이 나오면 나도 모르게 율동이 나와 당황스러웠던 적도 -_-;;). 참고로 오오하시 오조미와 함께 이 곡을 부른 후지오카후지마키를 그냥 '아저씨들'로 알고 있는 이들이 상당히 많은데 이들은 이전 70년대에 방송금지곡을 연달아 발표하며 화제를 불러 일으켰던 밴드 '마리챤즈'의 멤버인데, 이들이 이렇게 어린 꼬마와 '포뇨 포뇨~'하는 곡을 부르는 모습도 이색적이다.



ⓒ2009 NHK Video. All Rights Reserved


다음으로 이어지는 작품은 미야자키 하야오의 또 하나의 대표작인 1986년작 <천공의 성 라퓨타 (天空の城ラピュタ)>이다. 고적대가 객석 뒤에서부터 등장해 공연장을 가득 채우는 연출이 인상적이며, 라퓨타의 메인 테마라 할 수 있는 '合唱 君をのせて (합창, 너를 태우고)'도 인상적이다. 마지막 곡은 오케스트라가 모두 퇴장한 가운데 고적대의 반주로만 이뤄진다. 합창이 이뤄질 때 무도관을 가득 채운 관객들이 숨죽이듯 감상하는 자세도 또 다른 볼거리다.



ⓒ2009 NHK Video. All Rights Reserved


다음은 개인적으로 가장 좋아하는 미야자키 작품들 중 하나인 1992년작 <붉은 돼지 (
紅の 豚)>이다. 특히 여기서 히사이시 조가 피아노 솔로로 연주하는 마르코와 지나의 테마곡은 지브리 사운드트랙을 통틀어 가장 좋아하는 곡으로 한 손가락에 꼽을 정도다. 이번 공연에서는 히사이시 조의 피아노와 더불어 섹소폰 및 브라스의 연주로 들려주고 있는데, 작품이 그러한 것처럼 성인 취향의 분위기가 물씬 나는 편곡이었다. 이번 공연에 <붉은 돼지> 관련 곡은 마지막 앵콜 곡을 포함하여 딱 두 곡 뿐인데, 마지막 엔딩 테마인 '때로는 옛 이야기를'을 들을 수 없어 살짝 아쉽기도 했다. <붉은 돼지> 섹션이 끝나고 나서는 스크린에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의 인터뷰가 나오는데, 자신과 예전부터 작품을 함께 해온 히사이시 조의 대한 감사와 추억을 들려준다.


ⓒ2009 NHK Video. All Rights Reserved


그 다음 작품은 2004년작 <하울의 움직이는 성
ハウルの動く城)>이다. 이 작품에 등장하는 'Merry- go-round'는 역시 지브리 사운드 트랙 가운데 가장 좋아하는 테마이기도 한데, 오케스트라를 통해 만나니 더욱 웅장하고 후반부에는 박진감마저 느껴진다. 특히 왈츠 리듬의 '따라라라~ 따라라라~따라라라~라 라라라라라~'로 이어지는 후렴구는 언제들어도 행복해진다. 하울에서 가장 좋아하는 곡 중 하나는 극 중에서 하울이 처음 켈시퍼를 만나게 되는 그 장면, 소피가 그 광경을 목격하던 순간에 흐르던 곡인데, 이번 공연에서도 바로 그 장면과 함께 만나볼 수가 있었다. 'Merry- go-round'는 피아노 솔로가 메인이 되어 다시 한번 들려주는데, 이 곡의 왈츠 리듬을 듣고 있노라면 정말 몸을 가만히 있기 힘들 정도다. 극중 하울 목소리 연기를 맡았던 기무라 타쿠야의 목소리도 절로 떠오르고 그 공중을 걷던 장면도 생생히 떠오른다.


ⓒ2009 NHK Video. All Rights Reserved


다음 작품은 2001년작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 (
千と千尋の神隱し)>인데, 처음 만나게 되는 곡은 본래는 경음악 곡인 '어 느 여름날(あの夏へ)'인데 이번 공연에서는 히라하라 아야카의 보컬 곡인 '생명의 이름(いのちの名前)'으로 편곡되어 불려진다. 두 번째 곡 '또 다시 ( ふたたび )' 역시 본래는 경음악이었으나 히라하라 아야카의 보컬 곡으로 편곡되었다.


ⓒ2009 NHK Video. All Rights Reserved


마지막으로 만나볼 작품은 미야자키 하야오의 대표작인 1988년작 <이웃집 토토로
(となりの トトロ)>이다. 하프 연주가 인상적인 '風 のとおり道 (바람이 지나는 길)'이 흐르면 어느 덧 무도관은 일본 시골의 어느 마을로 변해버린다. 다양한 코러스 파트의 합창이 돋보이는 'さんぽ (산책)'의 후렴구에는 지금까지 출연했던 출연진이 모두 무대 위에 등장해 합창으로 마무리한다. 이 곡이 끝나고 나면 대형 스크린을 통해 미야자키 하야오와 픽사 스튜디오의 존 라세터가 함께 토토로의 노래를 따라부르는 영상이 잠시 나온 뒤, '토토로! 토토로' 하는 <이웃집 토토로>의 메인 테마곡이 연주된다. 토토로가 끝나고 나면 무대 뒤에서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이 직접 꽃을 들고 나타나 히사이시 조에게 감사의 인사를 전하는데, 이 장면은 정말 뭉클해 지는 장면이 아닐 수 없다. 25년간을 함께 해온 이들이 서로가 서로에게 감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는 장면이었는데, 두 사람 모두 눈시울이 붉어지는 것을 보니 팬으로서도 뭉클하지 않을 수 없었다.


ⓒ2009 NHK Video. All Rights Reserved


마지막 앵콜 곡으로는 히사이시 조의 피아노 선율이 인상적인 <붉은 돼지>의 삽입곡 'Madness'와 <모노노케 히메>의 마지막 장면에 흐르던 'ashitaka and san'이 연주된다. 대단원의 콘서트를 마무리 하는 곡으로는 사실 조금 의외의 선곡이었는데(그래서 더 좋았지만), 차분하게 정리하며 마무리할 수 있어서 더 뜻 깊었던 것 같다.



ⓒ2009 NHK Video. All Rights Reserved


부가영상으로는 메이킹 필름이 담겨있는데 2008년 8월 2일과 3일 가졌던 전체 리허설 장면을 만나볼 수 있다. 히사이시 조의 인터뷰도 만나볼 수 있으며, 공연에 참여하고 있는 오케스트라와 합창단의 소개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공연 당일 이뤄진 출연진들의 인터뷰도 수록되어 있다. 이 역시 모두 HD영상으로 제공된다. 그 밖에 공연 중에 대형 스크린을 통해 볼 수 있었던 미야자키 하야오의 작품들의 영상을 따로 감상할 수 있는데, 흥미로운건 이 작품들이 아직 블루레이로 출시되기 이전이기 때문에 HD영상으로 만나볼 수 있는 거의 최초의 기회라는 점이다.



ⓒ2009 NHK Video. All Rights Reserved


서두에서 언급했던 것처럼 아마도 스튜디오 지브리의 팬이라면 이번 히사이시 조의 공연은 그야말로 '꿈'같은 공연이 아닐 수 없을 것이다. 자신도 모르게 함께 해온 지브리 작품들과 그리고 히사이시 조의 음악들과의 추억들을 되새겨 볼 수 있었던 아주 소중한 시간이었으며, 무엇보다 다시금 책장에 꽃혀있는 미야자키 하야오의 DVD들을 꺼내보게 했던 매력적인 타이틀이었다. 아마도 이번 공연 실황 타이틀은 지브리 타이틀이 그러했던 것처럼 아무 때나 불쑥 꺼내어 봐도 언제든 행복해질 타이틀이 되지 않을까 싶다.



ⓒ2009 NHK Video. All Rights Reserved

글 / 아쉬타카 (www.realfolkblues.co.kr)


본문에 사용된 모든 블루레이 캡쳐 이미지는 인용의 목적으로만 사용되었으며,
모든 이미지의 권리는 NHK Video에 있습니다.










지난 해였나, 일본 TV를 통해 방송되었던 히사이시 조와 그가 만든 지브리 스튜디오의 작품의 수록곡들로 이뤄진 음악회 실황 클립을 본 적이 있었는데, 스튜디오 지브리의 골수팬인 나로서는 이 음악회의 감동은 실로 이루말할 수 없는 것이었다. 그 이후 이 음악회가 일본내에서 블루레이로 출시된다는 소식을 접하게 되었고, 미칠듯한 환율에 꾹꾹 참고 있던 중 발매와 동시에 '저도 받았어요~'하는 글들을 보고는 더 이상 참을 수 없던 차, 친한 형님께서 미개봉 타이틀을 파신다는 글에 재빨리 연락을 취해 좀 더 저렴한 가격에 득템할 수 있었다!

나중에 차근차근 리뷰를 해보게 되겠지만, 이 영상물은 일본에서 발매된 제품이라고 하더라도 음악회라는 특수성 때문에 자막 없이도 본 공연을 즐기기에 크게 부족함이 없으며, 부족함이 있다 하더라도 충분히 극복하고도 남을 만한 공연을 들려주는 것이 사실이다.

히사이시 조가 미야자키 하야오의 애니메이션 작품과 함께 해온 25년을 정리하는 공연으로서, 일본의 대표적인 공연장인 무도관에서 진행이 되었다. 본격적인 이야기는 나중에...




근래 질렀던 블루레이들. 엇그제 밤에 자미로콰이 보다가 졸았음 -_-;;
나머지 작품들도 당췌 만만치 않은 작품들이라 얼른 큰 맘먹고 감상하고 리뷰도 써봐야 할듯.




사진 / 아쉬타카 (www.realfolkblues.co.kr)






2006년에 국내 발매된 책을 이제서야 읽어보게 되었으니 많이 늦은 편이네요. 일본 애니메이션을 좋아하는 저로서는 그 가운데서도 <에반게리온>을 특히 좋아하는데(몇달 전 회사에서 TV판 전편을 매우 하루 한편씩 DVD로 감상하기도 했었죠), 에반게리온을 좋아하다보니 감독인 안노 히데아키에 대해서도 관련 검색을 해보는 일이 자주 있었고, 그 가운데 바로 이 책에 대한 정보를 얻고서는 언젠가 한번 사봐야 하던 중, 얼마전에야 드디어 질러서 보게 되었습니다(가격도 저렴해요, 5000원!).

이 책은 안노 히데아키의 부인이자 만화가인 안노 모요코의 작품인데, 내용만 보자면 138p 짜리 단편이라고 할 수 있는데, 안노 모요코가 남편인 안노 히데아키와 만나고 결혼하고 살아가면서 겪은, 그러니까 오타쿠의 부인으로서 살아가는 이야기를 재미있는 그림과 이야기들로 가득 담아내고 있는 책입니다.

오타쿠라는 말이 언제부턴가 '헨타이'와 결합하여 좀 부정적인 의미로 자주 사용되고 있는 듯 하지만, 사실 따지고보면 남한테 해끼치는 것도 없고, 단지 자신이 좋아하는 분야에 보통 사람들보다 좀 더 애착을 갖고 집중한다는 것 정도죠. 물론 우리가 흔히 오타쿠라고 부르는 이들은 그 분야가 '애니메이션'이나 '망가'로 주로 집중되어 있는 편이긴 하지만, 어쨋든 개인적인 생각은 자신이 좋아하는 것들에 대해 무한한 애정을 쏟는 것보다 아름다운 일은 없다고 생각하는 편이라 '오타쿠'라는 단어에 전혀 부정적인 느낌은 없는 편이에요.

오타쿠 하니까 하나 에피소드가 떠오르는데, 지난해 초였던가 어느 영화 잡지사 면접자리였던 것 같은데 제 블로그와 제가 쓴 글들을 찬찬히 둘러보던 한 직원분이 이렇게 여쭤보시더군요. '혹시 오타쿠세요?'
그러길래, 약 1초 당황한 다음에(정확히 1초였음) 전혀 흔들림 없는 말투로 얘기했죠. '리얼 오타쿠들 사이에서는 명함도 못 내밀 정도의 소소한 팬이지만, 일반인들 사이에서는 간혹 오타쿠로 보일 수도 있겠네요. 아직 부족함이 많습니다(이 말은 왜했지 -_-;;)'
확실히 요즘은 문화 컨텐츠를 돈주고 즐기는 이들의 수가 기하급수적으로 적다보니, CD나 DVD를 사는 것만으로도 조금 별난 사람이 되어버린 세상이죠. 그런데 좋아하는 애니의 피규어를 해외 경매사이트에서 구매하거나, 치히로가 울면서 먹었던 주먹밥 모양의 피규어를 구매했다며 좋아하거나, 뉴타입 잡지에 아스카 티셔츠가 부록으로 나온 걸 보고 입을 수 있을까 와는 별개로 살까 말까를 고민하는 이라면 오타쿠로 보일 수도 있겠네요. 여튼 다시 책으로 돌아와서.




안노 히데아키가 어느 정도 매니악하다는 것은 알았지만 이 책을 보기 전까지, 이 정도로 오타쿠인줄은 몰랐네요 ㅎ 정말 에바가 그냥 나온게 아니구나 할 정도로(오히려 이 책을 보고나면 에바가 너무 얌전한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폭주하는 초호기처럼 몰려옵니다!) 엄청난 베스트 오브 더 오타쿠더군요. 이 책이 재미있는건 단순히 안노 감독의 오타쿠 적인 삶을 조명한 것 뿐 아니라 이를 바라보는 화자가 그의 아내라는 점, 그리고 오타쿠가 아닌 사람이 오타쿠와 살아가면서 겪는 변화랄까? 그런 부분이 아주 섬세하면서도 자연스럽게 표현되고 있다는 점입니다.

오타쿠가 주인공인 만화라 그런지, 관련 지식이 많으면 많을 수록 더 웃을 수 있는 작품입니다. 저도 일반인 보다는 한 걸음 앞서있는 미약한 오타쿠라고 할 수 있을텐데 이 만화에 등장하는 관련 작품들 가운데 약 20% 정도 밖에는 소화하지 못하겠더라구요. 역시 본토의 오타쿠는 그 스케일이 다르더군요. 아, 하지만 이 작품들을 100% 모른다고 해도 크게 감상에 지장은 없는 편입니다. 그 작품 속 캐릭터를 알고 있다면 더 재밌긴 하겠지만 모른다고 하더라도 분위기로 짐작하며 넘어갈 수 있을 정도니까요. 그런데 만약 이 내용들을 속속들이 알고 있다면 장담하건데 이 책은 300%는 충분히 만족스러운 만화가 아닐 수 없을 듯 합니다. 왜냐면 저도 그 20%만을 공감했음에도 그 순간에 무언가 짜릿한 희열이 있었거든요 ㅎㅎ 아, 그리고 도서 뒷 편에 본편에서 언급된 작품들의 간단한 설명을 추가로 해주고 있어서 나중에라도 한 번 찾아볼 수 있기도 합니다.






그런데 이 책을 보고 있노라면 전혀 예상치 않았던 의외의 생각도 하게 되더군요. '결혼하고 싶다'랄까?
오타쿠인 안노 히데아키를 다 받아주고 이해해주며 알콩달콩 살아가는 안노 모요코의 존재는, 히데아키를 에바 감독으로서 부러운게 아니라 모요코의 남편이라는 이유로 더 부럽도록 만듭니다. 개인적으로 저도 제 마음대로 완전 오타쿠 같은 전문 분야의 말들을 하루 종일 미친듯이 쏟아내도 다 알아들을 이가 있다면 그것도 참 행복하겠다는 생각이 절로 들더라구요. 여튼 애니메이션에 설사 관심이 없다 하더라도 이 부부의 이야기를 제3자 입장에서 보는 재미도 참 흐뭇한 일입니다. 책 말미에는 안노 히데아키가 이 책에 대해 이야기하는 인터뷰도 실려있어요. 실제 만화속 캐릭터의 동작을 손수 시연해 주시는 히데아키의 사진들도 인상적이구요 ㅎㅎ

그래도 나도 나름 오타쿠지 하는 분들이 이 책을 보게 된다면 아마 절로 고개를 끄덕이며 겸손의 미덕을 배우게 되지 않을까 싶네요. 한편 '그래 나는 아직 덜 미쳤어' 라고 다행(?)스럽게 생각하거나 아니면 '그래 좀 더 수련에 정진해야겠다!'라고 각오를 다지게 될지도 모르겠구요. 여튼 안노 모요코의 '감독 不적격' 적극 추천입니다!!



글 / 아쉬타카 (www.realfolkblues.co.kr)





* 본문에 사용된 이미지는 본인이 직접 촬영하였으며 인용을 위해서만 사용되었고, 그의 대한 권리는 대원씨아이에 있습니다.











최근 영화도 개봉했거니 해서 정말 오랜만에 꺼내보았는데,
충격적인 사실을 알게 되었다.

3장의 디스크로 이루어진 박스세트인데 무려 2장이나 디스크가 없음 -_-;;
예전에 어디 이동할 때 다른 CD홀더에 넣어두었던 것 같은데 찾을 수 있을지 모르겠다 흑;;


'블러드 앤 더 라스트 뱀파이어'
'잃어버린 2장의 디스크를 찾아서'

-_-;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09.07.05 _ 홍대 물고기  (6) 2009.07.05
홍대 상수 저 넘어  (5) 2009.06.25
2009.06.14 _ 진짜 홍대 나들이  (8) 2009.06.14
경희궁 나들이  (2) 2009.06.11
이른 여름  (2) 2009.06.08


몬스터 vs 에이리언 (Monsters Vs. Aliens 3D, 2009)
아쉬움이 남는 드림웍스의 신작

자꾸 드림웍스 애니메이션을 얘기하는데 픽사 얘기를 해서 안됬지만, 드림웍스의 신작 <몬스터 vs 에이리언>은 <월-E>와의 비교를 굳이 하지 않더라도 많이 아쉬움이 남는 작품이다. 개인적으로는 애초부터 <쿵푸팬더>급의 기대는 없었기 때문에 생각보다 덜 실망한 것도 있겠지만, 역시나 우려했던 스토리 텔링 측면에서는 신파라고 느꼈었던(하지만 좋았던) <볼트>보다도 아쉬웠으며, 단순히 패러디와 유머로서 내러티브를 채워가는 구성은 갈수록 힘에 붙여보였다.



(그래도 이 장면은 멋졌어요. 스케일이 느껴지기도 했구요 ㅎ)

드림웍스의 애니메이션들이 그러했듯이 이 영화도 본편보다 더 화려한 성우진을 갖추고 있는데, 무언가 주객이 전도된 듯한 느낌이 들었다. 주인공 수잔 역할을 맡은 리즈 위더스푼의 연기는 그녀만의 색깔을 드러내지는 못했고, 세스 로건은 여전했으나 새로울 것은 없었으며, 휴 로리나 레인 윌슨 역시 별로 돋보이지 못했다(케이트를 연기한 르네 젤위거는 별로 존재감도 없다;). 그나마 키퍼 서덜랜드가 조금 나은 편인데 전체적으로 잭 블랙, 안젤리나 졸리, 루시 리우, 세스 로건 등이 참여했었던 드림웍스의 전작 <쿵푸팬더>와 비교한다면 더빙 측면에서도 그다지 성공적이지 못했던 것 같다.

여러가지 버전 중에 디지털 3D 버전으로 감상하였는데, 일단 결론부터 얘기하자면 입체 화면으로 구성된 3D작품 치고는 이를 만끽할만한 장면이 그리 많지 않았다는 점이다. 기존에 3D로 제작되었던 <폴라 익스프레스>나 <베오울프> 등과 비교하자면 3D를 의식하고 만든 장면이 있기는 하나 그 임팩트가 부족하고 3D에 특화된 장면들이 부족했다는 생각이 들었다(개인적으로 또 하나 아쉬운 점을 들자면 영화 본편의 퀄리티와는 상관없이 아이맥스가 아니라 일반 관에서 관람했기 때문에, 좀 더 3D효과를 눈 안 가득 받아들일 수 없었다는 점도 들 수 있겠다).



(마치 키에누 리브스 주연의 <지구가 멈추는 날>에 등장했던 '클라투'를 연상시키는 모습)

영화는 평범한 소녀와 몬스터, 외계인을 등장시키면서 자신감 없던 소녀(아, 그러고 보니 결혼할 나이니 소녀는 아니겠구나;;;)가 자신이 잘하는 것을 찾아내서 성장해 가는 과정을, 몬스터로서는 '헬보이'같은 어글리 영웅들의 설움을, 외계인으로서는 볼거리와 재미거리를 선사하게 되는 구성인데, 세 가지 요소모두 그럭저럭 평균적인 수준이다. 성장영화 요소야 몇번이고 반복되어도 괜찮을 만큼 자주 사용되는 소재이긴 하지만, 몬스터라는 점은 일단 제목과 이미지만 봐도 일반관객들의 생각에는 '저거 <몬스터 주식회사>랑 별차이 없겠네'하는 생각을 절로 들게 하는데 실제 영화도 이것을 더 확장하지는 못한다. 몬스터들의 모습이나 성격들은 너무 전형적이고 기술적 측면에서도 획기적일만한 발전까지는 느끼지 못했다.

외계인의 이야기를 풀어내면서 각종 관련 영화들의 패러디를 슬쩍 슬쩍 끼워넣는데, 물론 재미있었지만 <슈렉>처럼 주된 스토리 텔링이 확실한 배경에 패러디를 곁들여야 둘다 시너지 효과를 일으킬 수 있을텐데, <몬스터 vs 에이리언>의 경우는 패러디가 등장하는 장면만 반짝하고 또 힘에 붙이는 느낌을 지우기가 어렵다. 그래도 <미지와의 조우>의 그 유명한 조우 장면을 패러디 한 것은 나름 재미있었다. 그러고보니 주인공 5명 캐릭터의 모습에서는 어디선가 <판타스틱 4>의 그림자가 드리워져 있는 듯 했으며, 수잔과 몬스터들이 잡혀있던 큰 홀의 이미지는 테리 길리엄 감독의 <브라질>이 살짝 연상되기도 했다.




큰 기대감이 없었다고 하더라도 <몬스터 vs 에이리언>은 애니메이션 스튜디오의 큰 축 중 하나인 드림웍스의 신작이라는 점을 감안한다면 분명 아쉬운 작품이다. 개인적으로 애매한 추천평으로 마무리하자면, 입체안경을 쓰고 3D버전으로 감상해야 그래도 좀 더 볼거리가 있는 영화라고 할 수 있을텐데, 3D영화치고는 그 포맷다운 특징이 약하다는 점이다.


1. 끝나고 본격적인 크레딧이 시작되기전 추가 장면이 있습니다.

2. 엔딩 크레딧의 이미지와 음악을 보고 느꼈던 것인데, 이건 분명 007을 겨냥한 스타일이었거든요. 그렇다면 후속편이???

3. 3D 자막은 기존 다른 작품들보다도 좀 더 감상이 불편했던 것 같아요.





글 / 아쉬타카 (www.realfolkblues.co.kr)


본문에 사용된 모든 이미지는 인용의 목적으로만 사용되었으며,
모든 이미지의 저작권은 드림웍스에 있습니다.








볼트 (Bolt, 2008)
트루먼 쇼의 후속편 혹은 진행형?

월트디즈니의 신작인 <볼트>는 애초부터 경쟁사인 픽사와 드림웍스의 작품들과 비교될 수 밖에는 없었던 애니메이션이었다.
그런데 문제는 픽사는 <월-E>로, 드림웍스는 <쿵푸팬더>로 각각 최고의 히트작을 근래 선보였다는 것이었는데, 그렇기 때문에
월트디즈니의 신작에 거는 기대는 클 수 밖에는 없었다(하지만 한편으론 같은 이유로 기대가 적었다고도 볼 수 있겠다).
더군다나 픽사의 존 라세터가 총 제작자로 참여했다는 점이나, 스틸컷들로 엿볼 수 있었던 3D애니메이션의 결과물은
기대를 갖게 하기에 충분한 이유들이었는데, 개인적으로는 비교 대상들을 제외하고 봤을 때 그리 나쁘지 않았던 작품이었던
것 같다. 특히 디즈니스러운 측면에서 나쁘지 않았던 애니메이션. 여기서 디즈니와 픽사, 드림웍스를 가지고 애니메이션 업계
전체를 논하려고 하면 너무 얘기가 길어질 듯 하니 간단하게만 얘기해보자면, 월트디즈니는 픽사나 드림웍스의 성공을
부러워해 그들처럼 되려고 하기보다는, 자신들 만의 장점을(그게 혹자들에게는 가장 큰 단점으로 지적되더라도) 오히려 더
부각시키는 편이 월트디즈니의 옛 명성을 되살리는 길이라고 본다. 이런 좋은 예로 지난해 초 개봉했었던 <마법에 걸린 사랑>을
들 수 있겠다. 자신들 만이 가진 히스토리와 장점을 부각시켜 기존의 스토리텔링에 리듬감을 불어넣는다던가, 새로운 기술과
감각을 조금씩 가미하는 식으로 업그레이드 시켜나가는 것이, 자신들과는 어울리지 않는 좋은 옷을 애써 입는 것 보다는
훨씬 낳다는 얘기다. 그런 의미에서 <볼트>는 약간 중간 지점에 위치한 작품일 듯 하다. 이야기는 단순하지만 3D 기술력은
경쟁사들과 비교하여도 부족하지 않을 만큼 놀랍게 성장했고, 이야기를 풀어내는 방식도 아주 고전적이지만은 않았기
때문이다.


(아래부터 두 단락에는 영화 본편에 대한 내용과 영화 <트루먼 쇼>에 대한 스포일러가 있을 수 있습니다. 원치 않는 분들께서는
맨 마지막 단락으로 이동해주세요)





<볼트>의 이야기는 짐 캐리 주연의 영화 <트루먼 쇼>를 바로 연상시킨다.TV드라마 속 슈퍼독으로 활약하고 있는 개 '볼트'는
촬영장 내를 한 번도 벗어난 적이 없는, TV 속 슈퍼독 캐릭터를 보이는 그대로 믿고 있는 또 다른 '트루먼'이다.
악당인 '녹색눈'으로부터 주인이자 친구인 '페니'를 지켜야 한다는 일념 밖에는 없는 볼트는, TV드라마의 내용상 페니가
녹색눈에게 납치되게 되자 세트장내 컨테이너를 박차고 페니를 구하기 위해 나선다. 이 과정 속에서 볼트는 우연히 촬영장
밖은 물론 이곳이 위치한 헐리우드에서 아주 멀리 떨어진 동부로 옮겨지게 되고, 처음으로 가상 현실 공간을 벗어나 현실 공간에
놓여진 볼트의 여정이 본격적으로 시작된다.
TV쇼라는 가상현실에 이것이 가상현실인 줄 홀로 모르는 주인공이 놓여있다는 점은 <트루먼 쇼>와 직접적으로 맞닿아 있지만,
트루먼은 가상현실 속에서 이를 깨닫고 여기서 벗어나기 위해 노력하지만, 볼트는 우연한 기회에 가상현실을 벗어나게되,
현실 속에서 자신이 그 동안 겪었던 삶이 허구였다는 것을 깨닫게 된다는 점에서 약간의 차이가 있다 하겠다.
그러니까 한편으론 촬영장 문을 스스로 박차고 나간 <트루먼 쇼>의 후속편 격 이야기가 될 수도 있지만, 다른 한편으론
나중에야 현실을 깨닫게 되었음으로 여전히 <트루먼 쇼>와 동일선상에 놓여진 영화라고 볼 수 있을 듯 하다.

이렇게 보면 두 작품이 하고자 하는 메시지도 상당히 유사한 것으로 생각되기 쉬우나, 잘 따져보면 그렇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트루먼 쇼>의 경우 평생을 가상현실 속에서 살았던 주인공이 어른이 되어 자신이 가상현실 속에 살았다는 것을
깨닫고는 적극적으로 이를 빠져나가기 위해 몸부림을 치게 된다. 그 과정 속에서 진정한 자아를 찾아가고 결국 세트장 문을
박차고 나서면서 '사람들의 트루먼'이 아닌 '나 스스로의 트루먼'이 되는 것이다. 그런데 <볼트>의 경우는 조금 다르다.
볼트에게는 자신의 지나온 삶이 가상현실 임을 알아차린 뒤에도 이를 적극적으로 벗어나려는 움직임이 없다.
볼트에겐 바로 '페니'라는 존재가 있기 때문이다. 가상현실임을 알게 된 이후에도 페니에게 돌아가야 한다는 생각이 지배적이며
페니만은 진짜 '현실'일 것이라는 강한 믿음만이 볼트가 힘든 여정을 계속해 나갈 수 있는 주원동력인 것이다.




개인적으로는 물론 <트루먼 쇼>의 경우와 이야기를 더욱 선호하지만, <볼트>의 이야기는 여러모로 디즈니다웠다고 생각된다.
가상현실=악당 이라는 설정 속에서도 희망과 빛을 대변하는 페니의 존재는, 이 영화를 이야기적 모티브를 제공하는 가장
핵심적 캐릭터라고 생각된다. 만약 정말로 가상현실=악당 이었다면 <트루먼 쇼>의 경우처럼 탈출 하는 것이 곧 해피엔딩이
되었겠지만 (물론 <트루먼 쇼>의 경우도 그 가상현실 속에 살고 있는 트루먼을 안타깝게 여긴 실비아라는 캐릭터가 존재하긴
한다) 페니가 있었기에 <볼트>의 엔딩은 <트루먼 쇼>와는 다른 방향으로 맺어질 수 있었던 것이다.

또 하나 흥미로운 점은 볼트가 여정 중에 그 동안 자신의 삶이 가상현실임을 깨닫고 고양이 친구인 '미튼스'에게 평범한
강아지들의 삶에 대해 설명을 듣게 되는 부분이데, 얼핏보면 이 부분이 마치 <월-E>에서 이브가 자신이 정지되어 있을 동안
월-E가 했던 일들을 영상 자료로 후에 보게 되면서 애틋해 하는 것과 유사한 감정을 불러 일으키지만, 좀 더 생각해보면
이 보통 강아지들의 삶으로 일컬어진 일련의 이들이 과연 옳기만 한 것인가에 대해서는 여전히 보수적인 디즈니의
스토리텔링에 비판적인 주장을 펼칠 수 있겠다.

'원래 개들은 이렇게 살아' 하면서 보여주는 것들이 이 영화에서 줄기차게 얘기했던 페니와 볼트 간의 '친구'관계를 떠올려
봤을 때(이 영화에서는 단 한번도 '주인'이라는 말이 등장하지 않는다), 과연 '친구'에 더 가까운 것인지 아니면 일반적인
'주인'과의 관계에 더 가까운 것인지를 생각해보면 후자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강아지에게까지 동등한 관계를
요구하는 것은 너무 오버하는 것 아니냐 할 수 있지만, 앞서도 얘기했듯이 이 영화에서는 줄기차게 '주인'이라고 해도
좋을 것을 계속 '친구'라는 개념으로 설명해 왔기에 이런 생각을 하지 않을 수 없었다.
특히 반려동물과 인간 과의 관계에 대한 영화들 중 <우리 개 이야기>의 경우를 비춰봤을 때 <볼트>에서 이야기하는
동물과 인간의 친구관계란 어차피 주종관계의 또 다른 이름밖에는 되지 않는 듯해 아쉬움이 남았다.





사실 지금까지는 비교적 비판적인 이야기들을 주로 했지만 반려동물로서 강아지와 고양이를 모두 다 키워봤던, 그리고 앞으로도
기회만 된다면 반드시 다시 키우고 싶은 사람으로서 <볼트>가 주는 뻔한 감동적 장면에 눈물 흘리지 않을 수 없었다.
일단 기본적으로 감독인 바이론 하워드와 크리스 윌리엄스를 비롯해 작업에 참여한 애니메이터들이 상당히 많은 시간
강아지의 움직임을 관찰했다는 것을 어렵지 않게 느낄 수 있었다. 기존 강아지가 등장하는 애니메이션 들에서는 현실 속
강아지의 움직임들과는 사뭇 다른 '영화적'인 느낌이 강했던 것이 사실이었는데, 영화 속 '볼트'의 움직임 하나 하나는
정말 실제 살아있는 강아지를 보는 듯한 느낌을 받을 수 있을 정도로 디테일했다. 개인적으로는 놀라운 3D 애니메이션 기술력
보다도 이러한 움직임 때문에 더더욱 이 작품이 실감났던 것 같다. 굉장히 미세할 수 있지만 강아지를 키워본 사람이라면
어렵지 않게 느낄 수 있었던 강아지만의 작은 움직임들을 잘 표현해내고 있고, 관절의 움직임들도 상당히 오랜 시간 연구한
티가 나는 애니메이션이었다.




고양이 캐릭터인 '미튼스'와 햄스터 '라이노' 캐릭터도 흥미로웠다. 특히 '라이노'는 <볼트>에서 '웃음'을 담당하고 있는
캐릭터라 할 수 있는데, 라이노가 보여주는 오타쿠적인 설정도 재미있었고, 볼을 이용한 움직임과 유머스런 장면들도
나쁘지 않았다. 개인적으로는 '미튼스'가 자신의 심정을 토로하는 장면에서 울컥했었는데, 볼트가 주인공이라 어쩔 수
없긴 했겠지만 미튼스의 이야기를 조금 더 다뤄줬어도 크게 나쁘지 않았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만약 미튼스가 주인공
이었다면 주인의 무책임함, 그야말로 반려동물을 그저 '애완동물'로만 여기는 인간들의 잘못된 행태에 대해 곱씹어 볼 수 있는
의미있는 영화가 되었을지도 모르겠지만, 이 영화에서는 볼트가 주인공이니 여기까지 다룰 수는 없었을 듯 하다.
개인적으로는 자신이 삶을 한탄하며 슬퍼하는 미튼스의 표정에서는 얼마전 한국단편 애니메이션 영화제에서
 보았던 한 작품 가운데 고양이와 강아지 한 마리가 바에 앉아 자신의 처지를 슬프게(정말 구슬프게!) 그들 만의 언어로
이야기하던 그 작품이 떠올랐다.

기술적인 얘기를 거의 하지 못했는데, <볼트>는 얼핏 사전 정보없이 보면 이 영화가 디즈니 작품이 맞나 싶을 정도로 휼륭한
3D 그래픽 영상을 제공하고 있다. 특히 볼트의 털들은 자연스럽게 잘 표현되고 있으며('털'이라는 것이 그래픽 수준을 판단하는
하나의 기준점이라는 점에서 <볼트>는 제법 우수한 애니메이션이라고 볼 수 있겠다), 초반 영화 속 장면들 영상에서는
실사를 방불케 하는 깔끔한 디자인을 선보이기도 했다. 이 영화가 영상 측면에서 디즈니 작품으로 확 와닿았지 않았던 또 다른
이유는 캐릭터들의 모습 때문이기도 했는데, 마치 <인크레더블>에서 뛰쳐나온듯한 인물들의 이목구비는 이 영화에 장점도
단점도 될 수 있을 듯 하다.




존 트라볼타가 더빙한 볼트의 목소리 연기는 만족스러웠다. 존 트라볼타의 목소리가 제법 익숙한 나로서도 영화 초반 이후부터는
그의 이미지를 지우고 극에 몰입할 수 있었으니 이 정도면 성공이다. '페니'는 마일리 사일러스가 연기했는데 크게 나쁘지도
좋지도 않았던 것 같다. 영화의 엔딩 크레딧에는 노래가 한 곡 흐르는데 더빙 연기를 맡은 두 배우가 직접 노래하고 있다.
오랜만에 존 트라볼타의 노래를 듣게 되어 반갑기도 했다. 3D 디지털 자막 버전을 보고 싶었으나 국내에서는 사실상 상영하는
곳이 없음으로 불가피하게 일반 자막 버전을 선택했는데, 3D 버전을 보지 못한 아쉬움이 여전히 남는다. 더빙 판본에 대해서는
호불호가 갈리는 듯 한데, 나중에 DVD나 블루레이가 출시되면 확인해 봐야 할 것 같다.



1. 사실 원래 제목은 '뻔한 감동, 그래도 감동' 이었다. 아....이 참을 수 없는 동심의 용솟음이란 -_-;;

2. 영화를 보고나니 다시 한번 반려동물과 함께 하고 싶은 생각도 용솟음쳤다.

3. 엔딩 크래딧 디자인의 구성이 마치 <월-E>와 흡사함을 느꼈다.



 
글 / 아쉬타카 (www.realfolkblues.co.kr)


본문에 사용된 모든 이미지의 저작권은 월트디즈니에 있습니다.










은하철도 999 리턴즈 - Episode 1 : 신비소녀 쥬라 (IMAX)


개인적으로 애니메이션에 남다른 애착을 갖고 있는터라 TV용 애니메이션의 극장판이 국내에서 개봉하게
되는 흔치 않은 경우라던가, 추억의 애니메이션들을 극장에서 볼 수 있는 역시 흔치 않은 기회들은
여러 악조건들을 감안하고서라도 꼭 챙겨보려고 애쓰는 편입니다(하지만 이런 노력도 최근에는 조금
무뎌져서, 예전에 '어린이 영화제'에서 상영했던 <이누야샤 극장판 - 홍련의 봉래도>를 본 것이
이런 류의 애니를 극장에서 관람한 가장 최근이 아니었나 싶기도 하네요).

이런 제게 최근 가장 관심있게 들려온 소식은 바로 '은하철도 999' 관련한 소식이었습니다.
그냥 극장판을 개봉하는 것도 아니고, 아이맥스 포맷으로 63빌딩 아이맥스 관에서만 특별 개봉한다는
소식이었죠. '은하철도 999'는 최근 EBS에서 방영하며(현재는 종영했죠) 다시금 관심을 끌기도 했었는데,
전부 챙겨보지는 못했지만 틈틈이 보면서 새삼, 참 어린이들이 즐기기에는 너무 어려운 작품이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하기도 했었습니다. 그리고 역시 새삼스럽지만 너무 앞서간 작품 중의 하나가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들었구요.

여튼 이런 은하철도 999가 아이맥스 포맷으로 새롭게 선보인다니 관심을 갖지 않을 수가 없었습니다.
그래서 다른 극장들과는 달리 예매 시스템도 편리하게 지원되지 않고(좌석제가 아니죠),
크리스마스라는 날의 특수성을 미리 고려하지 못했음에도 과감하게 63빌딩으로 수년만에 발걸음을
옮기게 되었습니다.




일단 영화 외적인 얘기를 조금 드리자면, 크리스마스라는 대형 이벤트 데이이기는 했지만 정말 그리도 사람들이
많을 줄을 왜 미처 생각 못했을까요. 63빌딩을 가득채운 엄청난 인파들 때문에 예매를 하고나서도,
'그냥 환불하고 어서 이 빌딩에서 탈출할까?'하는 생각이 절로 들 정도로 정신이 없는 분위기였는데,
63빌딩 아이맥스관의 특성상 좌석제 보다는 그냥 입장하는 방식을 택한 듯도 보이지만, 이렇게 사람이 많이 모이다보니
극장 분위기보다는 놀이동산 분위기가 나더라구요.

줄을 서서 입장하는 것도 그랬고, 엄청난 인파들과 섞여 자리에 앉아 '관람'이 아니라 '체험'하는 듯한 분위기도 그랬고,
전체적으로 놀이동산에서 대형화면과 움직이는 의자에 앉아 관람하는 특수영화를 보는 듯한 느낌이었습니다.
러닝타임이 약 40분 남짓 인것도(가격은 대인 8,000원 이었습니다) 그러했구요.

이런 화기애매(?)한 분위기에서 관람한 <은하철도 999 리턴즈>는 일단 초대형 아이맥스 스크린으로 관객들을
압도하며 시작하였습니다. 그런데 뭐랄까 화질 자체가 그리 좋은 편은 아니었던 것 같습니다. 영화 상영 전에 볼 수
있었던 아이맥스 트레일러와 비교하여도 별로 좋은 화질은 아니었던 것 같네요.

작품은 '은하철도 999'라는 제목을 달고 있지만, 전체적으로 봐서는 인물과 기본 설정만 빌려왔을 뿐
완벽하게 원작의 세계를 반영하고 있지는 않은 듯 보였습니다. 좀 더 단순하게 얘기하자면 '은하철도 999의 아이맥스 버전'이
아니라 '아이맥스 영화의 은하철도 999 버전'이랄까요. 999보다는 아이맥스가 위주가 된 이야기 구조와 영상들로
이루어진 작품이었습니다. 3D로 제작된 <폴라 익스프레스>가 그랬던 것처럼 아이맥스 포맷을 위한 장면들이 주를
이루고 있었고(999 열차가 관객들 눈 속으로 빠져들듯 지나가는 장면이라던가, 눈 바로 옆을 스치는 앵글로 만들어진
장면들이 많았죠), 스케일을 보여주기 위해 인물들을 멀리서 이동 카메라로 바라보는 듯한 장면들도 제법 있었습니다.

이 영화가 은하철도 999보다는 아이맥스에 집중하고 있다고 얘기한데에는 이런 영상적인 측면 외에 스토리에 관한
이유도 있었는데, '지구의 온난화'와 '공룡의 멸종' '갈릴레오 위성' 등 상당히 교육적인 내용들이 담겨있었습니다.
마치 교육용 다큐를 보는 듯한 느낌이 들 정도로 철이와 메텔의 설명을 통해 공룡들이 지구에서 어떻게 멸종했으며,
지구 온난화로 인해 어떤 일들이 벌어지게 되는지 친절한 설명을 듣는 느낌이었습니다. 공룡을 등장시키다보니
영상 측면에서도 아이맥스의 장점을 100% 활용할 수 있는 장면들을 만들어낼 수 있었구요.

앞서 이야기했던 것처럼 원작인 <은하철도 999>는 어린이들이 제대로 이해하기는 쉽지 않은 상당히 심오한 세계관을
갖고 있는 작품인데, <은하철도 999 리턴즈>는 갑자기 너무 아동스러워진 느낌이었습니다. 갑자기 너무 쌩뚱맞은
희망의 메시지라던가, 아무 설명없이 급하게 시작되고 급하게 마무리되는 이야기는 더더욱 그런 느낌이 들게 했구요
(그래서 마지막에 '자, 다 같이 안드로메다로 출발!'했을 때 왠지 어울린다는 생각에 웃음이 나오기도 했네요 ㅎ).

아이맥스의 초대형 화면으로 보여지는 영상은 흥미로웠으나 왠지 모르게 부자연스러움이 느껴지더군요.
마치 게임 중간에 삽입된 영상을 보는 듯한 느낌이 들었는데, 인물들의 움직임이 게임 속 캐릭터 처럼 조금 부자연스럽게
느껴졌습니다. 그리고 무엇보다 주요 배역들의 우리말 더빙이 어색하다보니 999스럽지 않아 어색했던 것도 있구요
(참고로 이 작품은 100% 우리말 더빙판만 상영하고 있습니다).
메텔의 목소리는 스컬리 역할로 유명한 서혜정님이 맡았는데 뭐 그럭저럭 이었다고 생각되나, 철이와 차장의 목소리는
끝내 적응이 안되더라구요. 익숙한 두 캐릭터의 목소리가 없다보니 더더욱 은하철도 999 스럽지 않았던 것 같네요.

결과적으로 <은하철도 999>를 생각하고 오신 분들은 조금 실망하실 수 있는 작품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메텔과 철이, 차장, 은하철도 999가 등장하기는 하지만, 그 익숙한 목소리도 없고, 이야기의 분위기도 사뭇 틀리니까요.
하지만 63빌딩 아이맥스 관 대형 스크린의 웅장함에서 뿜어져 나오는 일종의 '체험'을 원하시는 분들께는 그리 나쁜
선택이 되지 않을지도 모르겠네요. 관람보다는 '체험'이 위주가 된 애니메이션인듯 싶습니다.


1. 하록 선정과 에메랄다스가 우정 출연하고 있습니다 ^^;

2. 엔딩 크래딧을 보니 영어 더빙 캐스트가 나오던데, 미국에서 상영하는 버전에 우리말 더빙을 한 것이 아닌가 생각이
   들기도 하네요.

3. 이럴바에야 처음 999호를 타고 출발하는 장면에서 김국환의 주제곡이 신나게 울려펴졌으면 어떨까 하는 생각이
   들더군요. 이 명곡을 아이맥스 대화면을 통해 들었다면 초 감동이었을텐데 말이죠;;;

4. 이 에피소드의 주인공 중 하나라 할 수 있는 '쥬라' 캐릭터를 보니, 왜 이렇게 '록맨'이 생각나던지요
    (쥬라의 아빠는 정말 록맨 같더라구요 ㅎ)

5. 원제를 찾아보니 '은하철도 999 별하늘은 타임머신 에피소드 1 : 태양계 공룡 멸종편' 이군요 ;;;

6. 현재로서는 1월 19일까지 상영 스케쥴이 잡혀 있네요.




 
글 / ashitaka (www.realfolkblues.co.kr)





벼랑 위의 포뇨 (崖の上のポニョ, 2008)
다섯 살 아이의 순수함, 그 세계

스튜디오 지브리. 제가 세상에서 가장 좋아하는 영화(애니메이션) 제작사이자 가장 많은 영향을 끼친 작품들을 만들어낸
스튜디오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미야자키 하야오로 대표되는 애니메이션 제작 스튜디오이지요(이 창대한 시작 문구로
알 수 있듯이 저는 지브리와 미야자키 월드에 흠뻑 빠져있는 팬이며, 객관적인 평가가 되지 못할 수 있음을 미리 경고해
둡니다. 하긴 평이라는 것이 어차피 주관적이지만요).
<하울의 움직이는 성>이후 다시금 직접 몸소 나서신 미야자키 하야오의 작품인 <벼랑 위의 포뇨>는 기획 단계서부터
큰 기대를 갖게 했던 작품이었습니다. 미야자키의 아들이 연출을 맡았던 <게드 전기>가 전체적으로 아쉬움이 많았던
작품이었기 때문에 더 기대를 하게 되었는지도 모르겠네요(제가 쓴 <게드 전기>리뷰를 보면 아실 수 있지만,
엄청난 혹평들에 비해 저는 그럭저럭 최악은 아니었다고 봤었구요).

<갓파쿠와 여름방학을>의 경우가 그랬듯이, 사실 <벼랑 위의 포뇨>는 포스터만 보고는 별로 끌리지는 않았던 작품이었습니다.
뭐랄까, 제가 개인적으로 별로 좋아하지는 않는 얼굴이랄까요? <갓파쿠와 여름방학을>같은 경우도 일본 애니메이션의
팬이었음에도 불구하고 결국 보질 않았던 것도 갓파쿠의 생김새가 크게 작용했었거든요.
이렇게 엄청난 기대와 조금의 우려도 있었던 <벼랑 위의 포뇨(이하 '포뇨')>는 결과적으로 다시 한번 미야자키 하야오의 마법같은
시간을 함께 할 수 있었던 애니메이션이었으며, 무엇보다 어른으로서 잃어가는 순수함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해 보게 된
작품이 아니었나 생각됩니다.



(이후 부터는 영화에 대한 스포일러가 있을 수 있습니다. 아직 영화를 보지 않으신 분들께서는 마지막 단락으로
이동해 주세요)




(이 스틸컷만 보니, 마치 괴수물의 도입부분과 흡사하군요. 어떤 공포스런 미확인 물체가 인간을 덮치기 이전에는
꼭 저런 앵글의 컷이 등장하죠. 멀리서 간을 보는 장면이랄까요. 물론 <포뇨>에서는 전혀 이런 분위기를 찾을 수 없지만요)


고전인 <인어공주>의 이야기를 미야자키 하야오 식으로 풀어낸 <포뇨>는 인간의 얼굴을 하고 있는 인면어 '브룬히루데'가
인간인 소스케를 우연히 만나게 되면서 겪게 되는 일들을 다섯 살 어린이의 시각으로 그린 작품입니다. 소스케 등장 이전에
'브룬히루데('포뇨'라는 이름이 붙여지기 전에 본래 이름입니다)'가 살고 있는 세계가 묘사되는데, 이 세계의 모습은
동화 속 그것을 연상하게 합니다. 인간이지만 바다의 여신과 결혼하여 바다 속에서 인간들로 인해 오염된 세계를 정화시키기
위해 나름 꾸준히 노력하고 있는 '후지모토'를 중심으로 이 세계는 조명되는데, 마치 <하울의 움직이는 성>의 하울과도
같은 포스의 뒷모습을 풍기는 듯 하지만, 이 후지모토 캐릭터의 역할은 '하울'과는 분명 다른 점에 있다 하겠습니다.

사실 영화를 보는 내내 이 '후지모토'라는 캐릭터에 대해서 연민이 느껴졌는데, 그에게서는 <렛 미 인>에 등장했던 '이엘리'의
보호자 격 남자의 모습과, <빌리 엘리어트>의 '빌리' 아버지와도 같은 부정이 엿보였기 때문이었습니다. <포뇨>는 악당이
나오지 않는 드문 작품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는데, 혹자들은 '후지모토'가 악당 역할이 아니냐 할 수도 있겠지만,
자세히 보면 자식을 걱정하는 아버지의 느낌이(매우 동양적인) 강하다는 것을 느낄 수 있습니다. 표면적으로는
포뇨가 인간이 되는 것을 막고 싶어 하는 것처럼 보이기도 하지만 사실은 포뇨가 인간에게 선택 받지 못해 인간이 되지
못했을 경우 받을 상처와 일들이 걱정이 되어 미리 예방하려 하는 것이고, 인간과 다른 존재와의 결합이 행복하지 만은
않다는 것을 자신 스스로가 직접 느낀 바가 있기 때문에(아마도 그는 바다의 여신을 극진히 사랑해서 인간 세상과 멀어져
바다 속 삶을 택한 것이겠지만 그로 인해 외로움도 느꼈을테지요. 자신의 딸인 포뇨가 이런 외로움을 겪지 않도록 하기 위해
조심스러워 했던 것 같구요. 잘 생각해보면 '인어공주' 스토리는 포뇨의 아버지인 후지모토의 이야기가 아니었나 싶습니다),
자신의 품 안에서 영원히 행복하게 돌보고 싶었던 '아버지의 마음'이 깊었던 경우가 아닐까 싶습니다.

그런데 후지모토의 마음 깊은 곳에서는 포뇨가 인간인 소스케와 더불어 잘 되었으면 하는 바램이 애초부터 있었다는 걸
엿볼 수도 있었습니다. 만약 그렇지 않았다면 끝끝내 둘의 만남을 막거나 했어야 했는데 결국엔 그러지 않았고,
더 나아가 애초부터 '브룬히루데'가 '포뇨'라는 이름을 얻게 된 이후로 '포뇨'라는 이름을 적극적으로 불러주었거든요.
<포뇨>에서 후지모토라는 캐릭터는 단순히 개그를 치는 조연 캐릭터로 보일 수도 있지만, 자세히 보면 이 세계를 풍부하게
만드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캐릭터라 생각됩니다.




초반 바다속 에서 포뇨가 처음 등장했을 때 잠깐 움찔 놀라게 됩니다. 왜냐하면 포뇨와 닮은 수 많은 '포뇨스럽게' 생긴
이들이 단체로 등장하기 때문이죠. 그렇다면 포뇨는 저들의 엄마인가? 하고 생각할 때쯤 '엄마'가 아니라 '언니'라는 것을
알게 됩니다. 그런데 저는 단순히 포뇨가 먼저 태어났거나 마법으로 인해 생겨난 프로토 타입이라던가 라고만은
생각하게 되지 않더군요. 이후 포뇨가 소스케의 피를 마시고 인간으로 변하기 이전에도 포뇨는 동생들보다 월등히
큰 몸집을 갖고 있었는데, 마치 '매트릭스'의 존재를 깨우친 네오와도 같이, 물 밖 인간들의 세계에 대한 호기심으로 인해
동생들이 모르는 세계에 대해 일찌감치 깨우치게 되었고, 이런 깨우침으로 인해 궁금한 점들이나 욕구들이 많아졌으며,
그로 인해 발달하지 않았던 신체가 발달하여 동생들과는 사뭇 다른 존재가 되지 않았나 싶더군요.
이렇게 보자면 아예 동생이라고 불리는 이들과 똑같이 만들어지거나 태어난 존재였지만, 유독 발달하여 '언니'로서의
입장에 놓이게 된 것일지도 모르고, 아니면 애초부터 프로토 타입으로 생겨난 존재일지도 모르겠구요.

아마 이 동생들도 포뇨가 이렇듯 시스템에서 벗어난 행동을 하기 전까지는 별다른 욕구불만이 없었겠지만,
작품을 보면 알 수 있듯이 동생들이 굉장히 포뇨를 부러워하는 것을 알 수 있죠. 그래서 자신들은 못하지만 포뇨가
꿈을 이루는데에 적극적으로 돕게 되고, 이를 통해 자신들도 변화되어 가는 과정을 겪게 되는거죠.
포뇨와 동생들의 관계도 흥미로웠던 설정이 아니었나 생각됩니다.



(정통 클래식 음악에 가까운 배경음악과 함께 포뇨가 파도위를 춤추듯 달리는 이 장면은, <벼랑 위의 포뇨>의 명장면 중
하나라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 속도감도 좋았고, 묘한 느낌도 좋았죠)

이 영화에서 또 하나 독특한 캐릭터를 꼽자면 소스케의 엄마인 '리사'역할을 들 수 있겠습니다. 초반부터 심상치 않은
운전 스킬로(폭풍우 치는 좁을 길에서도 드리프트를!!) 보는 이를 움찔하게 했던 리사는, 어린이들의 세계가 주가 되는
<포뇨>에서 '후지모토'와 포뇨의 엄마와 더불어 어른들의 입장을 대변하는 인물로 등장합니다(사실 대변한다기 보다는
이런 어른이 되야 한다 라는 쪽이 더 어울리겠네요). <포뇨>에서 리사가 가장 돋보이는 점은 화려한 운전 실력도,
남편의 빈자리를 채우다 못해 영웅적인 면모까지 발휘하는 모습도 아닌, 포뇨를 받아들이는 모습에 있다 하겠습니다.
사실 갑자기 어디서 이상한 아이가 굴러들어왔을때(포뇨는 굴러들어왔다는 느낌이 강하죠 ㅎ), 단 한번의 의심이나
고민도 없이, 아무런 스스럼없이 포뇨를 소스케와 동일하게 받아들이게 됩니다. 이것은 어떻게 보면 미야자키 월드에서나
가능할 법한 일일이도 모르겠는데, 마법을 부리고 더군다나 며칠 전에 물고기로서 만났던 이가 갑자기 꼬마 아이로
등장했음에도 이 아이를 그대로 받아들이는 리사의 모습은, '멍청하다' '허술하다'라기 보다는 '깨어있다' '열려있다'로
봐야 더 맞을 듯 합니다.

이 영화가 결국 말하려는 것은 아이의 순수함에 대한 경이와 그 세계에 대한 동경이라고 할 수 있을텐데,
어른의 입장에서 봤을 때 순수함을 갖은 아이에게 얼른 어른이 되는 방법을 가르치기 보다는, 그 순수함을 더 오랫동안
지켜나갈 수 있도록 곁에서 도와주는 것이 옳은 부모의 자세다 라는 것을 이야기하고 싶었는지도 모르겠습니다.
초반부터 언급한 후지모토를 비롯해, 소스케의 엄마인 리사, 그리고 포뇨의 엄마인 '그랑망마레'까지...
<포뇨>는 어린 아이들의 순수한 세계를 가감없이 편견없이 그려내려고 노력한 작품인 동시에, 한 편으론 이런 아이들을
보호자 입장에서 바라보는 부모에 대한 영화로도 읽을 수 있을 것 같네요.



(리사의 옆 모습에선 '하울'이 어렸을 적 '캘시퍼'를 처음 받아들일 때의 옆 모습과, '나우시카'의 옆 모습이 동시에
연상되더군요)

부모에 관한 작품이라는 점은 후반부에 가서 직접적으로 드러나는데, 포뇨의 앞으로에 대한 일들을 놓고
소스케의 엄마인 리사와 포뇨의 엄마인 그랑망마레가 마치 학부모 모임에서 만나듯 '누구 어머니 되세요?'하며
만나게 됩니다. 물론 여기에는 앞서 언급했던 것처럼 말도 안되는 비현실 세계에 대한 편견이 없는 리사에 가치관이
있었기 때문에 근본적으로 가능했던 일이겠지요. 그리고 여기에는 리사와 포뇨의 부모들과 함께 노인정에서 피신한
노인들이 등장하는데, 이들도 리사와 마찬가지로 거리낌없이 이들을 받아들입니다. 그런데 이 중에 한 할머니가 계속 되는
의심을 갖고 불신을 이야기하는데, 사실 여느 작품 같다면 이 할머니가 유일하게 깨어있는 사람으로 등장해서 마수에 걸려있는
중생들을 깨우치는 역할을 했겠지만, 미야자키 월드에서는 '왜 순수하게 믿지 못하는가?'라는 것을 되묻기 위한 캐릭터로서
등장하고 있습니다.

미야자키 하야오의 인터뷰를 보니 '다섯 살 아이들은 신과 인간의 중간에 놓여있다' 라고 했던데 이런 마음에서, 어른들은
잃어버린 순수함에 대해 노인이 된 미야자키 하야오가 들려주고 싶은 '원석'과도 같은 이야기가 아니었나 싶습니다.

부모들에 대한 얘기를 좀 더 해보자면, 리사와 그랑망마레의 대화는 영화 속에 직접적으로 묘사되고 있지 않지만,
분위기로 보았을 때 그저 아이들이 원하는 대로 해주자 라는 식으로 흘러갔다고 봐도 좋을 것 같습니다.
아이들이 원하는 것이 결국은 옳은 것이다, 부모의 입장에서는 아이들의 세계를 멀리서 지켜주자 라는 것이 이 두 부모의
선택이었던 셈이이죠.



(아마도 '포뇨'는 지브리 역사상 가장 귀여운 캐릭터가 아니었나 싶습니다. 대책없이 대놓고 귀여우니까요 ^^;)

<벼랑 위의 포뇨>를 일반 영화보는 방식으로 보게 되면 여기저기 모순 점 투성이고 이해안되는 부분도 분명 많을 거라
생각됩니다. 사실 개인적으로도 다른 영화를 볼 때는 의심이 눈초리로 보게 되는 경우가 많고, 캐릭터의 몸짓, 말짓
하나에도 무언가 암시하는 의도가 있지는 않나 생각하며 보는 스타일인데, 미야자키 하야오의 작품들을 좋아하는 이유는,
(특히 포뇨는!)이런 의심 가득한 시선들 없이 맘 편하게 즐겨라 하고 얘기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물론 미야자키 하야오의 작품들 가운데는 마냥 즐기는 것보다는 메시지가 중심이 되는 경우가 오히려 더 많지만,
여기서 말하는 '의심의 눈초리'는 필요없는 작품들이었거든요.

다섯 살 아이가 중심이 된 순수한 세상에 어떤 의심의 눈초리가 필요하겠습니까. 제가 봤을 땐 한창 때의 미야자키 하야오
였다면 이런 작품을 만들지 못했을 거라고 생각해요. 따져봐도 나름 젊었을 때(?) 미야자키 하야오의 작품들을 보면
결국 순수함과 진리로 포용하기는 했지만, 환경파괴와 문명화, 기계화에 대한 비판적 메시지가 강했었는데,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이후는 점점 손자, 손녀를 바라보는 할아버지의 입장으로서 비판적인 마인드 보다는
순수함에 대한 동경과 보호가 더 앞서는 작품들을 만들고 있지 않나 싶습니다. <센과 치히로..>를 보면서도 감독이
치히로를 그리는 것을 보면 안타까워 함을 느낄 수 있었는데, <포뇨>에서는 이렇듯 아이를 할아버지 입장에서
바라보는 시각이 좀 더 강해지지 않았나 생각합니다. 이 것이 일부에서는 일종의 '늙었다'라는 단점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는데, 저는 개인적으로 미야자키 하야오의 세계를 아우르고 있는 기본 정서가 동심을 비롯한 순수함에 근거했다는
점에서 미야자키 하야오가 나이를 먹어감에 따른 자연스러운 현상으로 여겨지더군요.
장면 장면에서 따뜻한 시각을 느낄 수 있었고, 동심의 순수함을 동경하는 그의 생각을 엿볼 수 있었거든요.
많은 이들이 유치하다라고들 하지만 이건 어디까지나 다섯 살 아이들의 입장에서 그들을 위해 만든 할아버지의 작은
선물이니까요.




히사이시 조의 음악은 전체적으로 임팩트 면에서는 최근작 <센과 치히로..>나 <하울의 움직이는 성>에 비해 조금
약하다고 느껴지긴 했지만, 엔딩 크래딧에 흐르는 '포뇨~ 포뇨, 포뇨~'하는 주제곡만으로도 깊은 각인을 전하기에는
충분하지 않았나 싶네요(이 노래가 입에서 떨어지질 않는군요). 물론 앞서 잠시 언급했던 정통 클래식 스타일의 곡들도
좋았구요. 역시나 미야자키 월드를 완성시키는 건 히사이시 조의 음악이 아닌가 생각됩니다.

사실 미야자키 하야오의 작품을 팬심없이 바라본다는 건 어쩌면 어려울 지도 모르겠습니다. 왜냐하면 그의 작품의 근거는
항상 변하지 않는 순수함에 있기 때문인데, 이를 보는 관객들은 점점 나이를 먹기 때문이죠. 작품은 계속 아이의 순수함으로
머물러 있으나 보는 이들은 나이를 한살 한살 먹어가기 때문에 점차 간극이 벌어지는 듯한 느낌도 있구요.
그래서 인지 개인적으로는 다른 작품들을 보면서 벌어진 이 공간을 미야자키 하야오의 작품을 보며 다시 좁혀내는
듯한 느낌을 받게 됩니다. 사실 영화를 보기 전에 포스터의 '포뇨'모습만 보고 조금 이상하다 하고 생각했던 것이나,
'포뇨'의 주제곡을 미리 듣고는 조금 유치하고 아동스럽다고 생각했던 것들이, 작품을 보고 나서는 다 다르게 생각하게
되었거든요.

환경 파괴에 대한 메시지도 분명 담고 있지만, <포뇨>는 이를 전작들에 비해 깊게 다루고 있지 않습니다.
물론 개인적으로는 이런 비판적 메시지가 깊게 담긴 작품들을 다시 만들어주기를 기대하고 있기도 하지만,
그것은 그것대로 의미가 있듯이, 이런 작품은 이런 작품대로 의미가 있다고 생각됩니다. 그것이 미야자키 월드이구요.

영화라는 것은 어차피 그 세계에 빠지지 못하면 공감하기 힘든 장르라 할 수 있습니다.
<벼랑 위의 포뇨>는 5세에 맞춰졌기에 더 많은 이들이 공감하기 어려운 것도 사실인듯 싶구요.

개인적으로는 다시 한번 미야자키 하야오의 이야기와 그 세계에 매료되게 된 작품이었다고 말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1. 며칠 전 <다크나이트> 블루레이를 사려고 들렀던 매장에서 <벼랑 위의 포뇨>OST를 보고는 고민하다가 그냥
   지나쳤는데, 결국은 질러야 겠군요!

2.

후지모토는 왠지 살짝 목소리도 그렇고 오다기리 죠가 연상되기도 하더라구요. 문득 문득 멋진 모습도 보여주는데
폐인스러움도 갖췄다고 할까요 ㅋ

3. 크리스마스에 한 번 더 봐야 할 것 같군요.

4. 사실 닭살스러운 캐릭터를 별로 좋아하지 않는데, '포뇨'는 대책없이 귀여운대도 좋았던 것 같습니다.

5. '소스케! 좋아!' 더 많은 대사는 필요없어요. 사실 여기에 다 담겨있기도 하구요.




 
 
글 / ashitaka (www.realfolkblues.co.kr)


본문에 사용된 모든 이미지의 저작권은 스튜디오 지브리에 있습니다.



피아노의 숲 (ピアノの森, 2007)
클래식으로 풀어낸 두 아이의 우정


오랜만에 극장에서 일본 애니메이션을 만나고 왔습니다. 국내에는 <시간을 달리는 소녀>를 제작했던 '매드하우스'의 작품임을
강조하는 홍보가 강했는데, 이런 면에서 만약 <시달소>를 염두에 두고 극장을 찾게 된다면 이 영화 <피아노의 숲>에는
적잖이 실망을 하게 될지도 모르겠습니다. 왜냐하면 <시달소>의 경우가 소녀의 풋풋한 감성과 소녀가 어른이 되어 가는
과정을 감동적으로 그려낸 애니메이션이라면, <피아노의 숲>은 '소년'이라기 보다는 '아이'에 가까운 두 남자 아이가
피아노와 음악을 통해 우정을 키워나가고 조금씩 자신과 주변을 알아가게 되는 내용으로, 전자보다는 좀 더 아동용에
가까운 애니메이션이라고 할 수 있겠네요('아동용'이라는 표현을 마치 작품을 무시하는 것으로 오해하시는 분들이 종종
계신데, 아동용이란 말 그래도 어린이들이 보기에 적절한 영화라는 그 본 의미로 쓰인 것이며, 사실 제대로 된 교훈적
이야기를 담은 애니메이션이 그리 많지 않다는 점에서 어쩌면 더 돋보이는 표현일지도 모르겠네요).




영화의 줄거리는 아주  단순합니다. 클리셰의 향연이랄까요. 만약 이런 음악가나 클래식을 소재로 한 드라마나 영화를
보았던 이들이라면 대부분 과정과 결말을 미리 예상할 수 있을 정도로 그 다지 새로운 이야기는 아니라 할 수 있겠습니다
(특히나 마지막 연주회 부분이나 그 이후에 방향을 보면 일본 드라마 <노다메 칸타빌레>와 많이 비슷한 결말을 보여주기도
합니다. 뭐 이건 '노다메'의 전유물이라기 보다는 이런 류의 스토리가 보여주는 전형적인 클리셰라고 봐야겠죠).
스포일러가 될 수도 있어 구체적으로 언급하지는 않겠지만(사실 이야기가 새로울 것이 없어서 굳이 스포일러까지 될까
싶기도 하지만서도), 그렇다면 <피아노의 숲>이 이렇게 뻔한 이야기를 들려주고 있음에도 나름 괜찮은 아동용 애니메이션으로
평가하게된 이유는 어디에 있을까? 그건 바로 뻔한 이야기를 어떻게 들려주느냐 하는 것에 있을텐데, 일단은 이런
일반적인 흐름을 다시 한번 생각해볼 수 있도록 짜임새 있는 이야기 구조를 보여주고 있고, 더나아가 아이들이 볼 때에도
완벽하게 이해하기는 어렵겠지만 그래도 나중에 더 컸을 때 비슷한 류의 영화나 드라마를 보면, '아, 맞어, 예전에 보았던
만화에서 비슷한 걸 보았었는데'하는 기억이 날 정도로 은연 중에 교훈적인 내용을 잘 전달하고 있다고 생각됩니다.




이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은 뭐니뭐니해도 영화의 주요 소재로 사용된 피아노 연주와 클래식 음악을 들 수
있겠습니다.  베토벤이나 모짜르트 사진을 보고는 '얘는 누구야?' '쟤는 또 누구고?'하고 얘기하던 주인공 카이가
피아노를 연주하게 되면서 점차 얼마나 진지한 모습을 보여주는지도 관심있게 봐야할 장면들이고, 일본 애니메이션 답게
클래식 전문 작품이 아님에도 음악적인 기본기에 상당히 신경을 쓰고 있는 작은 장면들도 놓치기 아쉬운 장면들입니다.

무엇보다 이 작품이 나름 인상적이었던 이유는 타고난 천재와 노력파를 각각 그리면서, 이 둘을 갈등을 모두 다
제법 깊게 그려내고 있다는 점입니다. 사실 <아마데우스>의 모짜르트와 살리에르처럼 이런 관계에 대한 묘사는 여러번
있어왔던 것이지만, 아이들의 눈에 맞게 아주 심오하지는 않으면서도 그 정곡은 제대로 찌르고 있는 구성이 마음에
들었습니다. 특히나 단순히 천재 소년의 놀라운 능력에만 집중하지 않고 오히려 끊임없이 노력해도 천재적인 친구를
이길 수 없다는 좌절감을 몸소 체험하고 한 걸음 더 성장하는 아이의 모습을 가볍지 않게 그려내고 있습니다
(대부분 아동용 작품이라면 아마도 단순히 천재소년에만 집중했겠죠. 그래서 <피아노의 숲>이 오히려 참 교훈적이라는
얘깁니다. 이런 관계를 그리면서도 어느 한쪽을 악당으로 몰아세우지 않고, 각자의 입장이 다 이해되도록 그려내는 점
말이죠).




이 두 아이의 이야기 가운데 선생님의 '어른'이야기가 잠시 끼어드는데, 제가 보았을 땐 끼어들 수 있는 최대한의
안전한 범위 내에서만 참여하고 있는 정도입니다. 즉 더 끼어들었으면 자칫 이야기가 아이들의 이야기가 아니라
과거가 있는 이 어른의 이야기로 흘러갈 수도 있었고, 아이들 관객들이 보기에도 어려워질 수 있었으나 그 아슬아슬한
범위를 잘 지켜내고 있다는 점이죠.

그리고 리뷰 내 스틸컷은 삽입하지 않았지만 이 두 남자 아이 외에 피아노 콩쿨에 참여하는 여자 아이의 이야기가
후반 부에 등장하는데, 재미면에서 보나 내용면에서보나 이 여자 아이의 등장은 탁월한 선택이었던 것 같습니다.
자칫 너무 뻔한 이야기로만 흐를 수도 있는 과정 속에서 약간의 긴장을 주었고, 개그와 아련함이 적절히 섞인
독특한 시퀀스로 또 다른 메시지를 들려준 것 같기도 하구요.
원작인 만화에서는 영화 속 이야기 이후의 이야기를 계속 들려준다고 하는데, 이 여자 아이의 이야기도 전개가
되는지도 궁금하네요.




목소리 연기로 우에토 아야와 이케와키 치즈루가 참여하고 있는데, 이케와키 치즈루의 경우 좋아하는 배우이긴 하지만,
워낙에 애니메이션에 흠뻑 빠져들다보니 그녀의 목소리를 특별히 인지할 정도는 아니었던 것 같습니다.
만약 제게 아이가 있다면 요 정도의 애니메이션을 먼저 보여줄 것 같아요. 교훈적이기도 하고 많이 어렵지도 않으면서,
음악이나 피아노에 흥미를 갖기에도 충분한 작품이니 말이죠.
아마도 이 영화를 극장에서 본 아이들은(실제로도 제가 본 극장에서는 아이들과 함께 온 부모님들이 대부분이었습니다),
집에 갈 때 피아노 사달라고 하는거 아닌가 모르겠네요 ^^;




 
 
글 / ashitaka (www.realfolkblues.co.kr)


본문에 사용된 모든 이미지의 저작권은 매드하우스에 있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캐나다 오타와 국제 애니메이션 영화제 07 수상작 모음

'세상의 모든 애니메이션'이라는 제목으로 8월 21일부터 9월 3일까지 이대 ECC 내의 아트하우스 모모에서
열리고 있는 영화제에 이제야 들러보게 되었습니다. 조금 늦은 탓에 처음 방문한 오늘은 콘도 요시후미 감독의
<귀를 기울이면>과 '캐나다 오타와 국제 애니메이션 영화제 수상작 모음'을 연달아 관람하게 되었네요.
<귀를 기울이면>의 감상기는 이미 포스팅을 하였으니, 이번에는 짧게나마 오타와 영화제의 단편들에 대한
감상기를 올려보겠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번 오타와 국제 애니메이션 영화제 모음집들에서는 총 8개의 단편 애니메이션을 만나볼 수 있습니다.
영국, 일본, 미국, 러시아 등 다양한 국가 출신의 창조적인 독립 단편 애니 감독들이 만든 작품들은,
정말 하나하나가 다 크리에이티브하고 아이디어가 반짝이는 작품들이었습니다.
이번에 아트하우스 모모에서 소개되는 오타와 영화제 수상작들은, 모모에서 처음 소개되는 것이 아니라
지난 2007년 애니충격전으로 열렸던 '2007 해외 수상작 초청전 오타와편'을 통해 소개되었던 단편들 가운데,
앞서 얘기했던 것처럼 여덟 개의 작품을 모아 소개하고 있습니다.
종합적인 이야기를 먼저 하자면, 단편 이라는 특성과 독립적인 작품이라는 성격을 감안해봤을 때, 짧으면
3분, 길면 20분이 조금 넘는 분량의 단편을 보고, 정확히 그 작품의 성격이나 감독이 말하려는 의도를
파악하기란 쉽지 않은 일이라 할 수 있는데, '애니충격전'에서는 이런 면을 감안해 관객들을 배려하는
차원에서 하나의 단편이 끝날 때마다 감독과의 인터뷰 장면을 수록하고 있어, 바로바로 작품에 대한
감독의 의도를 전해들을 수 있습니다. 마치 DVD에 수록된 부가영상이나 코멘터리를 듣는 느낌이 들기도 하죠.
하지만 개인 취향에 따라 감독의 의도나 설명보다는 자신의 주관적 해석으로 받아들이길 원하는(특히 작품이
끝나자마자 바로 설명이 따라나오는 부분이기 때문에)관객들이 있을 수 있는데, 이를 감안하여 감독의 인터뷰가
나오기 전에는 양해를 구하는 일종의 경고 문구가 등장하고, 원치 않으면 잠시 눈을 감으면 되도록, 선택할 수
있게 구성이 되어 있습니다. 이런 부분도 세심하고 귀여운 배려라고 할 수 있겠네요.


사용자 삽입 이미지

A-Z | A-Z

단편/영국/Sally Arthur/3분 20초
독립단편부문 본선초청
P부인은 런던 시내에서 자주 길을 잃고 헤맨다. 그래서 요즈음 우리는 길을 헤맬 필요가 없다.
P부인! 감사합니다!


첫 번째로 만나볼 수 있는 작품은 영국 출신 여성 감독인 Sally Arthur의 'A-Z' 입니다.
아까 감독의 인터뷰를 얘기할 때 미처 얘기하지 못했었는데, 몇몇 작품의 경우 작품의 시작 전에
'알고보면 더욱 유용한 Tip'을 수록하고 있습니다. 바로 이 단편 'A-Z' 같은 경우가 이런 Tip이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는 경우라 할 수 있겠는데, 극 중 주인공이 되는 P부인에 관련된 역사적 실제 사실을 미리 알려주어,
관객으로 하여금 좀 더 쉬운 이해를 돕고 있습니다. 실제 종이로 만든 애니메이션 느낌이 나는 3D와 2D 플래쉬
기법이 사용되었는데, 단순한 기법만큼이나 확실하게 내용을 전달하고 있고, 세계적으로 가장 유명한
영국 지도를 만든 그녀의 업적에 대한 소소한 재미와 존경에 메시지를 담고 있는 깔끔한 애니메이션이
아니었나 생각되네요.


사용자 삽입 이미지

라이트닝 두들 프로젝트 2007 - 번쩍번쩍2007 (Lightning Doodle Project 2007 - PIKA PIKA 2007)

단편/일본/Takeshi Nagata & Kazue Monno/5분
독립단편부문 본선초청
라이트닝 두들 프로젝트의 최신판. 이제부터 일본뿐이 아닌 세계투어다!


두 번째로 만나보게 되는 작품은 좀 더 색다른 단편입니다. 장시간 노출을 하는 방식을 통해 빛의 움직임을
이용하여 글씨나 그림을 표현하는 이른바 '플래시라이트 애니메이션'인데, 일단 기법 면에서 다른 단편들과는
확실한 차별성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이런 기법이 완전히 생소하거나 새로운 것은 아니지만, 이러한 기법을
통해 단편이긴 하지만 이 정도의 완성도 있는 작품을 만들어낸 것에 대해서는 분명히 인정받을 만한 작업이
아니었나 생각됩니다. 이것이 단순히 손전등이나 라이트닝 만으로 만들어낸 장면이가 싶을 정도의 디테일한
그림 묘사나 장면 묘사들도 등장하는데, 기술적인 것 외에도 편집하는 과정에서 상당한 노력이 깃들은
작품이라 생각됩니다. 5분짜리 뮤직비디오를 보는 듯한 느낌이기도 했구요.


사용자 삽입 이미지

독솔로지 (Doxology)

단편/미국/Michael Langan/ 6분 10초
학생작품부문 최우수 대학생작품상
테니스공을 통하여 이뤄지는 천상과 지상의 소통에 관한 탐구


이 작품 역시 애니메이션 기법들이 사용되기는 했지만, 실사 배경과 인물이 등장하는 독특한 단편입니다.
단순히 테니스 공을 우주로 날려버린다는 생각에서 시작된 작업이라고는 믿기 어려울 정도로,
세련된 장면들과 연출력을 선보이고 있습니다. 감독인 Michael Langan이 직접 출연을 하고 있기도 한데,
개인적으로는 테니스 장면 못지 않게, 자동차와 탱고를 추는 장면이 아주 인상깊었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존과 카렌 (John and Karen)

단편/영국/Matthew Walker/3분 30초
커미션드필름부문 최우수 성인용 TV작품상
북극곰인 존은 지난 실수에 대해 사과하기 위해 펭귄 카렌의 집을 찾아간다.


개인적으로 이번 단편들 가운데 가장 마음에 들었던 두 작품 중 하나가 바로 이 작품 <존과 카렌>이었습니다.
뭐 단편이 대부분 그렇긴 하겠지만, 이 작품은 그 중에서도 참 심플한 경우에 속합니다. 여기서 '심플하다'라는
것은 '단순하다'라는 것 외에 '깔끔하고' '집약적이다'라는 의미를 함께 내포하고 있는데, <존과 카렌>은
비록 3분 30초 짜리의 단편이고, 이렇다할 사건도 없지만 그 분위기를 정말 잘 캐치하고 있는 작품이죠.
전혀 어울릴 것 같지 않은 큰 덩치의 북극곰 존과 작은 몸집의 펭귄 카렌이 연인 사이로 등장하는데,
이들이 나누는 대화나 그 표정 하나하나는 정말로 리얼합니다. 직접적으로 말하기는 서로 부끄러워 하는
소심한 커플이지만, 굳이 입 밖으로 내지 않아도 서로의 마음을 나눌 수 있음을 보여주는 이 귀여운 커플의
일상의 에피소드는 여러가지를 생각하게 만들더군요. 소소함을 아름답게 그려낸 연출력이 무엇보다 마음에
드는 작품이었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늙고 늙어 아주 늙은 노인 (The Old, Old, Very Old Man)

단편/영국/Elizabeth Hobbs/6분 38초
독립단편부문 본선초청
나이가 152세나 된 토마스 파(Thomas Parr)가 국왕 찰스1세를 영접하고 국왕은 그의 장수를 기념하여
축제를 베푼다.


이 작품의 작화 기법은 마치 동양화의 수묵화를 보는 듯 합니다. 나중에 알고보니 그저 감독의 집에 있는
화장실 타일 위에 잉크를 풀어 만든 작품이라고 하더군요. 그래서 밑그림 원본이 남아있거나 하지도
않는다는 말이 인상적이었습니다. 약간 동양적이고 여백의 미가 강조된 형식은 작품의 내용인 노인의
모습과 아주 잘 어울립니다. 이 작품 역시 맨 처음으로 보았던 단편 'A-Z'와 같이 영화를 더욱 재미있게
즐기기 위한 Tip이 등장하는데, 이 작품에 주요 인물이라 할 수 있는 152세의 토마스 파에 관한 일화를
미리 들려줍니다. 어찌보면 여덟 작품 가운데 가장 심심한 작품이라고도 볼 수 있겠으나, 그 기법이나
인디스러움은 가장 눈여겨 볼만한 작품이라고도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톰 (t.o.m)

단편/영국/Tom Brown, Daniel Benjamin Gray/2분 57초
07 안시 국제애니메이션영화제 2개 부문(TV부문 특별상, 유니세프상), 07 선댄스 국제영화제 단편부문 특별상,
07 멜버른 국제애니메이션영화제 부문상, 06 노리치 국제애니메이션영화제 최우수 학생작품상
놀랍고 신비로운 한 소년의 여행 이야기


일단 이 작품 '톰'은 수상 경력부터가 화려합니다. 3분도 안되는 단편이 어떻길래 과연 그럴까 하는 기대에서
보기 시작했는데, 과연 짧은 시간내에도 독특한 그림체와 인상적인 이야기로 쉽게 빠져들고 말더군요.
얼핏보면 리차드 링클레이터 감독의 작품 <웨이킹 라이프>에서 쓰였던 로토스코핑 기법처럼 느껴지기도 하고,
약간 기괴하게 생긴 인물들의 모습 또한 다른 작품에서 본듯한 그림체이긴 합니다(이렇게 생긴 인물들을 어디서
분명히 본적이 있는데 어떤 작품인지 생각이 잘 안나네요 ^^;).
<톰>은 왠지 의아스럽다가 '짠!'하고 끝나버리는 작품이지만, 메시지도 '짠!'하고 담고 있는 작품이라고 생각
됩니다. 이상해만 보이는 주인공 '톰'의 학교가는 길을 통해, 관객으로 하여금 '톰'을 이상하게 여겼는지 아니면,
'톰'을 이상하게 여기는 사람들을 이상하게 여겼는지를 묻기도하는 작품이죠. 짧지만 강렬한 작품이었습니다.
나중에 나오는 감독들의 인터뷰도 재미있었구요.


사용자 삽입 이미지

말괄량이 지하르카 (Zhiharka)

단편/러시아/Oleg Uzhinov/13분 11초
어린이작품부문 최우수단편애니메이션상
러시아 우화에 기초한 애니메이션. 한 여우가 지하르카라는 어린 소녀를 잡아먹으려 호시탐탐 노리고 있다.
하지만 말괄량이 지하르카는 결코 만만한 상대가 아니다.


이번 단편들 가운데 가장 동화적이고 따뜻한 작품을 꼽으라면 주저없이 이 작품 <말괄량이 지하르카>를
꼽겠습니다. 마치 오래된 동화책을 한장 한장 넘기는 듯한 느낌의 작화는 러시아 고유의 느낌이 나면서도,
보편적인 동화적 느낌을 물씬 풍기고 있습니다. 러시아 우화에 기초하였다고 하는데, 아무래도 전 세계의
우화들은 전부 다 비슷한 것 같습니다. 이 작품을 보고 있노라면 우리나라의 예전 우화들도 떠오르고,
영국이나 다른 나라들의 유명 우화들도 연상이 되거든요. 하지만 이 단편에만 있는 요소를 꼽자면
단연 지하르카의 귀여운 러시아 발음을 들 수 있겠네요 ^^ 애니충격전에서도 패밀리 섹션에서 소개되었던
것처럼 이 작품은 온가족이 보기에 매우 안성맞춤인 따뜻한 감성이 담겨있는 애니메이션입니다.
이야기 구조는 우리가 이미 많은 우화들을 통해 익히 알고 있는 단순한 것임에도, 장면마다 웃으며
즐길 수 있었던 것이 아마도 이 작품의 가장 큰 미덕이 아닐까 싶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애니메이션 황금기 (Golden Age)

단편/미국/Aaron Augenblick/23분
커미션드 필름부문 그랑프리
애니메이션의 황금기를 지냈던 여러 캐릭터들의 영광과 좌절을 그린 애니메이션.


<존과 카렌>을 설명하면서 '가장 마음에 들었던 두 작품'이라고 했었는데, 그 다른 한 작품이 바로
<애니메이션 황금기>입니다. <존과 카렌>이 소소한 감성에 문을 두드리는 보석같은 작품이었다면, 이 단편
<애니메이션 황금기>는 그야말로 페러디와 페이크 다큐멘터리, 그리고 오마주와 독설이 한가득 맛있게
비벼진 걸작 요리라고 할 수 있겠네요. 다른 작품들에 비해 무려 '23분'이라는 긴(?) 러닝타임을 통해,
각 캐릭터의 짧은 여러 에피소드들로 구성이 되어 있습니다. '애니메이션 황금기'라는 제목에서 유추해 볼 수
있듯이 미국이 애니메이션 황금기를 이끌었던 캐릭터들의 성공과 좌절, 그리고 그 궁상맞은 뒷 얘기까지
마치 실제 역사인듯 페이크 다큐멘터리의 형식으로 진행됩니다. 물론 이 단편을 보면서 '동킹콩이 진짜 나중에
그렇게 됐데?' 라던지 '그래서 그 캐릭터가 작품에서 빠지게 되었구나'라는 식으로 생각하는 사람은 없겠지만,
웃길려고 작정하고 만든 이 단편을 보면 절대 헛웃음이 나거나 하지는 않습니다.
각각의 캐릭터를 통해 당시 애니메이션 사업의 흥망과 그 뒷면의 어두운 면까지 들춰내는 블랙 코미디로서
굉장히 의미도 있는 작품이고, 또한 여러가지 잡다한 것들을 풀어놓으면서 일일이 다 설명해 내고야 마는,
애니충격전 홈피 작품소개란의 프로그래머 평을 인용하자면 '미국산 오타구'라는 말이 정말 딱어울리는
감독의 작품이 아닌가 싶습니다. 이 작품이 상영되는 동안 극장에서는 내내 웃음 소리가 여기저기서
터져나오기도 했죠. 그럴 수 밖에는 없었던 작품이기도 하구요 ^^


이렇게 해서 짧게 나마 이번 영화제를 통해 소개된 여덟 편의 단편들을 리뷰해 보았습니다.
애니메이션을 좋아하는 분들이라면 꼭 한번 볼만한 참신한 단편들로 채워져 있으며, 지난번 애니충격전에서
아쉽게 놓치셨던 분들은 물론, 애니메이션에 크게 거부감만 없는 분들이라면 짧은 호흡으로 진행되는
단편들에게서 눈을 떼기가 아마 쉽지 않으실 겁니다~



참고 사이트
씨네아트 홈페이지 - '세상의 모든 애니메이션 영화제' 소개 페이지
http://www.cineart.co.kr/wp/movies/festival.view.php?&fid=158

애니충격전 홈페이지 - '2007 해외 수상작 초청전 오타와편' 소개 페이지
http://www.animpact.org/bbs/renew/html/2_program/pre/200711.htm


* 본문에 사용된 각 단편들의 이미지에 저작권의 대한 모든 권리는 애니충격전 연합사무국에 있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귀를 기울이면 (Whisper Of The Heart, 耳をすませば, 1995)
리얼리티로 살아나는 아련함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이전의 대부분의 지브리 스튜디오 작품이 그러했듯이, 이 작품 <귀를 기울이면>
역시 용산에서 구한 일본에서 넘어온 불법 VCD를 통해 처음 접하게 되었던 애니메이션이었습니다.
그렇게 예전에 기억으로만 남아있던 이 작품이 지난해였나, 대원에서 <마녀 배달부 키키>와 함께 DVD출시를
하기 위해 메가박스에서만 단독으로 잠깐 개봉을 했었고, 그 당시 기회를 놓치지 않고 '키키'와 함께
극장에서 만나볼 수 있었죠. 그 이후에 DVD가 결국 출시되긴 했지만, 이번 아트하우스 모모에서 열린
'세상의 모든 애니메이션' 영화제에서 <귀를 기울이면>을 상영한다는 소식을 들었을 때, 왠지 그냥 지나칠 수가
없더군요. 요즘은 조금 시들해졌지만 한 때 지브리 하면 만사 재쳐두고 DVD며 피규어며, 디오라마며, OST며,
화보집, 설정집 등 닥치는대로 모으던 때가 있었는데, 그 때 모았던 각종 아이템들과 선물해주었던 피규어들을
다 모으자면, 조금 오버해서 지브리 스튜디오 서교분점 정도 될지도 모르겠네요.
메가박스에서 개봉했던 당시에는 너무 감상에만 젖어 제대로 된 감상기를 쓰지 못했었는데,
이번에는 한 번 써보는데 까지 써봐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예전에 지브리 DVD타이틀이 출시되면
열심히 줄줄이 리뷰를 썼던 것에 반에 반만이라도 해봐야겠다는 생각에 ^^;


사용자 삽입 이미지
(훔베르트 폰 지킹겐 남작과의 첫 만남! 남작은 이후 <고양이의 보은>에서 다시 등장합니다.)

일단 이 작품은 지브리 스튜디오의 작품이기는 하지만 일반적인 지브리의 느낌과는 약간 틀린 것을 느낄 수
있는데, 이는 감독이 미야자키 하야오가 아닌 콘도 요시후미이기 때문입니다. 물론 미야자키 하야오가 대부분의
지브리 작품들이 그렇듯 각본이나 기획 작업에 참여하기는 했지만, 콘도 요시후미가 연출한 영화의 분위기는
확실히 미야자키의 판타지스러움과는 거리가 있는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 작품에서 드러나는 장면장면의
디테일은 매우 현실적이라 할 수 있는데, 주인공인 '시즈쿠' 캐릭터는 정말 또래의 사춘기를 겪는 소녀의
미묘한 감정과 하루하루의 일상적인 모습을 리얼하게 보여주고 있으며, 시즈쿠를 둘러싼 그녀의 가족들의
모습이라던가(도서관에서 일하는 아빠, 대학원 논문 준비로 시즈쿠 만큼이나 바쁜 엄마, 그리고 이제 막
사회로의 한 걸음을 내딛으려고 하는 언니까지), 시즈쿠의 가장 친한 친구인 유코와 스기하라의 알콩달콩
미묘한 사춘기의 감정 묘사도 매우 현실적이면서도 전혀 밋밋하게 느껴지지 않는 연출력을 선보입니다.

특히 굳이 그런 설정들을 넣을 필요까지 있었을까 싶을 정도의 디테일을 보여주는 장면들도 있는데,
시즈쿠가 유코의 집에 놀러갔을 때, 유코가 아버지와 다퉈 냉전중이라 이층으로 올라가는 중에도
아버지가 시즈쿠와는 인사를 나누지만 유코와는 냉랭하게 지나치는 장면 같은 경우는,
이런 애니메이션에서는 좀 처럼 만나기 힘든 리얼리티라고 아니할 수 없는 장면입니다.
앞서 얘기한 것처럼 굳이 극중 전개에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은 설정들을 삽입할 필요가 있었을까 싶기도하지만,
생각해보면 이 외에도 부모가 맞벌이를 하기 때문에 자녀가 빨래, 청소, 공과금 납입 등 집안일을 분담해야
하는 것이나, 여학생들이 점심시간에 자신들이 좋아하는 선생님의 방에 모여 선생님과 함께 도시락을 먹는 등,
소소하지만 현실적인 디테일들을 여럿 배치하면서 관객이 눈치채지 못하는 사이에 좀 더 이야기에 공감하고
몰입하도록 하는 장치로 작용하고 있는, 즉 내 얘기, 혹은 우리 딸 아이의 얘기로 여기게끔 돕고 있는 것을
눈치챌 수 있었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아.... 지브리 작품 가운데 명장면 베스트 5에 꼽힐 '컨츄리 로드' 연주와 노래 장면)

지브리의 작품들은 주인공이 현대를 배경으로 등장하는 경우, 동네나 거리 모습의 작화에 있어 실제 있을 법한
(물론 이 가운데는 실제 있는 경우를 토대로 애니메이션화 한 경우도 아주 많죠, 이런 방법이 좀 더 적극적으로
사용된 경우는 신카이 마코토 감독의 <초속 5cm>같은 작품을 들 수 있겠네요) 분위기로 그리는 경우가 많은데,
<귀를 기울이면>에서는 어스름한 새벽녘의 장면이나 해지는 도시의 장면 연출을 볼 때, 거의 실사가 아닌가
생각할 정도로 전신주나 일상 풍경들을 아주 디테일하게 묘사하고 있습니다. 이것 역시 콘도 요시후미 감독의
의도적인 연출이었다고 보면 되겠습니다. 실제로 예전에 어느 글에선가 이 작품에 배경이 된 실제 동네가
일본 내에서도 부자 동네에 속하는 동네이고 작품 속 처럼 아래로 훤히 도시가 내려다보이는 언덕 위에
자리잡고 있다는 얘길 본적이 있는데, 작품 속에서는 그리도 소박해보이던(신비스럽긴 했지만, 귀티나진
않았었는데 말이죠) 동네가 실제로는 부촌인 것을 확인한다면 실망하게 될까요? 그래도 언젠가 직접 일본에 가서
확인해보고 싶은 마음을 포기할 수는 없을 것 같네요.
(좀 더 확인해보니 도쿄 교외의 타마시 라는 곳이 배경이 되었다고 하네요)

이 작품이 더 오래 기억되는 이유는 바로 영화에 삽입된 노래 때문입니다. 존 덴버의 곡인
'Take Me Home Contury Road'가 바로 그 곡인데, 이 작품에는 올리비아 뉴튼 존이 부른 버전이 초반에
삽입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모두가 그렇듯이 원곡의 느낌보다도 시즈쿠가 세이지와 할아버지,
그리고 할아버지 친구들의 연주에 맞춰 수줍지만 열심히 부르는 그 버전이 더욱 깊이 가슴에 남을 수 밖에는
없을 듯 하네요. 거기에다가 이 작품에서만 만날 수 있는 '콘크리트 로드'를 더하자면, 가끔 이 애니메이션의
영어제목이 'Contury Road'가 아닐까 하고 착각할 정도로, <귀를 기울이면>에서 이 곡이 주는 인상은
그야말로 절대적이라 말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귀를 기울이면> 중 'take me home county road')

<귀를 기울이면>하면 <고양이의 보은>이 절로 따라올 정도로 이 두 작품의 연관성은 이미 많이
언급되었지만, 그래도 나도 한 번 더 언급해본다면 (--;;), 이 작품에 등장하는 심술쟁이 고양이 '문'과
('문'은 <귀를 기울이면>에서도 '문'외에 여러 이름이 있다며 '무타'라는 이름이 후반부에 잠깐 언급되기도
하는데, <고양이의 보은>에서는 바로 이 이름 '무타'로 등장합니다)
영롱한 눈을 갖고 있던 훔베르트 폰 지킹겐 남작이 <귀를 기울이면>에서는 좀 더 비중있게 주연급으로
등장하고 있습니다. 시즈쿠가 극중에서 썼던 소설 '귀를 기울이면'의 내용을 보자면 <고양이의 보은>은
시즈쿠가 쓴 소설의 또 다른 버전으로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이 현실적인 작품에서 유일하게
판타지스러운 설정이 등장하는 것은 바로 시즈쿠가 쓴 소설 속의 내용 뿐인데, <고양이의 보은>은
이 판타지스러운 요소를 전면으로 가져와 소녀의 사춘기와 성장기를 그린 작품으로 볼 수 있겠네요.
물론 두 작품의 원작이 모두 히이라기 아오이라는 점도 빼놓을 수 없겠구요.


사용자 삽입 이미지
                                       (모리타 히로유키 감독의 2002년작 <고양이의 보은>)        

잘 알려졌다시피 <귀를 기울이면>은 콘도 요시후미 감독의 데뷔작이자 유작이기도 합니다.
<빨강머리 앤>의 캐릭터 디자인과 작화 감독을 맡기도 했던 콘도는(그래서인지 <귀를 기울이면>에 등장하는
시즈쿠의 친구인 유코의 모습에서는 얼핏얼핏 '빨강머리 앤'이 보입니다),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의 후계자로
지목되었던 지브리 스튜디오에 가장 큰 기대주였는데, 아쉽게도 이 작품을 시작이자 끝으로 일찍 세상을
떠나고 말았죠. 이 일로(직간접적으로)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은 불가피하게 은퇴를 번복할 수 밖에는 없었고,
지금까지도 지브리 스튜디오 내에서 미야자키를 이을 이렇다할 확실한 후계자를 내지 못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많은 이들이 콘도 요시후미가 살아서 <고양이의 보은>을 연출했으면 어땠을까도 하지만, 개인적으로
<고양이의 보은>은 캐릭터만 비슷할 뿐, 소소한 리얼리티보다는 더 지브리적인 판타지적 요소가 강조된
작품이라 콘도와는 잘 맞지 않는 작품인듯 하고, 정작 <귀를 기울이면>의 속편 격 작품은 따로 있었던 것으로
아는데, 꼭 그 작품이 아니더라도 콘도가 만약 지금까지도 지브리 스튜디오에 미야자키의 후계자로 남아있었다면,
지브리에 어떤 결과를 가져왔을지 너무도 궁금해지는 건 어쩔 수가 없는 것 같습니다. 적어도 그가 떠난 이후로
지브리에 <귀를 기울이면>같은 색깔의 작품은 나오지 않았다는 점으로 미뤄봤을 때,
다시 한번 그의 죽음이 너무도 아쉽다고 밖에는 할 수 없겠네요.


사용자 삽입 이미지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의 1992년작 <붉은 돼지>. <귀를 기울이면>에서도 <붉은 돼지>의 흔적을
            만날 수 있습니다.)

앞서 언급한 <고양이의 보은>의 경우 <귀를 기울이면>을 얘기할 때마다 반드시 등장하는 작품인데 반해,
<붉은 돼지>와의 연관성은 그리 자주 언급되지 않는 것 같아 짧지만 정리해보자면.
세이지의 할아버지가 드워프 왕자의 애절한 사연이 담긴 오래된 시계에 대해 설명하는 장면이 나오는데,
이 시계의 바늘이 자리한 곳을 보면 'Porco Rosso'라는 이름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사실 이 정도면 그냥 이름만 살짝 끼워 넣은 것이구나 할 수도 있겠는데, 그 다음 할아버지의 대사를 보면,
'이 시계를 만든 사람도 한 때 힘든 사랑을 했었던 것 같아'라고 하는데, 이 부분은 <붉은 돼지>에서도
정확하게 묘사되고 있지는 않지만, '포르코'와 '지나'가 한 때 결혼까지 하려고 했던 사이였다고 미뤄봤을 때,
세이지 할아버지의 저 대사와 <붉은 돼지>의 포르코 로소의 이야기는 정확히 매치가 된다고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또한 세이지는 바이올린의 장인이 되기 위해 이탈리아 유학을 계획하는데,
<붉은 돼지>하면 '이탈리아' 아니겠습니까 ^^


사용자 삽입 이미지
(포르코 로소가 만든 환상적인 대형 시계. 2008년 극장에서도 저 시계가 작동하는 장면에선
 관객들이 모두 탄성을 내지르더군요!)


마지막으로 이들 작품 외에 <귀를 기울이면>에서 만나볼 수 있는 다른 작품의 흔적으로는 1989년작
<마녀 배달부 키키>를 들 수 있겠는데요, 시즈쿠의 책상에 정확히 키키는 아니지만 빗자루를 탄 검은 복장의
인형이 등장하는 것으로 봐서, 팬들에게 작은 즐거움을 선사하기 위해 넣은 그림으로 볼 수 있겠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귀를 기울이면>이 특별한 또 다른 이유는 단순히 사춘기의 미묘한 사랑에 관한 감정을 그린 것 만이 아니라,
청소년기에 자신의 진로와 미래에 관해 진지하게 고민하는 모습을,  진지하고 중요하게 다루고 있기
때문입니다. 책 읽는 것을 친구들보다 더 좋아하고 글 쓰는 것(정확히 말해 번역일)을 단순히 좋아하던 시즈쿠는,
어린 나이에도 자신의 진로를 정하고 하나하나 노력하고 준비해 나가고 있는 세이지의 모습을 보고,
단순히 부럽다, 멋지다라고만 느끼는 것에 그치지 않고, 자신의 부족함과 나태함을 돌아보게 됩니다.
이러면서 세이지에게는 좋아하는 감정과 더불어 일종의 질투심 또한 느끼게 되는데, 이런 감정은
'나랑 똑같은 책을 읽었는데, 나는 뭐하고 있었나'라던지, '세이지만 너무 앞서가는 것 같아서 저도
무언가 해야겠다는 생각에'하며 눈물 흘리는 장면에서 잘 드러나고 있습니다(현재 DVD가 없는 관계로
극장에서 본 기억만으로 대사를 쓰려니 정확하지가 못합니다. 양해해 주세요~ ^^;).

이런 설정은 적어도 지브리의 일반적인 작품에서는 보기 힘든 설정이라 할 수 있습니다. TV 연속극에나
나올 법한 얘기에 가깝기도 하구요. 소녀가 진로를 고민하고, 자신보다 앞서서 한참이나 멀리 나아가고 있는
애정의 대상에게 지지않기 위해, 아니 자신이 생각하기에 부끄럽지 않은 동등한 입장이 되기 위해,
할 수 있는 최선의 노력을 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부모님과 진로 상담을 하게 되고 여기서 일반적인
진학의 길을 가느냐, 아니면 무언가 꿈을 위한 도전을 하느냐에 대해 가족 구성원들과 자기 자신과도
깊은 갈등을 겪고, 그런 과정에서 스스로 성장하는 것은 물론, 가족이라는 자체가 성장하게 되는 결과를
얻게 되는 이 이야기는, 앞서 자주 언급했던 것처럼 너무도 현실적인 이야기라 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귀를 기울이면>이 많은 사람들에게 가장 인상적인 지브리의 애니메이션 중 하나로 손 꼽히는
가장 큰 이유는 바로 여기에도 있습니다. 극중 시즈쿠가 겪는 고민들이 내가 겪었던 사춘기의 그것과
너무도 닮아있기 때문이죠. 시즈쿠를 통해 나의 사춘기를 돌아보는 한 편, 나는 왜 시즈쿠 처럼 좀 더
적극적으로 도전해보지 못했었나 하는 생각도 들게 되고, 어른이 된 지금 나는 사춘기 때 꿈꿨던 것들을
얼마나 이루었는가 하는 것도 되돌아 보게 되는 계기가 되니까요.
그래서 이 작품이 그저 소녀의 꿈같이 판타지스런 사춘기를 그린 다른 작품들과는 다르게,
더더욱 오랫동안 가슴 속에 깊이 자리하게 되지 않았나 싶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귀를 기울이면>은 1995년 작으로, 만들어진지가 벌써 10년이 훌쩍 넘은 작품이긴 하지만,
앞으로도 오랫동안 많은 사람들의 기억 속에 아련한 추억으로 남을 작품이 될 것 같습니다.
사실 저는 (다른 사람들도 다 그렇겠지만), 극장에서 떠들거나 크게 웃는 것 등을 별로 좋아하지 않는데,
이 작품을 볼 때 이 또래의 자식을 둔 어머니 분들이 장면마다 크게 웃으시는 것은 별로 불편하게 들리지
않았습니다. 왜냐하면 그 웃음에는 영화가 웃겨서 웃는다기 보다는 시즈쿠가 자신의 딸처럼 느껴져서,
귀여운 마음에 웃으시는 것을 조금이나마 느낄 수 있었거든요. 저는 아직 시즈쿠에게 감정 몰입을 더 하고
있지만, 한 10년 쯤 지나면 저도 오늘 극장에서 만난 어머니들처럼 시즈쿠를 제 딸 보듯 보게 될지도
모르겠네요 ^^;



글 / 아쉬타카 (www.realfolkblues.co.kr)


본문에 사용된 모든 이미지의 저작권은 스튜디오 지브리와 대원 C&A 홀딩스에 있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월-E (Wall - E, 2008)
우주 최고의 러브 스토리


픽사의 작품은 언제부턴가 그 어느 영화사의 작품들보다 믿고 관람할 수 있는 완성도를 보여주었었다.
<니모를 찾아서>에서는 아버지와 아들에 관한 따뜻한 가족애에 감동할 수 있었고, <카>에서는 한 때 잘나갔던
주인공이 사고를 겪으며 자신이 몰랐던 평범한 진리를 깨닫는 과정을 통해 감동을 느낄 수 있었고,
<라따뚜이>는 누구나 꿈을 꿀 수 있다는 진리를 쥐가 요리를 한다는 설정을 통해 완벽한 이야기를 들려주어
역시 감동할 수 있었다. 이번에 개봉한 <월-E>역시 근간을 이루고 있는 이야기 구조는 단순하다.
인간이 만들어낸 환경파괴 문제에 대한 경각심을 불러 일으키고, 로봇보다도 로봇 같은 인간들의 획일화된
모습과 인간보다 인간적인 로봇들의 모습에서, 획일화되고 규격화 되어가는 인간 사회에 대한 비판을 담고
있는 동시에, 무엇보다 '우주 최고의 러브 스토리'를 담고 있다. 근데 이 러브 스토리 역시 신파에 가까운
멜로 영화의 클리셰를 모두 담고 있다.
앞서 언급한 픽사의 작품들의 이야기도 그렇고, 신작 <월-E>의 경우도 그렇고, 픽사의 작품들은 사실상
아주 새로운 이야기는 많지 않았던 것이 사실이다. 그런데 그럼에도 극 영화들과 비교해도 항상
그해 최고의 영화 중 한 편으로 픽사의 영화를 꼽게 되는 이유는, 뻔한 이야기와 주제를 가지고도,
디테일한 스토리텔링과 볼거리, 아이디어로 관객들을 완전히 빠져들게 만들고, 그 속에서
어느덧 자신들이 하려는 진리에 가까운 주제를 관객에게 자연스레 받아들이도록 하고 있으며,
캐릭터가 인간에서 로봇으로 바뀐 것 뿐이지 뻔한 러브 스토리임에도, 결국 매 순간순간마다 울컥울컥하게
만드는 놀라운 영화적 기술을 선사하고 있다.


(영화의 줄거리에 관한 스포일러가 있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아, 쌍안경에 가까운 저 렌즈로 표현된 눈이, 인간의 눈의 묘사보다도 더 많은 감정과 애틋함을 불러 일으킬 수
있을지 누가 알았겠는가!!)


계속되는 발전을 통한 환경파괴로 지구는 더이상 인간이 살 수 없는 초대형 쓰레기장으로 변해버려, 인간들은
대형 우주선을 타고 지구를 떠나게 되고, 지구상에는 쓰레기 청소로봇 '월-E'만이 남아 약 800년 동안 홀로
지구별을 지키고 있다. 초반 장면에서 느낄 수 있듯이 청소로봇으로서 살아가는 '월-E'에게는 이미 800년이나
지속적으로 해온 업무 탓에 단조로움이 묻어있긴 하지만, 그 속에서도 매일매일 새로운 것을 쓰레기 속에서
찾아내 자신의 아지트로 가져와 마치 '인간처럼' 방을 꾸며놓은 것을 볼 수 있다. 영화 속 '월-E'의 초반 이런
묘사를 통해 영화는 '어떻게 로봇이 감정을 갖는가?'라는 문제를 아주 단순하게 설명해 버린다.
오래된 뮤지컬 영화(헬로 돌리)테입을 보며 영화 속 남녀 주인공의 춤과 로맨스에 감동하고, 낡은 아이팟으로
(낡았다 하더라도 800년을 버텼으니 이 정도면 내구성은 최고인듯. 알다시피 픽사와 애플의 스티브 잡스는
아주 밀접한 관계가 있는 인물이라 이런 설정들은 귀엽게 봐줄 수 있었다 ㅎ)오래된 팝송을 들으며
마치 '낭만'마저도 즐기는 듯한 '월-E'에게 어느 날 대형 우주선과 함께 하나의 새로운 로봇이 등장하면서
이 한가로운 청소로봇에 일상에는 커다란 변화가 오게 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브(EVE)'라고 불리는 이 로봇은 일종의 탐사로봇으로 지구에 생명체 여부를 탐사하러 온 로봇이다.
오랜 시간 동안 지구에서 따분한 생활을 홀로(물론 귀뚜라미? 친구는 있지만)해온 월-E는 이브를 보는 순간,
그야말로 '첫눈에 반하게'되고 그때부터 이브에 대한 짝사랑이 시작된다.
이브를 쫓아다니면서 결국 자신의 존재를 인식시킨 월-E는 자신의 아지트로 이브를 데려와 자신이 좋아하는
뮤지컬 영화도 보여주고, 직접 춤도 춰보이고, 자신이 모아둔 여러가지 것들을 구경시키는데, 나는 여기서부터
뭉클하기 시작했다. 800년 동안이나 홀로 있었으니 무언가 새로운 존재가 등장했을때 얼마나 보여주고 싶은
것들이 많았을까. 이 과정에서 자신이 구해온 식물도 자랑하기에 이르는데, 바로 이 새로운 생명체를 조사하러
온 이브는 식물을 보는 순간 명령어에 따라 자신을 보낸 우주선에 신호를 보내는 것 외에 다른 기능은 모두
정지되는 상태가 된다. 월-E는 처음에는 놀라지만 나중에는 이미 사실상 작동을 하지 않고 있는 이브를
이곳저곳 데리고 다니며 좋은 것도 보여주고, 태양이 강하게 내리쬐면 파라솔을 펴주고, 비가 세차게 내리면
우산도 받쳐주고 하며 계속 이브가 께어나기만을 기다린다. 이 시퀀스에서 월-E가 이브를 대하는 모습은
마치 <그녀에게>가 떠오를 정도로 애틋하고 감동적이었다(흐르던 음악도 기가 막힌 싱크로율을!).
결국 이브를 회수하러 온 우주선이 도착하고, 이 우주선을 월-E도 따라가게 되면서 이야기는 또 다른
국면을 맞게 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성격장애에 가까운 청소 본능을 갖은 로봇 '모 (MO)' 캐릭터는 <월-E>를 보는 또 다른 재미거리다)

인간들이 버려진 지구를 떠나 생활하고 있는 우주선의 모습은 그야말로 '로봇'스럽다. 모두들 자동 의자+침대쯤
되는 기구를 타고 이 위에서 모든 생활을 하고 있는 터라, 모든 구성원들의 체형은 다들 몹시도 살찐 모습이며,
각자 모니터에 나타나는 동일한 영상을 보고 있으며, 우주선에서 제공하는 화면들을 수동적으로 받아들이고
있으며, 이미 루트도 다 정해져있어서 다니던 길로만 다니고 있다. 그런데 여기서 더 중요한건 얼마나
로봇스러워졌는지(그런데 이 영화를 보고나면 이 '로봇스럽다'는 표현도 어울리지 않는 말같다. 이리도 인간적인
월-E나 이브 같은 로봇들이 있으니 말이다 ^^), 보여지는 영상 외에 다른 곳은 아예 볼 생각도 하지않고(그저
고개만 돌리면 되는데도!), 새로운 길을 가야겠다는 생각조차 아무도 하지 않는다. 그저 정해진 대로 살아가는
것에 너무도 익숙해지고 나태해져 아예 스스로 생각하는 방법을 잃어버린 것이다.

월-E가 이 우주선에 나타나서 작은 사고를 통해 2명의 인간이 기기에서 떨어지게 되고, 이들은 처음으로
다른 세상을 보게 된다. 그런데 그 다른 세상이라는 것이 없던 새로운 세상이 아니라 계속 그대로 있었으나
한번도 고개를 돌려 보려고 조차 하지 않았던 바로 그 세상이다. 이 2 명의 사람들은 여기서 큰 충격을 받게 되고
점차 새로운 것에 눈을 뜨게 된다. 이 배의 선장 역시 마찬가지다. 그저 기계화된 하루하루에 익숙해져 있었지만,
이브가 가져온 생물체로 인해 지구에 대한 궁금증을 갖게 되고, 점차 알아가게 되면서 그 동안은 하지 않았던
새로운 생각들을 갖게 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전까지가 월-E의 일방적인 짝사랑이었다면 우주선에서 이브가 깨어나게 되면서 부터는 본격적인 쌍방향(?)
러브 스토리가 시작된다. 지구에 관한 설명을 듣기 위해 선장은 이브에게 영상장치를 연결해 이브가 지구에서
보고 온 것들을 보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이브는 자신이 우주선에 신호를 보내느라고 정지되었을 때의 영상들을
처음 보게 된다. 바로 월-E가 작동이 멈춘 자신을 여기저기 데리고 다니면서 구경을 시켜주고 돌봐주었던
것들과 손 한번 잡고 싶어서 마음 졸이던 그 애틋한 심정을 이제야 알게 된 것이다. 이 때부터 월-E를 급하게 찾게
되지만 월-E는 사고를 겪으면서 거의 죽어가게(로봇에게 죽어간다는 표현이 어울리지 않는 다는 것을 머리로는
알지만 가슴으로는 받아들여지지 않게 된다)되면서 이브는 월-E를 구하기 위한 방법은 지구로(집으로) 돌아가는
것이라는 것을 깨닫고 우주선의 귀환 작전을 돕게 된다.

이 과정 속에서 획일화된 시스템 속에 길들여져 있던 인간들은 월-E와 이브의 활약에 조금씩 자신들이
해야할 바를 깨닫고 도움을 주기에 이른다. 결국 거대 시스템과 인간 스스로가 만든 이 현상유지와 안주함을
깨고 황폐화된 지구로 돌아가게 된다. 그런데 여기서 또 한번 눈물이 왈칵 쏟아지게 만드는 설정이 나온다.
우여곡절 끝에 지구로 돌아와 월-E를 새로운 부품들로 교체하여 완벽하게 고쳐냈지만, 주요 부품을 바꿔버린
탓에 월-E는 쉽게 말해 '초기화'가 되어 이브를 전혀 기억하지 못하는 것은 물론, 그저 청소 로봇으로서의
기능만을 수행하는 '로봇'으로 돌아가고야 만다. 사실 이것보다 신파적이고 뻔한 줄거리는 또 없겠지만,
(우여곡절 끝에 이제야 드디어 서로 사랑할 수 있게 되었는데, 한 명이 기억상실이라니....)나는 여기서 거의
울먹 거릴 정도까지 되어버렸다. 이브를 알아보지 못하는 월-E의 표정(이미 월-E에게는 표정이란 것이
느껴진지 오래다)을 보면서 어찌나 슬프던지. 이브는 이런 월-E가 안타깝고 미안한 마음에 월-E가 그렇게도
하고 싶어하던 손을 잡아주게 되고 서로 머리를 맛대는 순간 스파크가 일어 월-E는 기적적으로 기억을
되찾게 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 둘의 로맨스는 가히 지상 최고, 아니 우주 최고의 러브 스토리이다!!)

디지털화가 지속될 수록 아날로그에 대한 향수와 감성을 지키고자 하는 노력은 계속 되는 듯 하다.
이제는 로봇이 인간을 계몽시키는 수준까지 와버린 것 같다 ㅎ
<다크 나이트>때문에 흥행면에서는 완전히 참패를 거두고 있는 <월-E>지만, 2008년 들어 지금까지 보았던
영화들 가운데 올해 최고의 작품을 꼽으라면 <다크나이트>와 심각하게 고민해볼 정도로 <월-E>는
또 한 번 픽사의 위대함을 보여준 픽사 최고의 작품이었다.
전 연령이 모두 즐겁게 즐길 수 있으며, 나 같이 다 큰 어른도 어느 정도의 감수성만 있다면(감수성이 폭주하는
나 같은 경우는 눈물 바다를 준비해야함 ㅠㅠ)그 어떤 극 영화보다도 큰 감동을 느낄 수 있는 영화가 바로
<월-E>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집으로 돌아오는 지하철 안에서 얼마나 행복해짐을 느꼈었는지 모르겠다.
그리고 그와 동시에 얼마나 '이~~~~~브아~~~~'를 따라하게 되었는지도 모르겠고 ^^;




1. '이~~~브아~~~'라고 이브를 부르는 월-E의 음성은 흡사 E.T의 목소리를 연상케 했다.
2. '워~~리~~~~~;라고 월-E를 부르는 이브의 음성도 기억에 남고, '모!'라고 자신의 이름을 외치던 모 역시!
3. 개인적으로는 뮤지컬을 좋아해서 그런지 오래된 <핼로 돌리>를 보며 감상에 빠지는 주인공들의 모습이
    참으로 인상적이었다.
4. 엔딩 크래딧 이후에 특별한 쿠키 영상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쿵푸 팬더>의 경우처럼 엔딩 크래딧의
    장면들이 영화의 에필로그 겪인 영상이라 이것도 절대 놓치면 안되겠다.
5. 픽사의 작품 가운데 실사가 등장하는 처음 영화가 아닌가 싶다.
6. 디지털 자막 버전으로 보았는데, 디지털-자막으로 상영하는 상영관이 많지 않음으로 찾기 어렵다면
   그냥 디지털-더빙으로 봐도 아주 나쁘진 않을 듯 하다. 이 영화는 원채 대사가 별로 없음으로 ^^
7. 우주선에 방송으로 들려주는 목소리는 시고니 위버가 연기했다.
8. 지상 최고의 천재 집단을 꼽으라면 주저없이 픽사를 꼽겠다!!!




 
 
글 / ashitaka (www.realfolkblues.co.kr)


본문에 사용된 모든 이미지의 저작권은 픽사에 있습니다.



블로그코리아에 블UP하기  RSS등록하기 




'해피 할로윈! 나는 아무도 눈치 채지 못할 만큼 작고, 눈에 띄지 못할 만큼 위대하다...'
2071년, 화성. 할로윈을 눈앞에 둔 알파시티의 7번 고속도로...약품을 운반하는 탱크 폭발 사고로 500명 이상의 사상자를 내는 대참사가 벌어진다. 화성정부는 약품 운반 탱크라는 점과 사고 후 원인 불명의 죽음이 계속되고 있다는 점 등을 고려해 화학무기를 사용한 테러라 판단하고 사상 최고의 현상금 3억을 내건다. 언제나 궁핍한 상태의 비밥호 카우보이들은 사상 최고의 현상범에 입맛을 다신다.




신용카드 도난 사건의 용의자를 쫓던 페이는 우연히 탱크 사건 현장을 지나게 되고 범인의 모습을 비디오로 촬영한다. 영상 속의 범인이 죽지 않았다는 사실을 확인한 페이는 추적을 시작한다. 별다른 단서를 찾지 못해 우왕좌왕하고 있던 스파이크를 비롯한 제트와 에드도 각각 범인 수색을 시작한다. 네 명의 카우보이들이 수사를 통해 밝혀낸 범인은 사건이 발생하기 전 이미 사망한 빈센트 볼라쥬... 할로윈 데이로 한창 들떠 있는 도시. 굵은 빗줄기와 함께 축제를 기다리는 거리에 날아든 불길한 예고장...'해피 할로윈! 나는 아무도 눈치 채지 못할 만큼 작고, 눈에 띄지 못할 만큼 위대하다...'



감독인 와타나베 신이치로의 말 같이 이번에 출시된 [카우보이 비밥 : 천국의 문](이하 ‘천국의 문’)은, 기존 TV시리즈의 맥락을 그대로 이어가면서 또한 TV시리즈를 보지 않았던 일반 관객들도 내용을 이해할 수 있도록, 독립적인 단편의 성격이 강한 작품이다. 사실 기존의 TV시리즈도 ‘주피터 재즈(Jupiter Jazz)', '더 리얼 포크 블루스(The Real Folk Blues)'의 경우에는 2편에 걸쳐 제작되어 영화에 완성도와 걸 맞는, 독립적인 단편으로도 손색이 없는 작품으로 평가받았었다. 뭐 이미 TV시리즈를 통해 웬만한 극장용 작품을 뛰어넘는 흥행과 완성도로 높은 평가를 받았던 비밥이었지만, 그래도 팬들은 극장용 화면으로 비밥을 한 번 더 즐기길 원했다.



감독과 스텝들의 얘기에서도 알 수 있듯이 극장판에서는 TV시리즈에서는 보기 힘들었던, 더 큰 스케일과 강한 액션 장면이 수록되어 있는데, 이를 테면 영화의 마지막 스파이크와 빈센트의 결투 장면을 들 수 있었다. 스파이크와 빈센트의 결투 장면에서는 비셔스와의 결투에서는 느낄 수 없었던, 또 다른 긴박감과 리듬을 제공하는데, 역시나 빠른 장면 전개와 좀 더 넓고 풍부해진 배경으로 인해 액션 자체의 스케일도 커진 느낌이었다. 그리고 TV시리즈와는 달리 한 번에 2시간에 달하는 긴 러닝 타임을 사용할 수 있었기 때문에, 캐릭터들의 개인적인 면들과 스토리의 전개 과정을 좀 더 세부적으로 표현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천국의 문]은 기존 TV시리즈의 팬들의 기대에도 부흥할 만큼 원작의 연장선상에 있으면서, 새로운 팬들까지 끌어들일만한 요소가 넘치는 또 하나의 훌륭한 작품이라고 할 수 있겠다.



사실 비밥에서 캐릭터와 음악을 빼면 아무것도 남지 않는다고 할 정도로 그 의존도는 이루 말할 수 없다. 특히 스파이크 스피겔을 비롯한 캐릭터들이 주는 대사의 멋스러움과 분위기는 그 어떤 캐릭터들도 따라 올 수 없는, 비밥의 필수적 요소라고 할 수 있다. 이렇듯 캐릭터들이 갖는 의미가 강한 작품이기 때문에 극장판에 대해서는 조금 걱정스러움이 있었는데, 그것은 바로 스파이크의 천적인 비셔스가 등장하지 않는다는 것이었다. 비셔스는 악역을 맡은 캐릭터답지 않게 주인공에 버금가는 카리스마로 스파이크 못지않은 팬들을 보유한 또 한 명의 숨은 공로자이다. 스파이크 스피겔이라는 캐릭터가 워낙에 카리스마로 똘똘 뭉친 캐릭터인지라 비셔스 정도가 아니면 감히 대적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게 대부분의 우려였는데, [천국의 문]에 등장하는 빈센트는 이러한 우려를 단 번에 잠식시킬 만한 또 다른 개성과 카리스마에 소유자였다. 사실 영화가 끝나고 나면 ‘과연 빈센트가 악역이었나?’하는 의구심도 들지만, 어쨌든 스파이크와 내내 대결 구도를 펼치면서도 전혀 꿀리지 않는, 때로는 압도하는 모습을 보여줌으로 인해 비밥 팬들에게도 오래오래 기억에 남을 캐릭터가 되었다. 말이 나왔으니 말인데, 스파이크가 이토록 얻어터지는 장면은 TV시리즈에서는 절대 볼 수 없었던 장면이었다.



그리고 또 하나의 비밥의 절대적 요소인 칸노 요코의 음악. 일본 스텝, 미국 스텝들도 모두 ‘천재’라며 칭송하는 그녀의 음악적 재능은 정말 대단하다. 락, 재즈, 펑크, 블루스, 보사노바 등 다양한 장르를 자유롭게 넘나들며, 각 장르마다 전문가의 손길이 느껴질 정도의 음악을 구사하는 그녀의 놀라운 능력 말이다. 더군다나 그녀가 흑인이 아닌 일본인으로서 정통 재즈나 블루스에 이 정도로 능통하다는 것은 정말 놀랍다. 그녀의 음악을 듣고 있노라면, 흑인에게서만 느낄 수 있는 선천적 리듬감이나 선율 등을 어렵지 않게 느낄 수 있다. 감독인 와타나베 신이치로도 칸노 요코의 음악이 없었다면 비밥이 이렇게 까지는 성공할 수 없었을 거라는 말과 같이, 칸노 요코의 음악은 한 편은 극의 리듬에 맞춰 더 극적으로 긴장감을 고조시키곤 하는가 하면, 또 한 편으로는 오히려 음악의 리듬에 극이 따라오는 느낌마저 줄 정도로 스토리, 영상과 완벽하게 융합되어 있다. 그런 탓에 카우보이 비밥의 사운드 트랙은 수입반으로 고가에 판매되고 있음에도 입고될 때마다 금세 팔려버리고 마는, 베스트셀러 이자 구매하려는 사람들이 줄을 선 희귀(?)음반이 되었다.



이번 [천국의 문]은 출시 전부터 말들이 많았던 것이 사실이었다. 일단 문제의 가장 근본이 되었던 것은 제조국가와 제작사의 문제였는데, 본래 일본에서 제작된 작품이 아니라, 미국에서 출시된 콜롬비아 버전을 기본 소스로 하여 코드 3번을 제작하였기 때문이었다. 일단 여기에는 몇 가지 반드시 확인하고 넘어가야할 문제가 몇 가지 있다. 가장 큰 것은 자막의 문제인데, 일본어 소스를 기본으로 만든 것이 아니라 코드 1의 콜롬비아 버전을 기본 소스로 하였기 때문에, 다시 말해 일본어를 영어로 해석한 걸, 다시 한국어로 해석한 자막이기 때문에 문제가 될 요지에 단어들이 몇 등장한다. 일단 스파이크와 페이가 제트에게 존댓말을 하고 ‘아저씨’라는 호칭으로 부른다. 이것은 사실 스파이크와 제트에 관계를 전혀 모르는 자가 아니라면 상당히 거슬리는 부분이다. 우리도 알다시피 둘의 관계는 절대 존대하고 ‘아저씨’하는 관계가 아니지 않은가. 그리고 화폐 단위인 ‘우롱’을 ‘울롱’으로 그리고 ‘페이’를 ‘패이’로 표기하고 있다. 사실 개인적으로는 원작의 분위기를 알고 있는 터라 감안하며 보았을 때 크게 문제를 느끼지는 못하였으나, 처음 비밥을 극장판으로 접하는 사람들이라면, 둘의 관계나 단어의 잘못된 사용으로 인해 오해를 불어 일으킬 수 있을 것 같다. 말이 많던 자켓 이미지는 슬립 케이스와 슬리브를 사용함으로써 어느 정도 보안이 된 것 같다.



하지만 이 같은 단점에도 구매할 수밖에 없었던 장점들도 많은데, 일단 컴필레이션을 제외하고 TV시리즈 내내 돌비디지털 2.0의 사운드로 즐기던 비밥을 5.1채널의 사운드로 즐긴다는 것은, 비밥 팬이라면 너무도 반길 일이다. 실제로 5.1채널로 전해지는 사운드는, 채널의 분리도도 만족스러웠고, 칸노 요코의 음악들도 전율로 느껴질 만큼 만족할 만한 사운드를 들려주었다. 화질은 최상의 퀄리티를 보여준다고는 말하기 힘들지만, 시청하는 데에 큰 불편함을 느낄 만한 정도는 아니었다. 그리고 초판 한정으로 제공되는 필름 컷과 캐릭터 드로잉 북은 비밥 팬이라면 결코 뿌리치기 쉽지 않은 유혹의 아이템들인데, 특히 캐릭터 드로잉 북은 캐릭터 설정과 디자인에 이해에 많은 도움을 줄 것 같다.



서플먼트로는 제작 과정 다큐멘터리와 뮤직 비디오 2편, 갤러리, 예고편 등이 수록되어 있는데, 무엇보다도 감독과 성우들의 인터뷰 영상을 통해, 비 하인드 스토리에 대해 전해 들을 수 있다. 캐릭터의 얼굴로만 만나던 성우들의 실제 모습을 보는 것도 또 다른 재미라고 할 수 있겠다. 만약 자막이 수정되고 슈퍼비트나 등의 새로운 에디션이 출시될 거라면 모르지만, 현재까지 정황으로는 아마도 전혀 그럴 계획이 없을 것이라는 분위기로 보았을 때, 최근 출시된 [카우보이 비밥 : 천국의 문]은 비밥 팬들에게 놓쳐서는 안 될 필수 선택 아이템이 될 것 같다.

2003.10.31
글 / 아쉬타카


2007/10/14 - [Japanimation] - Cowboy Bebop _ 1st session - What is the 'Cowboy Bebop'?
2007/10/14 - [Japanimation] - Cowboy Bebop _ 2nd session - About to Session
2007/10/14 - [Japanimation] - Cowboy Bebop _ Session - Jet Black
2007/10/14 - [Japanimation] - Cowboy Bebop _ Session 4 - Faye Valentine
2007/10/14 - [Japanimation] - Cowboy Bebop _ Session 5 - Ed / Julia / Vicious
2007/10/14 - [Japanimation] - Cowboy Bebop _ Session 6 - Spike Spiegel
2007/10/14 - [Japanimation] - Cowboy Bebop _ Session 7 - Music Style


약 15일 전에 아마존에서 할인행사 할때 주문했던 라따뚜이와 픽사 단편컬렉션 BD.
확실히 일본반보다는 좀 더 케이스 디자인이 괜찮은듯.



아웃케이스를 빼고 나서.



아직 다 보진 못했지만,
픽사 단편컬렉션에 있는 '카 (Cars)'관련한 단편의 화질만 봐도
그야말로 '미칠듯한' 화질이더라 @@
정말 다시는 DVD를 볼 수 없을 정도의 놀라운 화질!

+ Recent posts